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자재신문=신승환 기자] 환자나 보호자의 이야기를 듣고 코골이 해결을 위해 이비인후과의 일반진찰, 화이버내시경검사, X-선 검사로 진단이 된다. 코골이 치료는 수면중다원검사를 진행하고 시작한다. 체중을 줄여야하며, 수술적 치료는 가장 효과적이며 수술 받은 환자의 약 85%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과로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코골이가 심해진다. 심한 코골이는 기도가 좁아져서 숨을 잘 쉴 수 없게 만들며, 목이 건조해지게 된다. 코골이는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두 번째 인두 주변 근육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인두의 기도 확장근의 힘이 횡격막에 의한 흉곽 내 음압을 이겨내지 못할 때에도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
수면 중 유발되는 저산소증등은 코골이가 위험한 이유로 손꼽힌다. 코골이가 심한 사람은 목이 건조해지기 때문에 잠에서 자주 깨는 불면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소아의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의 가장 큰 원인은 편도 비대와 아데노이드 비대이다. 주로 피로감, 주간 졸림증(기면증), 성격 변화, 성 충동 감소, 심한 두통 등이 생긴다.
자세 치료가 있다. 몸을 30도 정도 틀어서 옆으로 눕되, 상체를 약간 높이면 이런 현상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이때 바닥과 등의 각이 30도가 되게하고, 베개 높이는 목이 바닥에서 6cm 정도 들리는 정도가 적당하다. 등 아래에 낮은 쿠션이나 베개를 받치는 것도 도움된다.
일반적으로 체중이 제일 많이 나가는 사람들이 코골이가 심하다고 한다. 비만인 경우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도 지방이 쌓이는데, 그 중의 한곳이 바로 코골이가 발생하는 상기도이다. 정상체중을 유지하는게 중요하다. 여성들에게도 수면무호흡증, 상기도저항증후군 등이 발생한다. 주로 폐경, 하악 저 성장 등이 주원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