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농기계 수출 실적이 지난해 동기 대비 20.6% 증가하는 등 농기계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세계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농기계 수출은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금년 수출액은 당초 목표액 7억달러보다 크게 상회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금년 상반기 농기계 수출액은 4억1200만달러로 전년 동기(3억4200달러) 대비 20.6%(7천만달러) 증가하는 성과를 보였으며, 금년말까지는 지난해 보다 약 23% 증가한 7억5000만달러를 전망하고 있다. 상반기 주요 수출 품목을 보면 트랙터가 전체의 56.1%(2억3100만달러)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부품이 12.9%(5300만달러), 작업기가 11.4%(4700만달러), 도정기계가 5.7%(2400만달러)로 뒤를 잇고 있다. 수출 국가별로는 미국이 전체의 38.6%(1억5900만달러), 중국 8.5%(3500만달러), 호주 3.9%(1600만달러), 일본 3.6%(1500만달러) 순이며, 태국 3.5%(1400만달러)·인도 2.2%(900만달러) 등 신흥시장의 급부상이 눈에 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와 같은 결과는 수출지역․시장별로 현지 수요에 맞는 다양한 모델 개발 등 농기계 제조업체의 공격적인 수출마케팅 전략이 세계시장의 수요 여건에 적중하였기 때문이다. 또 ‘92년부터 격년제로 개최되는 대한민국 국제농기계․자재박람회(KIEMSTA) 개최 및 해외박람회 참가 지원 등을 통한 국산 농기계의 해외 홍보활동 강화 등의 노력에 힘입은 결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농식품부는 농기계 수출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난 5월에 농기계 수출전략협의회를 구성한 바 있다. 8월 16일에는 제2차 농기계 수출전략협의회를 개최하여 상반기 농기계 수출실적을 점검하고 수출방안을 논의하는 등 농기계 수출의 내실화를 기하고 있다. 이범섭 농식품부 식량산업과 사무관은 “앞으로 수출전략협의회의 정기적인 개최와 농업협력사업과의 연계, 수출 마케팅 지원 등으로 농기계 수출 활성화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