#담배나방 ●●●피해증상 담배나방의 피해는 애벌레가 잎 을 갉아먹거나 과실 속으로 파고 들 어가 종자부터 먹기 시작해 과육까지 가해하면 과실이 껍질만 남아 마르게 되고, 애벌레가 뚫어 놓은 구멍으로 빗물이 들어가거나 병균이 침입, 고추가 썩어 떨어지게 된다. 어린유충이 침입한 구멍은 바늘로 찔러놓은 것처럼 까만 점 정도의 흔적밖에 남지 않 아 피해를 확인하기 어렵다. 또한 유충이 다 자랄 때까지 한 개의 고추만 먹는 경우보다 는 4∼11개 정도의 고추를 먹고 자라며, 다른 고추로 이동할 때 이것저것 먹어보기 때문 에 그로 인해 생긴 상처로 생리장애나 무름병 등이 감염된다. ●●● 형태 성충은 황갈색으로 몸길이는 17mm, 날개를 편 길이가 3.5cm 정도이며, 앞날개는 황 갈색 바탕에 가느다란 갈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뒷날개는 담갈색 바탕에 가장자리에 두 터운 검은 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앞날개 색깔은 밝은 황색에서 흑색까지 다양하며, 암컷의 색이 수컷의 색보다 더 황색을 띠며 날개무늬가 뚜렷하다. 유충은 어릴 때는 녹 색이며 노숙유충은 담녹색 바탕의 등 양쪽 가장자리에 흰색의 줄이 있으며 마디마다 2 개 이상의 검은 점이 있다. 알은 직경이 0.4mm로 둥글고 밑면이 넓고 위로 갈수록 좁 아지는 경향이며 가로 세로로 줄무늬가 있으며 세로줄이 더 뚜렷하다. ●●● 생태 담배나방은 6월경부터 우화하며 년 2∼3회 발생하고, 8월과 9월에 1회씩 발생해 최성 기를 이룬다. 번데기로 땅속에서 겨울을 지내며, 다음 해 6월부터 성충이 되어 발생하여 대개 담배부터 가해한다. 7월부터 고추에서 피해를 주기시작하나 시설 내에서는 연중계속적인 발생이 가능하다. 담배나방의 산란은 90∼600 개 이상 알을 낳고, 9∼11일 정도 산다. 알은 잎, 과일, 줄 기, 꽃의 순으로 많이 발견된다.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열 매의 꼭지부근부터 파고 들어가 과일의 종자부분을 먹으 며 자란다. 알에서 유충, 번데기, 성충이 되기까지 기간은 50여일 정도이며, 고추에 피해를 주는 유충기간은 25∼ 30일 정도이다. 9월 하순 이후 번데기가 되는 개체들은 땅속에서 흙으로 거푸집을 짓고 월동을 한다. ●●● 방제법 담배나방은 약제가 들어갈 수 없는 과실 속에서 주로 생활하는 특성으로 방제가 매우 어렵다. 주요 방제로는 경종적방법과 알 기생봉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 및 농약 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경종적방법으로는 정식전 토 양을 경운하여 토양속에서 월동하는 번데기를 노출시켜 죽게 하거나, 피해 받은 열매나 식물체를 소각하는 방법 이다. 알 기생봉을 이용하는 생물적 방제는 약해, 잔류독 성의 문제점을 줄이면서 알을 죽이기 때문에 고추의 유 충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아직 실용단계 는 아니다. 농약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알에서 깨 어나 과실로 들어가기 전까지 농약을 사용하는 것이 효 과적이다. 시기상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이 중요한 방제 시기가 된다. 방제는 7일 주기로 3회 이상 방제를 해야만 하고, 그렇 지 않으면 상당한 유충피해가 발생된다. # 파밤나방 ●●● 피해증상 파밤나방은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충이면서 장거리를 이동하는 해충 으로 최근에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고 6월 상순경부터 고 추 포장에서 발견되며, 고추뿐만 아니라 명아주 등 고추 주위의 잡초의 가해도 심하다.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고추의 잎과 새순을 갉아 먹으며, 과실을 뚫고 들어가 구 멍을 내 상품성이 없어진다. ●●● 형태 부화유충은 1∼2mm정도로 작으나 노숙유충은 35mm 정도로 크다. 유충은 색체 변이가 심하며 황록색, 흑갈 색, 또는 녹색을 띤다. 성충은 8∼10mm정도이며 날개를 편 길이는 11∼12mm, 날개는 황갈색이며 날개 중앙에 황색점과 콩팥무늬가 있다. ●●● 생태 파밤나방은 연 4∼6회 발생하며, 알 기간 2~5일, 애벌 레기간 9~23일, 번데기기간 5~14일, 성충의 산란기간 5~8일, 산란수 700~1,300개/마리이다. 유충은 1∼ 3mm 정도로 체색 변이가 심하나 대체로 녹색을 띄고 있 고, 성충은 5월부터 나타나 10월까지 발생한다. 유충은 6 월 중순부터 고추밭에서 발견되기 시작한다. 중부지방에 서는 월동이 어려우나 시설하우스에서 연중 발생한다. ●●● 방제법 파밤나방은 세계적으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해 충으로 방제가 어려운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다. 1∼2령 의 어린 유충 기간에는 비교적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있 는 편이다. 3령 이후부터 노숙 유충이 되면 약제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고 한편으로 줄기 속에 들어가 가해하므로 약제에 노출될 기회가 적어져서 방제가 어렵다. 방제는 발생 초기에 5∼7일 간격으로 3∼4회 집중적으로 실시 하는 것이 방제효과가 높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에서 제공한 자료를 참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