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잦은 비로 발생하는 ‘벼 병해’ 철저 대비

2022.06.22 11:36:02

수시로 병 발생했는지 살피고, 예방적 방제로 피해 최소화

여름철 잦은 소나기와 국지적 폭우로 각종 벼 병해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찰과 방제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여름철 비가 자주 내리면 발생 확률이 높은 벼 도열병, 벼 깨씨무늬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벼 흰잎마름병에 대한 예방 및 방제 방법을 제시했다.

 

도열병, 장마철은 기온이 낮아지고

습도가 높아 발생 최적시기

벼 도열병은 잦은 비로 낮은 기온이 지속될 때 또는 비료를 많이 준 논에서 쉽게 발생한다. 특히 장마철은 기온이 낮아지고 습도가 높아 도열병이 발생하기 매우 쉬운 환경이므로 더욱 주의해야 한다. 도열병의 최적 병 발생 조건은 20~25℃, 3일 이상 강우 지속, 습도 90% 이상, 낮은 일조량 등이다.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이삭 팰 때 나타난 잦은 비와 저온 현상으로 벼 도열병 발생 면적은 총 4만 4,566헥타르에 달했다. 이는 2020년(3만 8,801헥타르) 대비 115%, 평년(1만 3,523헥타르) 대비 330% 증가한 수치다.

 

수확 전까지 지속해서 발생하므로 초기방제 중요

도열병의 경우 발생 초기에는 잎에 작은 암갈색 점무늬가 생기며, 후기에는 긴 방추형 무늬로 변한다. 무늬 안쪽은 회백색, 바깥쪽은 짙은 갈색을 띤다. 병이 심해지면 불규칙한 무늬가 형성되며 포기 전체가 말라 죽는다. 병 발생 부위에 따라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마디도열병으로 나뉘며, 벼를 수확하기 전까지 지속해서 발생하므로 초기 방제가 중요하다.

 

질소비료를 기준보다 많이 주거나 논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지 않으면 병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비료는 지역과 지대별 표준 시비량을 참고해 적정한 양을 주고, 잡초도 철저하게 방제한다. 발병 초기에 트리사이클라졸, 아족시스트로빈 계열의 약제를 살포한다. 자세한 내용은 농촌진흥청 누리집 ‘농사로’ 또는 지역 농업기술센터에 문의하면 확인할 수 있다.

 

깨씨무늬병, 습도가 높고 양분이 떠내려가기 쉬운 사질토나

오래된 논에서 전생육기 발생

벼 깨씨무늬병은 잦은 강우로 습도가 높고 양분이 떠내려가기 쉬운 사질토나 오래된 논에서 벼의 전 생육기간 동안 발생한다. 지난해 벼 깨씨무늬병은 총 1만 7,287헥타르에서 발생했으며, 2020년(6,798헥타르) 대비 254%, 평년(1만 1,447헥타르) 대비 151% 늘었다.

 

병 발생 초기에 생긴 암갈색 타원형 무늬는 후기로 갈수록 점점 커진다. 주로 잎에 발생하지만, 벼알에 발생하면 표면에 갈색 얼룩점이 형성돼 쌀 품질이 떨어진다. 퇴비로 양분을 보충해 벼 생육을 좋게 하고 감염된 모는 즉시 제거한다. 이삭 패기 전·후에 트리사이클라졸, 카프로파미드 계열의 약제를 뿌려준다.

 

잎집무늬마름병, 여름철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질소비료를 많이 주면 발생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여름철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질소비료를 많이 주었거나 벼를 빽빽하게 심은 논에서 주로 발생한다. 초기에는 회녹색 또는 암회색의 원형 또는 불규칙한 얼룩무늬가 형성되다가 후기에는 잎이 하얗게 되고 표면에 갈색 균핵이 형성된다. 심해지면 잎이 거의 말라 죽고 줄기가 부러져 식물체가 쓰러진다. 모내기 후 비료는 표준 시비량에 맞추어 적정한 양을 주고 벼 포기가 벌어지거나 늘어진 잎들이 없도록 관리해 바람을 잘 통하게 한다. 트리사이클라졸, 헥사코나졸 계열의 약제로 방제한다.

 

흰잎마름병, 장마와 태풍, 침수로 인해 번져

벼 흰잎마름병은 생육 중기인 7월 초·중순부터 발생하여 장마와 태풍, 침수로 인해 널리 퍼진다. 발생 초기에는 잎끝이 하얗게 마르고 말라 죽는다. 광합성이 원활하지 않아 쌀 품질과 수량이 떨어진다.

 

오염된 물과 중간기주인 잡초에 의해 전염되므로 물길을 정비하고, 재배지가 침수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한다. 한번 발생하면 치료하기 어려우므로 아족시스트로빈, 페림존, 가스가마이신 계열 등의 약제로 예방적으로 방제한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병 발생 초기에 등록된 약제를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뿌리는 것이 중요하다. 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에 따라 등록된 약제로 방제한다. 자세한 등록 약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작물기초기반과 최준열 과장은 “일교차가 심하고, 다습한 장마철에는 벼 병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장 상황을 수시로 관찰하고, 이른 시기에 방제해야 한다. 물길 정비 같은 재배지 관리에도 힘써 침수 피해를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명우 mwlee85@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