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소 분만 전후 관리·새끼 염소 주요 질병 예방 이렇게

2025.09.08 07:47:41

농촌진흥청, 분변·비강 시료 분석으로 소화기·호흡기 질환 주원인 확인
소화기 질환 주요 원인은 ‘대장균’이 가장 많아
분만 전후 사양관리·차단방역이 피해 최소화 핵심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염소 농가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새끼 생존율과 번식 효율에 큰 영향을 주는 분만 전후 관리와 새끼 염소(자축) 질병 예방·대응 요령을 제시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강원·경상·전라·충청 지역 대규모 염소농장 5곳의 분변 시료 160건을 분석, 새끼 염소의 설사 및 호흡기 질병 발생 원인을 조사했다.

 

▲염소 자축의 주요 질병 발생요인별 원인체 분석(3월∼9월, 30두/월, %)

 

그 결과, 소화기 질환 주요 원인은 대장균(38.1%), 클로스트리듐(36.3%), 로타바이러스(5.1%)인 것으로 확인했다. 또한, 같은 시료에서 원충성 질환으로는 콕시듐(35.1%), 크립토스포리듐(21.9%), 지알디아(8.8%)가 검출돼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함을 드러냈다.

 

호흡기 질환 주요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비강 시료 63건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파스튜렐라(6.3%), 맨하이머(1.6%) 순으로 나타났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이처럼 다양한 병원체가 새끼 염소의 소화기·호흡기 질환을 일으켜 생존율을 위협하는 만큼, 예방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분만 6주 전부터 고에너지·고단백 사료를 공급해 태아 성장과 초유 품질을 높이고, 셀레늄·비타민 이(E) 등 미네랄을 보충해 산후 질환을 예방해야 한다.

 

분만 예정 염소는 청결한 개별 분만실에서 사육하고, 태어난 새끼는 호흡 상태를 확인한 뒤 배꼽을 소독해 감염을 막는다. 출생 후 1시간 이내에 체중의 10% 이상 초유를 먹어야 면역력을 확보할 수 있다.

 

분만 후에는 깨끗한 물과 사료를 공급하고, 태반이 24시간 내 배출되는지 확인한다. 새끼 체온은 38∼39도로 유지하고, 1주일 내 철분·셀레늄 보충제를 투여하며, 2주령부터는 점차 고형 사료를 공급한다. 축사 바닥은 건조·청결하게 유지하고 젖은 깔짚은 수시로 교체한다.

 

대규모 농장의 경우 외부 병원체 유입을 막는 차단방역을 필수적으로 실시한다. 축사 출입 시 전용 장화와 작업복을 착용하고, 출입구 소독조를 상시 관리한다.

 

또한 구제역 예방을 위한 정기 백신 접종과 외부 가축 도입 시 사전 질병 검진, 격리 사육을 통해 건강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강석진 가축질병방역과장은 “염소 사육 규모가 커지면서 다양한 질병 발생 위험이 함께 늘고 있다.”라며, “체계적인 사육 관리와 철저한 방역이 농가 생산성과 직결되므로 각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명우 mwlee85@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