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질비료가 토양 비옥도 유지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품질관리 미흡과 불량제품 유통으로 화학비료가격 폭등에도 불구하고 농촌 현장에 정착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지난 8월부터 농진청, 비료관련업체 및 협회, 농진청 관계자 등으로 비료지원사업개선대책T/F팀을 구성하고 유기질비료 지원 사업에 대한 대대적 개선방안을 마련 중이다. 조정래 농림수산식품부 친환경농업팀 사무관은 지난달 20일 aT센터 중회의실에서 농촌진흥청 주최로 열린 ‘화학비료 절감방안 토론회’에 참석 정책방향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T/F 팀을 통해 개선방안이 제시되면 이를 토대로 내년 지원 사업부터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 사무관은 또 “화학비료를 무조건 줄이는 것이 아니라 농지의 사정에 따라 적정한 시비량을 정하겠다는 것”이라며 “화학비료 절감정책이 마치 증산을 포기하는 것으로 비춰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조 사무관은 “친환경농업은 걸음마를 떼는 단계라고 생각한다”면서 “친환경농업에 대한 개념도 화학재재 사용 최소화, 농축산업 부산물 재활용, 생태계 및 환경보전형 지속가능 농업 등의 광의적 개념에서 코덱스 기준의 협의의 유기농업으로 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동화 흙살림 부장은 “친환경생산단지에 의외로 녹비재배가 많지 않다”며 “액비도 품질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는지 의문이다”고 지적했다. 조남성 한국유기비료공업협동조합 전무도 “10년 전부터 액비와 관련해 연구하고 농촌에 접목시켜왔으나 품질관리 문제로 아직도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다”며 “축분비료도 액비위주가 아닌 기존 퇴비회사를 활용해 다양한 제품을 개발 공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