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기관 8개소 선정

2025.11.13 11:50:05

기존 5개 기관 포함, 교육 운영·체계 개선으로 청년 귀농인 육성 강화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 이하 농정원)은 2026년 청년귀농 장기교육 신규 운영기관으로 8개 기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청년귀농 장기교육은 영농 경험이 부족한 청년층(만 40세 미만)의 안정적인 농업․농촌 정착과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실습 중심의 장기체류형 교육과정이다.

 

신규 운영기관은 한 달여간의 공모 접수(9.23.∼10.17.), 서류 및 발표 심사(10.20.~10.31.) 후 8개 기관이 최종 선정(11.7.)됐다. 금년 장기교육 운영기관은 조기 선정됐으며 기존 5개 기관을 포함해 총 13기관에서 내년 1월부터 교육이 시작될 예정이다. 이는 예비 청년귀농인에게 농업창업에 필요한 현장경험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해 청년 귀농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번에 선정된 2026년 신규 교육기관부터 청년귀농 장기교육 운영기관의 안정적인 교육 운영·지원을 위해 교육 운영지정 기간이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 확대된다. 교육운영 성과평가 우수기관(최근 2년간 성과평가 평균 A등급 이상)은 지정기간이 자동연장되며, 교육운영기관 내부 전문가의 교육강사 비율을 기존 50%에서 80%로 확대해 기관의 교육전문성 활용을 제고한다.

 

교육과정 구성도 개선했다. 기존에는 귀농귀촌 필수 공통과목(귀농귀촌의 이해 및 지원정책, 농업농촌의 이해, 지역주민과의 융화와 갈등 관리)을 각 교육운영기관에서 자체 교육운영했으나, 2026년부터는 온라인콘텐츠로 제작해 통합 관리한다. 이에, 귀농귀촌 교육생은 해당 교과목을 농업교육포탈에서 1회만 수강하면 되고, 교육운영기관은 귀농귀촌 심화 교육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교육 운영 일정과 체계 등이 달라지고 개선된 만큼 농정원은 청년귀농 장기교육의 품질 향상을 위해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점검하고, 현장 컨설팅과 성과평가, 사후관리 등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윤동진 원장은 "이번 신규기관 조기 선정 및 운영체계 개선 등은 청년들의 농업 진입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며, ”앞으로도 청년 농업인이 안정적으로 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운영 개선과 신규교육 발굴, 컨설팅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신규 선정된 기관은 △거창축산업협동조합 섬유질사료공장, △농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바람햇살, △(사)한국농산어촌아카데미, △완주군귀농귀촌협동조합, △임실참생명협동조합, △㈜댓잎이슬농원, △㈜꽃다비팜 등 8개 기관이며, 기존 교육기관은 △그린팜스글로벌㈜, △(사)감미로운마을, △㈜도라미, △청년누리㈜(2026년 자동연장 기관), △화천현장귀농학교협동조합 등 5개 기관이다.



이창수 cslee69@newsam.co.kr
< 저작권자 © 농기자재신문(주)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PC버전으로 보기

전화 : 02-782-0145/ 팩스 : 02-6442-0286 / E-mail : newsAM@newsAM.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2길 8 미소빌딩 4층 우) 06673 등록번호 : 서울, 아00569 등록연월일 : 2008.5.1 발행연월일 : 2008.6.18 발행인.편집인 : 박경숙 제호 : 뉴스에이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