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농업기술원(원장 김태중)은 지난달 22일 도 농업기술원 생명농업관에서 농업인과 농과대학 교수, 농업관련 전문가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특화작목 명품화 실현을 위한 ‘충북 유기농산업 활성화 방안’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2015년 괴산세계유기농산업엑스포를 준비하고, 특화작목의 고품질 유기농산물 생산에서부터 유기가공식품으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추진됐다.
양주필 농림축산식품부 과장은 이날 ‘친환경 농업육성 정책방향’을 설명했다. 김석철 국립농업과학원 과장도 ‘유기농업 기술개발 현황 및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최덕천 상지대 교수도 국내 유기농산업 활성화 사례를 중심으로 ‘유기농식품의 가치와 유통 활성화 사례’를 공개했다. 홍재륜 한국유기농업협회 부회장은 ‘친환경 과수재배 현황 및 우수사례’를 설명했다.
유기농업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유기농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개별 필지가 아닌 지역별, 마을별 단지화를 이루는 유기농업이 우선 되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또 품목별 생산자 조직을 중심으로 도시민과 연대하여 6차산업화를 통한 도농 상생도 강조됐다.
홍의연 충북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과장은 “농산물 시장개방 확산과 기후변화 등 국내·외 농업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며 “유기농 특화도 실현을 위해 산·학·연이 더욱 협력하여 어려운 농업 여건을 극복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