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성장호르몬 주사가 ‘키 크는 주사로’ 잘못 알려지며 과잉 처방과 부작용 사례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자녀 성장에 관심이 높은 학부모들의 시선이 건강기능식품(건기식)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 키 성장 건기식 시장 경쟁도 점차 뜨거워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성장호르몬제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4445억원으로, 최근 5년 새 연평균 약 31%씩 성장하며 2019년(1488억원) 대비 3배 가까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호르몬제는 성장호르몬 분비장애 소아에게 처방되는 전문의약품이지만, 시중에 키 크는 주사로 알려지면서 치료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아동도 키 성장을 위해 오프라벨 처방이 이뤄지고 있다. 실제로 국정감사에서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성장호르몬 제제의 급여 처방 비율은 3%에 불과했으며 97%가 비급여 처방에 해당했다.
문제는 정상적으로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는 성장기 아동이 해당 주사를 맞을 경우 말단비대증, 척추측만증 등 근골격계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식약처에 따르면 성장호르몬 주사 관련 부작용 신고 건수는 최근 5년 새 약 4배 증가했다. 2019년 전체 436건(중대 부작용 33건)에서 2023년 1626건(중대 부작용 113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처럼 부작용 우려가 커지면서 건기식이 대체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주요 키영양제 브랜드들은 과학적 근거가 입증된 원료와 안전성을 앞세워 소비자 선택을 겨냥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는 추세다.
특히 종근당건강의 ‘아이커’, 연세생활건강 ‘키즈텐042’, 뉴메드엘앤비 ‘키클래오’ 등 키 성장 건기식 브랜드들이 입지 확대를 위해 마케팅 공세에 힘을 싣고 있다. 이들 제품은 모두 식약처에서 어린이 키 성장 기능성을 공식 인정한 ‘황기추출물 등 복합물(HT042)’를 주원료로 사용, 제품 포장에 ‘건강기능식품 인증 마크’가 부착돼 있어 소비자들이 기능성과 안전성을 믿을 수 있다.
한편 식약처는 올해 3월 키 성장 관련 제품들의 부당광고와 불법 온라인 판매 행위를 집중 점검한 결과, 모두 221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적발된 부당 광고 사례는 일반식품을 ‘키성장 영양제’, ‘키성장에 도움’, ‘키 크는 법’ 등 건강기능식품으로 오인·혼동시키는 광고가 99건(85.3%)으로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