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부 보급종 ‘오대’와 ‘호품’ 불량…영농철 ‘초비상’

종자원 ‘이상기온이 주원인’ VS 농가 ‘소독제 탓’

 
정부에서 보급한 ‘오대’와 ‘호품’ 등의 벼 종자에서 싹을 틔우지(발아) 않거나 발아율이 낮은 ‘불량볍씨’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해 본격적인 모내기철을 맞아 비상이 걸렸다. 농림수산식품부·농촌진흥청·국립종자원은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피해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불량볍씨’의 발생 원인을 놓고 ‘이상기온’이라는 국립종자원과 ‘소독처리 잘못’이라는 농가들이 입장이 맞서면서 보상범위도 논란이 대상이 되고 있다. 

정부 보급종 볍씨의 ‘오대’와 ‘호품’에서 싹을 틔우지 않거나 발아율이 낮은 ‘불량볍씨’는 강원과 광주·전남 지역에 이어 충북 제천·단양에서도 발생했다.

종자원은 강원도의 ‘오대’ 벼 종자 전체 공급량(822t) 중 30% 정도에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오대’ 품종 주산지인 강원 철원지역에는 223톤이 이상 없이 공급됐으나, 고성·양양·양구·강릉 등 영동지역의 피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 제천과 단양에서도 ‘오대’ 품종의 종자에서 발아율이 떨어진다는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전남도와 광주광역시는 ‘호품’ 품종에서 발아 관련 민원이 증가해 전체 공급량(712톤)에 대해 긴급 사용중지를 조치했지만 이미 파종한 농가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보성·담양·진도·해남·영광 등지에서도 피해가 잇달아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호품’은 10a 당 평균 수확량이 600㎏을 넘는 다수확 품종으로 밥맛이 좋은데다 수확량도 많아 종자보급 3년째인 지난해 전국 재배면적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올해 공급된 ‘호품’ 품종은 상당수가 일정하게 싹이 트지 않는 발아지연 현상을 보인다는 민원이 속출하고 있다. 발아율이 50%에도 못 미친다는 게 현장 농가들의 주장이다.
경남 김해·고성 등지에서도 ‘호품’ 품종에서 불량이 발생했다. 충남 서산에서는 ‘주남’ 벼에 각각 피해가 발생했다는 민원이 제기됐다.

종자원은 2010년산 벼 보급종으로 ‘추청’, ‘삼광’ 등 모두 2만5046t을 농가에 공급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호품’ 품종은 1950톤이 공급됐으며, 전남과 광주광역시지역이 712톤으로 가장 많다. ‘오대’ 벼는 1004톤을 공급했고 강원지역이 823톤으로 가장 많다.
 
‘오대’ 냉해 강한 품종, 볍씨 하자?
농식품부·농진청·종자원은 공동으로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피해 원인 조사에 들어갔다. 종자원은 일단 날씨가 피해 발생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지난해 수확기 잦은 강우에 따른 일조량 부족 등으로 종자의 충실도와 활력이 저하돼 발아의 지연과 불균일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올해 침종과 못자리 시기에 기온이 예년보다 낮아 정상적인 발아와 육묘에 지장을 초래했다는 분석이다. 3월 하순과 4월의 평균기온이 예년보다 1~3℃ 낮은 저온현상이 나타나고 소득 향상을 위해 개발한 다수확 품종과 조생종 볍씨에서 피해가 발생한 점도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농가들은 볍씨의 발아불량 문제가 초기에는 저온에 따른 일시적 현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오대’ 품종이 냉해에 강한 품종이라는 점에서 볍씨에 하자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하고 있다.
또 종자원이 농가에 보급하기 전에 처리하는 볍씨 소독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소독작업을 하지 않고 친환경 재배용으로 공급된 ‘호품’ 품종은 이번 발아지연 현상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종자·상토·인건비 확실하게 보상해야
종자원은 ‘호품’ 품종의 사용을 중지하고 부족 종자는 공공비축벼로 대체종자를 공급하고 있다. 피해농가에 대해서는 종자대와 상토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보상범위를 놓고도 종자원과 농가들의 시각이 달라 피해 보상 문제가 쟁점화 될 것으로 보인다.

피해 농업인들은 “재파종 해야 하는 인건비가 보상되지 않으면 다시 농사를 시작하기가 쉽지 않다”며 “볍씨 자체에 문제가 있었던 만큼 종자와 상토대는 물론 인건비 등 모든 피해액을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인기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장은 이와 관련 인건비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농식품부에 전달했다. 최 위원장은 지난 11일 정승 농식품부 제2차관을 불러 “피해농가에 대해 종자대와 상토비는 물론 인건비까지 확실하게 실비 보상하고 철저히 원인을 규명해 재발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