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농업의 확대로 인해 농업용 드론(무인항공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삼섭 농협경제연구소 실장은 기술 발달과 지속적인 가격 하락으로 농업용 드론의 보급이 확대될 전망이며 미래 농업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밀농업은 각 지역의 일조량, 수분, 토양의 상태, 해충 피해의 정도를 항공사진으로 정밀 측정해 관리함으로써 생산력을 극대화하는 농법이다. 이에 구입비용이 비싸고 조정이 어려운 헬기보다 가격이 저렴하면서 사용이 쉬운 드론 개발로 정밀 농업이 확대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원격 농장 관리로 영농 수행의 수월성이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는 농업인이라고 해서 농장에 직접 나와 일을 할 필요는 없게 될 것이다. 카메라와 센서를 장착한 정찰용 드론이 농장을 관찰하다가 문제가 발생하거나 처리해야 할 일이 생기면 스마트 기기에 알려주게 된다. 밖에서 다른 일을 하던 농장 주인은 스마트 기기로 농장의 상태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도록 드론에게 명령만 내리면 되는 것이다.
또한 농업용 드론에 의해 농가당 영농 가능 면적이 증가돼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사람이 농장을 직접 돌볼 경우, 시간과 체력적인 한계로 한 사람이 운영할 수 있는 농장의 규모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드론을 이용하면 한 사람이 돌볼 수 있는 농장의 규모가 급격히 늘어나게 됨에 따라 짧은 시간, 적은 인력으로 넓은 농장 운영이 가능하다. 빠른 속도로 오랫동안 비행을 하며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하면 넓은 지역의 농장에 쉽게 비료와 물을 줄 수도 있다. 이 모든 과정은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를 통해 원격조정이 가능하고 자동화가 가능하다.
농업용 드론을 통해 친환경농업의 확대도 가능하다. 드론은 농작물 가까이 날아다닐 수 있고 카메라와 센서로 농장 어느 곳에 병충해가 발생했는지 빠르게 발견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넓은 농장을 모두 관리하기 어려워 모든 농작물에 농약을 주는 현재와 달리 농장을 더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실제 세계적 드론 생산 업체인 3D 로보틱스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필요한 지역에만 농약을 뿌리는 드론을 개발하고 있다.
드론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와 드론 사용에 대한 제도적 법안 마련 검토도 필요하다. 사회적 문제 중 가장 심각한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사생활 침해에 대한 것이다.
드론은 가격이 싼 편이고 조작이 쉬어 누구나 드론에 장착한 고화질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이 가능하다. 이삼섭 실장은 “제도적으로는 드론의 사용 면허, 활용 목적, 사용 규칙 등을 포괄하는 규제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고령화와 젊은층의 농작업 기피 현상으로 인한 농업·농촌 문제 해결을 위해 농업용 드론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 사용 규제 간소화 등에 대한 규정과 기준 마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