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농업박물관(관장 오경태)은 우리나라 전통 농경문화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오는 21일 박물관 야외농업체험장 다랑이논에서 홍천겨리농경문화 시연과 손 모내기 체험 행사를 개최한다.
홍천겨리농경문화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33호로, 험준한 지역 특성상 두 마리의 소가 짝을 이뤄 보조를 맞추며 쟁기를 끄는 방식의 ‘겨리’ 농경이 발달하였다. 두 마리의 소가 끄는 겨릿소 써레질과 소와 쟁기꾼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해 형성된 ‘소 모는 소리’는 이 농경문화의 핵심이자 소중한 농경문화로, 이번 행사에서는 홍천겨리농경문화보존회가 직접 시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행사 종료 후, 국립농업박물관과 홍천군 간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행사와 업무협약을 계기로 상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농경문화 보존 및 지역 농업·농촌 활성화 등 다양한 상생 협력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손 모내기 체험은 수원 구운초등학교 학생 120여 명과 함께 진행하며, 경기도종자관리소에서 제공받은 붉은차나락 등 13종의 토종벼를 심는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구운초등학교 학생들은 쌀의 중요성과 모내기에 대해 배운 후 직접 모내기를 하며 쌀 한 톨, 밥 한 그릇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모내기한 벼는 가을에 전통 방식으로 벼베기와 탈곡 체험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경태 국립농업박물관장은 “이번 행사는 미래세대가 사라져가는 농경문화를 직접 체험하며 그 가치를 되새길 수 있는 뜻깊은 자리”라며, “우리 박물관을 농업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는 생활 문화공간으로 가꾸어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