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버섯 국산품종 보급률 46%로 상승

‘새아’ 등 보급…로열티 30억원 줄여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수출용과 수입을 대체할 수 있는 품질 좋은 우리 버섯의 개발과 보급에 힘쓴 결과, 지난해 국산 품종 보급률이 46%까지 높아졌다고 밝혔다.


버섯 산업은 병 재배 기술의 발전으로 대규모화 되면서 수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 외국품종이어서 사용료 부담이 컸다.


농진청에서는 로열티를 줄이고 품종 보급률은 높이기 위해 버섯연구사업단(2009∼2013)을 구성한 바 있다. 5년 동안 버섯 60품종을 개발해 2008년 30% 수준이던 국산 품종 보급률을 지난해 46%까지 끌어올리며 30억 4000만원 가량 로열티를 줄였다.


농진청에서 육성한 대표 품종은 양송이 ‘새아’, ‘새정’, 팽이 ‘우리 1호’, 아위느타리 ‘비산1호’ 등이 있다. 특히, 팽이 ‘우리1호’는 관리가 쉬워 일본 품종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고 수출 가능성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아위느타리 ‘비산1호’ 품종은 까다로운 재배 방법과 수량이 적은  ‘큰느타리2호’의 단점을 보완해 개발돼 새송이 품종을 대신해 수출할 수 있다.


특히 충남 부여군에서는 양송이를 특구화 하고 새 품종 ‘새아’, ‘새정’, ‘설강’을 보급해 2010년 4%에 불과했던 보급률을 2013년 27%까지 높였다.


앞으로 농진청은 품종보호전략종자개발(GSP) 사업으로 버섯 품종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시범 사업을 거쳐 보급할 계획이다. 버섯 품종육성 기반 구축(2013∼2016년)과 버섯 종균 생산 산업화(2017∼2021)로 추진되며, 올해부터 2022년까지 144품종을 육성하고 60% 보급률을 목표로 한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