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부터는 주요 해충인 나방류에 기생하는 선충을 시작으로 주요 곤충기생선충에 대하여 차례로 알아보자.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나방에 기생하는 선충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나방은 농작물뿐만 아니라 산림 내의 수많은 식물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는 중요한 해충이다. 나방에 기생하는 주요 선충은 곤충병원성 선충 외에 절대(완전) 기생충인 ‘헥사머어미스’, ‘앰피머어미스’, ‘오보머어미스’이다. 이들은 농림생태계에서 높은 비율로 기생하고 있어 나방의 밀도를 자연적으로 억제하고 있다. 특히, 독나방선충(헥사머어미스 알비칸스)과 검거세미나방(헥사머어미스 아르발리스)은 수많은 종류의 나방 애벌레에서 기록되고 있고 앰피머어미스는 이화명충에서 최초로 발견된 선충이다.
열대거세미나방선충(오보머어미스 사이넨시스)은 열대거세미나방 애벌레에서 발견되었다. 이들은 모두 잠자리와 메뚜기에서도 발견된다. 4령 충(후기생충)의 꼬리에 있는 표피형 돌기가 특징적이다. 예를 들면, 헥사머어미스 4령 충의 꼬리 끝 표피형 돌기는 돼지 꼬리 모양이고 앰피머어미스 4령 충의 꼬리 끝 표피형 돌기는 화살촉 모양이다.
정기자 후기생충은 무엇을 뜻하나?
추박사 헥사머어미스나 앰피머어미스 등 머어미스류 선층은 알에서 부화한 2령 유충이 기주를 침입한다. 침입한 2령 충은 기주의 몸속에서 영양을 취하면서 빠르게 탈피하고 성장하여 3령 충과 4령 충으로 발육한다. 그리고는 4령 충으로 기주를 탈출한다. 이때 기주를 침입한 2령 유충을 ‘전기생충이라 하고 탈출하는 4령 유충을 ‘후기생충’이라 한다.
정기자 절대(완전)기생충은 무엇을 뜻하나?
추박사 선충과 곤충의 관계는 3그룹으로 나눈다. ‘편승’, ‘임의(조건)기생’, ‘절대(완전)기생이 그것이다. ‘편승’은 자유생활을 하는 래브디티드 선충처럼 스스로 이동력이 없는 선충이 곤충을 이용하여 새로운 서식처로 옮겨가는 것을 말한다. 편승에는 체내 편승과 체외 편승이 있다.
체내 편승은 선충이 곤충의 창자 등 소화계 내에 살다가 곤충이 알을 낳거나 배설할 때 새로운 서식처로 옮겨지는 경우이고 체외 편승은 선충이 곤충의 날개나 복부, 다리 등에 묻어 이동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나무좀의 몸속과 갱도에는 수많은 종류의 자유생활 선충이 기생하거나 서식하고 있다. 이들은 나무좀의 창자나 시초 밑에 있다가 나무좀이 새로운 나무를 가해하기 위하여 이동할 때 함께 옮겨져 새 서식처에 정착한다.
정기자 임의기생은 무엇을 말하나?
추박사 임의 기생하는 선충은 환경 조건에 따라 생활에 변화가 있다. 때문에 조건 기생 선충이라고도 한다. 영양을 섭취하기 위하여 곤충에 기생하기도 하고 자유생활도 하는 등 환경 조건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는 생활방식을 가진다. 임의기생충은 곤충에 침입력이 있으면서 기주 밖 환경에서는 자유생활을 하며 발육과 번식력을 가진다. 자유생활을 벗어나면 곤충이 있어야만 발육할 수 있다. 이때는 절대기생이 된다.
정기자 임의기생 선충은 어떤 방법으로 영양을 취하는가?
추박사 임의기생 선충이 곤충으로부터 영양을 섭취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첫째는 기주의 체강에 침입하여 발육을 시작하는 침입태 유충이 대표적이고 둘째는 기주의 소화관이나 외부로 열린 선에 들어가 성장하고 번식할 때 일어난다. 기주에 해를 끼치고 심지어 기주의 파괴를 초래한다. 파괴의 경우 선충은 기주의 치사체 내에서 세균을 계속 섭취하며 생성물을 붕괴한다. 래브디티드 선충이 좋은 예이다.
정기자 임의기생 선충의 첫 번째 예는 어떻게 영양을 섭취하나?
추박사 첫 번째 방법으로 영양을 섭취하는 선충은 똥풍뎅이의 임의기생충인 ‘유디프로가스테르’를 들 수 있다. 똥풍뎅이 먹이인 동물의 배설물에 있던 유디프로가스테르 3령 충이 똥풍뎅이 유충에 의하여 먹히면 선충은 유충의 창자벽을 뚫고 혈체강으로 침입한다. 그리고 기주의 몸 안에서 선충은 체장과 체폭이 점차 성장한다. 그러나 탈피는 하지 않는다. 심지어 똥풍뎅이가 번데기나 성충이 되어도 탈피는 하지 않는다. 그러다가 표피를 통하여 취한 저장 영양이 가득한 선충은 똥풍뎅이가 산란할 때 배설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는 배설물이 마르기 시작할 때까지 세균을 먹고 살면서 성충이 되고 번식하는 생활사를 계속하면서 침입태가 다시 만들어진다.
선충은 똥풍뎅이에서 영양적으로 발육을 완성할 수 없고 외부의 세균을 먹기 위하여 똥풍뎅이의 몸 밖으로 나와야 한다. 한편, 완전 기생에 한 걸음 더 나아간 임의기생 형태는 왕사슴벌레에 기생하는 ‘오쉐이우스’ 선충이다. 선충의 유충은 사슴벌레 애벌레의 창자와 체강에 침입하고 사슴벌레가 성충이 될 때까지 기생하면서 성충으로 성숙하고 교미한다. 그러면서 사슴벌레가 알을 낳도록 두다가 선충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사슴벌레는 죽게 되고 선충은 썩어가는 사슴벌레의 치사체에서 번식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