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시에이(CA)저장고, 엠에이(MA) 기술 등 저장 기술을 현장에 확대, 적용해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7월 10일 충북 보은거점산지유통센터(APC)를 찾아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 도입 현장을 둘러보고, 보급 과정에서 생긴 어려움과 개선점을 논의했다.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 저장된 농산물의 생리적인 특성을 자동으로 감지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는 2세대 시에이저장고이다.
최근 이상기후로 농산물 수급이 불안정해지면서 이를 완화할 방안으로 능동형 시에이(CA) 저장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봄배추를 장기 저장해 여름철에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2024년 개발, 보은거점산지유통센터에 설치한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에 지난달 10일 봄배추를 입고했다. 앞으로 3개월 동안 저장 중 신선도를 실증할 계획이다.
이곳에 저장된 봄배추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이티, aT)가 정부 수매로 확보한 약 69톤과 민간업체 3곳에서 각각 7톤씩을 제공해 모두 90톤이다.
권재한 청장은 “대형 유통센터에서 이용하던 외국의 시에이(CA) 저장 기술은 높은 설치비, 유지보수의 어려움, 국내산 농산물과의 물성‧생리 특성 차이 등으로 농업 현장에 적용하기가 어려웠다.”라며 “이를 보완해 국립농업과학원에서 개발한 국산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의 현장 보급에 속도를 내겠다.”라고 약속했다.
이날 권 청장은 전남 장성으로 이동해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 개발한 ‘수확후관리 통합(패키지) 기술’을 적용, 봄배추를 저장하고 있는 정부 비축기지 현장을 점검했다.

수확 후 관리 통합 기술은 ▲예비 냉장‧예비 건조 ▲엠에이(MA) 필름 포장 ▲저온저장을 결합한 것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 방식보다 저장기간이 2배 이상(80~90일) 늘어 6월 수확한 봄배추를 9월까지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다.
▲봄배추 수확후관리 MA 패키지 기술 적용 현장 실증
▷엠에이(MA) 필름: 선택적 가스 투과성이 있는 필름을 활용하여 포장 내부의 산소, 이산화탄소를 조절하고, 중량감소(증산)를 억제해 저장성을 높이는 기술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전남 장성 비축기지를 포함한 5곳에서 봄배추 177톤을 대상으로 엠에이 저장 실증과 품질 평가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초기 배추 상태와 품질관리 수준별 저장성을 비교해 가장 효과적인 저장 모형(모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권재한 청장은 “봄배추를 신선하게 오래 저장하는 것이 여름철 배추 수급을 안정적으로 뒷받침하는 지름길이다.”라며 “저장 기술의 현장 적용을 확대하고,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적극적으로 소통· 협력해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화에 힘쓰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