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발생하면 방제가 어려운 ‘마늘줄기선충’

2023.04.14 13:22:34

건조한 상태에서
20년 동안 생존했다는 보고 있어

 

지난 호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마늘줄기선충’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마늘줄기선충의 생활사는 어떻게 되나?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알에서부터 탈피를 계속하여 4령충으로 발육한 전성충이 식물에 기어 올라가 침입한다. 기주의 잎에서 암수로 성숙하고 산란한다. 부화는 잎에서 이루어진다.

선충 주변에는 약간의 이상비대와 이상증식이 생긴다. 잎에는 침상체가 발생하고 잎은 짧아지며 기부는 두터워진다. 부화한 선충은 세포 사이나 표면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가 구경의 인편으로 이동한다. 기생당한 인편은 링이 검게 되거나 변색된다. 심하게 피해를 받은 식물의 지상부는 쓰러진다. 어린 모종이 감염되면 기생당한 부위는 팽창하고 변형되며 붕괴되어 결국 모종은 죽게 된다.


정기자  마늘줄기선충의 기본적인 생태는 어떻나?
추박사  식물의 전 생육기를 통하여 모든 충태를 볼 수 있다. 발생회수는 온도, 습도, 기주의 종류와 경종상태에 따라 차이가 난다. 예를 들면 19℃의 수국에서 부화에는 약 8일이 걸리고 성충의 발육에는 12일이 소요된다. 한 세대를 완성하는데 15℃에서는 19~23일이 소요된다.

성숙한 성충은 보통 45~75일까지 생존하고 한 마리의 암컷은 하루에 8~10개의 알을 25~50일까지 낳는다. 200~500개의 알을 낳는다. 평균 15℃에서 알을 낳기 시작하며 19일까지 지속한다. 
생존형 발육단계는 4령충(전성충)으로 건조한 환경과 추위에 강하다. 기주의 표피 또는 아래서 선충울을 형성하여 3-5년간 생존한다. 기주가 없는 토양에서는 2년까지 생존한다.

윤작하는 동안 잡초이나 본 작물 이전의 작물에서 생존한다. 식물 찌꺼기, 종자, 토양에서도 여러 해 동안 생존이 가능하다. 그러다가 다시 물이 들어오고 새로운 기주가 심겨지면 기생한다. 건조한 상태에서 20년 동안 생존했다는 보고도 있다. 수막을 통하여 헤엄쳐 이동하고 식물의 기공을 통하여 침입한다.


정기자  마늘줄기선충의 병환은 어떻게 되나?
추박사 감염식물, 관개, 농기구, 동물 등에 의하여 전파된 선충은 식물에 수막이 형성되면 새로운 잎과 줄기로 이동하여 기공과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침입한 선충은 일단 식물체 내에서 피층의 유조직 세포를 먹고 산다. 그리고 펙틴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벽을 녹인다.

일단 식물을 먹기 시작하면 선충 머리 가까이 있는 세포의 내용물 일부 또는 전부는 잃게 된다. 세포는 분리되고 확대되어 혹으로 발전되거나 종묘를 기형으로 만든다. 선충의 기생은 곰팡이와 세균의 2차 감염도 초래한다.

정기자  마늘줄기선충에 의한 피해증상은 어떠한가?
추박사 기주에 따라 차이가 있다. 마늘, 양파, 누에콩, 알팔파, 귀리, 딸기 등 400~500 여종의 식물에 기생하는 마늘줄기선충의 증상은 기주에 따라 차이가 있기도 하다. 마늘은 수확하기 전 일찍 노화하고 잎의 끝에서 위로 점차 황화한다. 즉, 잎은 황화되고 시들며 수축된다. 생장은 저해되고 일찍 말라 죽는다.

피해 지역은 종종 밀집되어 명확한 팻취 형태로 나타난다. 마늘의 구근은 갈색으로 변하며 오그라들고 무게는 가벼워진다. 겉껍질이 종종 쪼개지고 구근의 경반에서 분리된다. 썩은 뿌리는 쉽게 뽑히고 뿌리가 없다. 양파에서는 생장이 저해된다. 잎은 팽대하고 황색 반점이 생기며 둥글게 말린다. 병변이 나타난다. 줄기에는 부풀어진 부분이 생기는데 이를 ‘스피클(spikkle, 반점)’이라 한다. 
성충이 구경의 인편에 이동하여 가해하면 인편은 부드러워지고 회색으로 되며 단단하지 못하고 느슨하게 된다. 심하게 피해를 받으면 구경은 쪼개지고 기형적으로 부풀어진다. 모종에서 피해가 심하다. 모종은 기부가 비대해지고 옆으로 넘어지며 고사한다. 피해 받은 구경은 저장 중에도 진전이 된다. 일단 기생하면 방제는 어렵다.


