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7월 16일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국산 여름딸기 우수계통 현장 평가회’를 개최한다. 고령지농업연구소는 국내 유일의 사계성 딸기 품종 연구기관이다.
▲여름딸기 품종 후보계통 ‘22-2-18’
국내산 딸기는 대부분 9월에 정식한 뒤 11월 말에 첫 수확(촉성작형)해 겨울과 봄철에 집중적으로 출하하고, 여름부터 가을까지는 생산을 중단한다. 하지만 사계성 품종은 여름철 고온장일(高溫長日, 일조시간이 12시간 이상) 조건에서도 꽃대가 나와 여름철에도 생딸기를 맛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발 500m 이상 고랭지에서 여름부터 가을까지 생산된다.
* 사계성 품종: 고온기에도 장일 조건일 때 꽃대가 만들어지는 개화 특성을 가진 딸기 품종. 국내 여름의 고온장일 조건에서 개화할 수 있어 주로 여름 작형으로 재배
이번 평가회에서는 여름철 이상고온 환경에서도 안정 생산이 가능한 ‘복하’와 ‘미하’ 등 국산 여름딸기 사계성 품종 3종과 ‘대관 7-1호’ 등 품종 후보 계통 5종을 소개하고 재배 안정성 및 수익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특히 전국의 딸기 육종가와 연구기관, 재배 농가, 가공업체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해 모양, 맛, 경도, 향기, 색상 등 특성을 두루 평가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은 최근 이상고온으로 고품질 내서성 품종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이번 현장 평가회가 농가와 업체의 요구를 반영한 실용형 품종 개발 가능성을 진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산 여름딸기 품종 ‘무하’, ‘미하’를 재배하는 배현표 농업인(경상남도 합천군)은 “여름딸기 육종 과정을 직접 보고, 우수계통 평가에 직접 참여하는 기회가 주어져 기쁘고, 더욱 우수한 품종이 개발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2002년부터 여름과 가을철 단경기에 출하할 수 있는 ‘무하’, ‘미하’, ‘고슬’ 등 여름딸기 품종을 개발, 보급하고 있다.
현재 전북특별자치도 무주, 경상남도 합천, 강원특별자치도 평창 등 고랭지 지역에서 여름 딸기를 재배하고 있다. 국내 재배 면적은 약 40헥타르(ha)로 점차 증가 추세이다. 단경기에 출하되는 여름딸기는 겨울딸기보다 단가가 높아 고소득 창출 작목으로 기대받고 있다.
농촌진흥청 조지홍 고령지농업연구소장은 “이번 평가회를 통해 국산 여름딸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재배 농가의 선택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며, “국내 여름딸기 산업의 지속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장 중심 연구개발을 이어가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