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2022.07.14 17:15:29

KREI, 2011년부터 매년 연구 보고서 발간
세계농업 현황 파악 및 한국농업 위상 확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홍상. 이하 ‘KREI’)에 따르면 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 체결 확대로 농산물 시장 개방이 가속화되고 세계 각국의 농업 여건이 더욱 밀접해지면서 해외 농업·농촌에 대한 통계정보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부합하고자 KREI는 지난 2011년부터 매년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지난 5월 발표된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살펴봤다.


세계 평균 1인당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GNI)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하락세를 보이다 2017년부터 상승세가 나타났으나, 2020년에는 전년 대비 3.9% 하락했다. 한국 1인당 GNI는 전반적으로 우상향하고 있는 추세를 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코로나19 직후인 2020년에는 직전보다 급격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1 참조)

 

 


세계 농림어업 GDP 비중 지속 감소추세… 최근 3개년 세계 평균 4.1%, OECD 1.4%, 한국 1.7%
세계 농림어업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3개년(2018~2020년) 평균 세계 농림어업 GDP 비중은 4.1%이며,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 농림어업 GDP 비중은 1.4%이다. OECD 회원국 중에서 최근 3개년 평균 농림어업 GDP 비중은 터키가 6.3%로 가장 높고, 뉴질랜드, 아이슬란드, 그리스, 라트비아, 칠레, 멕시코 등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농림어업 GDP는 2020년 300억 달러로 전년보다 9.0% 증가했고, 총 GDP에서 농림어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1.8%로 전년 대비 0.1%p 증가했으나, 2005년 2.6%와 비교하면 0.8%p 감소했다. (표2 참조)

 

 


세계 경지면적, 국토면적의 약 11.6%… 2010년 이후 12% 내외 유지
2019년 세계 경지면적은 15억 5,358만 헥타르 (ha)로 전년과 비슷하며, 한국의 경지면적은 158만 ha로 전체 국토면적의 15.7%를 차지했다. 최근 3개년(2017~2019년) 평균 세계 경지면적은 전체 세계 국토면적의 약 11.6%이며, 경지면적 비중은 2010년 이후 12%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OECD 회원국의 평균 경지면적 비중은 10.7%이며, 덴마크가 56.1%로 가장 높으며, 헝가리, 폴란드, 프랑스, 독일, 리투아니아, 스페인 등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국들 중 프랑스와 독일의 경지면적 비중이 30%보다 높은 반면에 네덜란드, 영국, 이스라엘 등은 20~30%, 한국, 미국, 중국, 일본 등은 10~20%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국토면적 대비 경지면적의 최근 3개년 평균 비중이 15.9%로 OECD 회원국 중에서 22위이며, 2005년 18.3% 대비 2.4%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농지면적 대비 유기농업 면적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오스트리아로 2020년 기준 26.5%인 67만9,872ha였으며, 스웨덴 20.4% (61만3,964ha), 우루과이 19.6%(274만2,368ha), 이탈리아 16.0%(209만5,380ha), 체코 15.3% (53만9,532ha)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0.5% (243만5,000ha)였다.
한국의 유기농업 면적은 2020년 3만8,540ha로 전년보다 29.7% 증가해 전체 경지면적의 2.3%를 차지했다. 특히 지난 2015년 1만8,136ha 에서 2016년 2만165ha, 2017년 2만700ha, 2018년 2만4,700ha, 2019년 2만9,711ha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세계 농촌인구 비중 감소추세… 
최근 3개년 평균, 약 45.0% 차지

2019년 세계의 농촌인구는 34억명으로 전년보다 감소했다. 최근 3개년(2017~2019년) 평균 세계 농촌인구는 총인구의 약 45.0%를 차지하고 있다. OECD 회원국의 평균 농촌인구 비중은 19.5%이다. 회원국 중 슬로바키아가 46.2%로 가장 높으며, 슬로베니아, 오스트리아, 폴란드,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농촌인구는 942만 명으로, 전년보다 0.6% 감소했다. 최근 3개년 평균 비중은 18.5%로 2005년 18.7% 대비 0.2%p 감소했으며, OECD 회원국들 중에서는 21위에 자리하고 있다. (표3 참조)

