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강원도 지역의 고랭지 채소 재배단지에서 씨스트선충이 발생하여 막대한 해를 끼치고 있다. 따라서 이번 호에는 중요한 식물기생선충 중 씨스트선충에 대해 알아보자.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식물기생선충 중 주요한 선충은 어떤 것들이 있나?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작물의 종류와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예를 들면, 뿌리혹선충(Meloidogyne), 씨스트선충(Heterodera, Globodera),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줄기구근선충(Ditylenchus), 감귤선충(Tylenchulus), 검선충(Xiphinema), 굴선충(Radopholus), 콩팥형선충(Rotylenchulus), 나선선충(Helicotylenchus), 거짓뿌리혹선충(Nacobbus), 잎선충(Aphelenchoides),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등이다.
정기자 위 중요 선충들 중 우리나라에서 문제가 되는 선충은?
추박사 작물의 중요도와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다. 위 선충 중에 뿌리혹선충과 씨스트선충, 뿌리썩이선충, 소나무재선충, 줄기선충, 잎선충 등에 의하여 많은 경제작물이 피해를 받고 있다.
한편, 그러나 교역품과 재배작물의 종류 증가, 재배지의 다양화, 지구의 온난화 등은 돌발 선충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은 1980년대 후반에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소나무림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으며 사탕무우시스트선충은 2011년 전후 강원도 태백지역의 고랭지 배추재배지에 발생한 이래 계속 번지고 있다. 이들은 화훼작물과 채소작물에 문제되고 있는 작은뿌리파리처럼 교역 과정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기자 씨스트선충은 어떤 선충인가?
추박사 식물의 뿌리를 파고 들어가 한곳에 머물며 피해를 주는 정주형 내부기생선충이다.
암컷은 구형 또는 레몬형이다. 직경은 0.5~0.6mm이다. 수컷은 실모양이다. 체장은 1~1.5mm이다. 암컷 초기의 포낭은 희거나 옅은 노란색이고 표피는 두껍다.
암컷은 죽으면 표피가 갈색과 흑색으로 변하고 단단해진다. 그리하여 건조 등 열악하고 거친 환경에서도 생존력이 강한 선충이다. 낭종(주머니)에 있는 알을 실온에 보관했을 때 건조한 토양 조건에서도 9년간 생존하면서 감염력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이다.
정기자 씨스트는 무엇을 말하는가?
추박사 시스트선충은 2령충이 기주를 침입한다. 뿌리 내부에 침입한 2령충은 3령충, 4령충, 암컷과 수컷으로 성장하고, 성장한 암컷은 뿌리의 표면으로 이동한다. 그리고는 교미 후 수십개에서 수백개의 알을 품은 채로 죽으면서 갈색으로 변하고 단단한 주머니 형태로 흙 속에 남는다. 씨스트란 암컷의 형태인 주머니 모양에서 따온 말이다.
정기자 씨스트선충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
추박사 씨스트선충에는 씨스트선충(Heterodera, 콩, 사탕무우, 벼 등에서 발견), 둥근씨스트선충(Globodera, 감자, 쑥 등에서 발견)무창씨스트선충(Afenestrata, 대나무에서 발견), 선인장씨스트선충(Cactodera, 선인장 등에서 발견), 크라이포데라씨스트선충(Cryphodera, 사과 등에서 발견), 오리선충(Sarisodera, 물푸레나무에서 발견) 등이 있다.
정기자 시스트선충류 중 중요한 선충을 들라 하면?
추박사 콩씨스트선충, 사탕무우씨스트선충, 감자씨스트선충이 가장 심각한 씨스트선충이다.
그리고 많은 종류의 콩과 식물과 오이, 호박, 주키니호박 등을 가해하고 있는 클로버씨스트선충은 이태리와 프랑스 남부의 온실에서는 카네이션의 심각한 해충이 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의 고랭지 배추재배지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정기자 씨스트선충은 식물에 어떻게 피해를 주나?
추박사 뿌리 내부에 침입한 2령충은 뿌리 속에 구침을 박고는 기주식물의 양수분을 취하면서 양수분의 흡수를 방해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을 멈추게 한다. 그리하여 식물은 생장이 저해되고 시들음, 황변, 수확 감소, 고사 증상이 나타난다.
배추는 생육 저하와 결구 불량이 나타나고 무에서는 뿌리의 기형, 2차 보상성 뿌리의 생성, 지나치게 과다한 섬유질 뿌리의 형성이 일어난다.
상품성은 떨어지고 수확량은 급격히 감소한다. 시스트선충의 알이 그람당 18개만 있어도 캐비지는 수확량이 28%나 감소한다.
정남준 기자 namjunchung@par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