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 수요가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였으나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농기계 판매 감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위축 등으로 올해는 전반적인 감소가 예상됐다. 농촌진흥청과 농협중앙회이 공동으로 8개도 25개 시․군의 농업기계 대리점 및 지역농협을 대상으로 트랙터 등 8기종에 대해 "2009 농업기계 수요동향 조사결과" 이앙기, 곡물건조기 등 대형기종은 6.7~10.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경운기 등 소형기종은 지방자치단체의 보조사업량 확대로 오히려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트랙터는 2008년 대비 6.7%, 이앙기는 10.7%, 곡물건조기와 스피드스프레이어(SS기)는 약 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크기별 감소 정도는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반면 콤바인의 경우 3조와 4조는 각각 25.7%, 0.6% 감소하고 5조 이상은 12.7% 증가해 전체적으로 2.9% 증가할 것으로 조사됐다. 소형기종인 경운기, 관리기, 농산물건조기(유류식)는 각각 10.7%, 16.4%, 4.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진청 관계자는 “농업기계 수요는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농업기계의 대형화 추세로 농업기계 구입지원 융자금이 지난해 6350억 원에서 올해는 2.6% 증가한 6512억 원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다”며 “수요조사 예측의 정확성을 높여 농가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농기계를 적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농기계 수요동향 조사는 지난 1998년부터 농업기계화 정책수립․집행, 농업기계의 연구․생산․유통과 관련한 참고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매년 연초에 실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