정기자  마늘이나 양파 외에 나타나는 마늘줄기선충의 증상은?
추박사 몇몇 작물에서 나타나는 증상 몇가지만 예를 들면 귀리나 겉보리에서는 절간이 짧아지고 분얼수는 비정상적으로 증가한다. 잎은 마르거나 비대해지고 출수는 되지 못한다. 고구마에서 괴경에 갈색 윤문이 생겨 흑색으로 발전하고 결국 썩는다. 감자는 지상부의 절간이 짧아지고 비대해지며 기형이 된다. 괴경의 피층은 비대해지고 갈변된다. 저장성분은 소실되고 코르크질의 형성층이 발달한다. 침입 부위에 흑회색의 반점이 생긴다.  꽃잔디는 잎이 시들고 죽는다. 누에콩은 줄기에 적갈색의 병변이 생겨 흑색으로 변한다. 어린 콩의 꼬투리는 짙은 갈색이 된다. 콩알은 작아지고 비틀어지며 반점이 생긴다. 
알팔파는 불규칙적으로 생육 부진이 나타난다. 절간은 짧아지고 줄기는 팽대해진다. 잎의 엽맥과 엽맥 사이에 주름이 생긴다. 절간은 짧아진다. 줄기와 잎은 비틀어지고 기부는 팽대해진다. 지제부는 쉽게 부서지고 끊어진다. 줄기는 백흑색으로 되고 결국 죽는다. 세균이나 곰팡이에 의한 시들음병도 촉진시킨다. 
히아신스나 수선화는 잎에 작은 황색 반점이 생겨 점차 커지고 결국 비틀어지며 변색된다. 구근에는 갈색 윤문이 생긴다. 구근에 기생하면 꽃은 늦게 피고 감염 팻취는 쉽게 구분된다. 구근의 인편은 속이 퍼석퍼석하게 스폰지처럼 된다. 발생 부위는 황갈색에서 회갈색으로 발전하고 고리형태가 된다. 괴사는 아래쪽으로 확대된다.

튤립에서의 피해는 꽃이 피기 직전 분명해진다. 줄기 한쪽에 백색 또는 자주색의 줄이 생겨 꽃이 피면서 꽃 바로 밑에 커져 아래쪽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부풀어지고 찢어진다. 때로는 위쪽의 꽃잎으로 전개되기도 한다. 심하게 기생당한 구근은 결국 썩고 죽는다.  

 

정기자  마늘줄기선충은 어떻게 방제하는가?
추박사 일단 감염이 되면 방제가 쉽지 않기 때문에 건강한 번식체를 심는다. 감염 토양에서 재배한 마늘 등은 심지 않는다. 비록 건강하게 보여도 종자근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감염지역의 물건이나 작물 부스러기들은 새로운 지역으로 옮기지 않는다. 살선충제로 토양을 처리한다. 피해 지역에서 사용한 농기구와 장비는 깨끗이 세척한다. 잡초는 철저히 제거한다.

저항성 품종의 선택도 좋은 방법이다. 전파 위험이 있는 수입 식물은 검역을 철저히 한다. 마늘 심기 전에 비교적 약한 기주인 당근, 감자, 시금치, 옥수수, 밀 등을 경작하는 방법의 윤작을 한다. 겨자, 평지, 기름식물, 무, 수단그라스 등의 녹비작물을 심어 갈아엎은 후 마늘을 심는다.

구근류는 온탕 침지법을 사용한다. 즉, 휴면 중인 수선화 구근은 44-45℃의 온탕에 3시간 침지하고, 마늘은 25℃의 온탕에 2시간 침지한 후 다시 49℃의 온탕에 침지하면 효과가 있다. 그러나 온탕 침지법은 마늘 종자에 있는 선충은 감소시킬 수 있으나 완전하게 제거할 수가 없어 적극적으로 권하는 방법은 아니다.



정남준 namjunchung@paran.com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