 


최근 3개년 평균 세계 곡물자급률 100.3% 한국 20.3%, 2005/06년 대비 9.0%p 하락
최근 3개년 (2019/20~2021/22) 평균 전 세계 곡물자급률은 100.3%이며, 한국은 20.3%로 2005/06년 29.3% 대비 9.0%p 하락했다. 호주 곡물자급률은 274.6%, 캐나다 170.5%, 미국 121.6%로 세계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며, 중국과 일본은 각각 92.9%, 27.0%로 세계 평균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0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9억9,614만 톤으로 전년 대비 0.6% 증가했으며, 한국은 전년 대비 6.2% 감소한 494만 톤으로 나타났다. 그중 세계 쌀 생산량은 7억5,674만 톤으로 전년 대비 1.0% 감소했으며, 중국과 인도가 전체의 약 51.6%의 비율을 보였다. 국내 곡물 수급에 대해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전년보다 6.0% 감소한 471만 톤의 쌀을 생산해 전체의 0.6%를 차지했다.


농업 예산 및 농가 소득, 주요국 농업소득 상승세
2022년 한국의 농림축산식품부 지출규모는 전년 대비 3.6% 증가한 16조8,767억원으로 국가 총 지출규모의 약 2.8%를 차지했다. 미국의 2021년 농업부문 총지출은 1,462억1,6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3.2% 증가했고, 호주는 71억454만 호주달러(AUD)로 전년 대비 13.1% 감소했다. 일본은 2조3,050억엔으로 0.3% 감소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표4 참조)

 


2020년 한국의 농가소득은 4,513만원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다. 농외소득, 비상경소득은 전년 대비 각각 4.1%, 1.1% 감소한 반면, 농업소득, 이전소득은 전년 대비 각각 15.2%, 27.0% 증가했다.
주요국의 농가소득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미국은 감소세를 이어오던 농가소득이 2018년을 기점으로 11만 2,210달러를 기록했으며, 이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캐나다의 경우, 2018년에 전년 대비 32.7% 감소한 486만5,808캐나다달러(CAD)를 기록했으며, 2020년엔 전년 대비 84.4% 상승해 942만9,923 캐나다달러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국의 농업소득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중국의 경우 2013년 44.6%의 큰 폭으로 상승한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 농업소득은 전년 대비 5.5% 상승한 6,077위안으로 나타났다. 미국도 감소세를 이어오던 농업소득이 2019년을 기점으로 농업소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표5 참조)

 


한편,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연구 보고서는 주요 해외 농업 통계를 총량지표, 농업생산지표, 생산요소지표, 수출입지표, 소비지표 등으로 구분해 국가별, 품목별로 정리했다. 
제2장 세계편에서는 다수의 선진국을 포함하는 OECD 회원국과, 한국과 연관성이 높은 중국을 비교대상국으로 선정해 주요 농업거시지표들에 대한 국가 간 비교를 통해 농업부문의 구조 변화를 파악했다. 
제3장 품목편에서는 각 국가의 생산 및 재배 면적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한국 농산물 생산 및 수출입과 연관성이 높은 품목을 선정해 수출입 현황을 정리했다. 제4장 국가편에서는 한국을 중심으로 미국, 브라질, 호주, 중국, 프랑스 등 대륙별 주요 국가의 농업 예산 및 농가 경제 현황 지표에 대해 해당 국가의 정부기관 자료를 이용해 정리했다.


김홍상 원장은 “주요 지표에 대해서는 최근 데이터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농업 동향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 속 한국농업의 위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며 “국가별로 농산물 특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질의 농산물로 가정한 직접적인 비교가 큰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나, 해외 각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기초로 하였기 때문에 일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또한,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통계는 정부의 정책수립, 관련분야 연구 등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며 “향후 국내외 통계 이용환경이 더욱 개선되고 발전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보고서가 전반적인 세계 농업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농업의 위상을 살펴볼 수 있는 참고자료로 널리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창수 cslee69@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