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장급 승진 ▲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장 김 진 숙(金辰淑)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장 최 병 렬(崔柄烈)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장 허 윤 찬(許允燦)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장 현 재 욱(玄宰旭)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영양생리팀장 김 상 호(金相昊) ▲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장 양 병 철(梁柄哲) ▣ 과장급 전보 ▲ 대변인 서 효 원(徐孝源) ▲ 연구정책국 연구운영과장 임 기 순(任基淳) ▲ 국립농업과학원 기술지원팀장 남 성 희(南聖姬) ▲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장 방 혜 선(方惠善) ▲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장 김 현 란(金賢蘭) ▲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장 홍 하 철(洪夏鐵)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바이오공학과장 박 응 우(朴應雨)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장 김 태 헌(金泰憲)
▲ 팀장급 임용 - 농자재분석팀장 고성림 책임연구원 - 농식품분석팀장 강민욱 책임연구원
▲ 과장급 승진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장 노재환
▲ 과장급 전보 경영인력과장 부이사관 이시혜(농업금융정책과장) 농업금융정책과장 서기관 정아름(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과장 서기관 강동윤(경영인력과장)
▲ 과장급 전보 규제개혁법무담당관 서기관 임영조(농림축산식품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강원지원장 서기관 박은엽(규제개혁법무담당관)
▲ 과장급 전보 농림축산검역본부 위험관리과장 기술서기관 서영주(농림축산식품부) 국립종자원 서기관 김종필(농림축산식품부) ▲ 과장급 파견 농림축산식품부(국가균형발전위원회 파견) 서기관 박희수(종자원 서부지원장)
▲ 과장급 전보 혁신행정담당관 서기관 지성훈(과학기술정책과장) 농업역사문화전시체험관 추진팀장 기술서기관 서재호(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 식물검역과장) 농지과장 서기관 문석호(재해보험정책과장) 재해보험정책과장 기술서기관 김수일(농기자재정책팀장) 수출진흥과장 서기관 김상진(혁신행정담당관) 과학기술정책과장 기술서기관 김민욱(수출진흥과장) 농기자재정책팀장 서기관 박경희(농업역사문화전시체험관추진팀장) 농촌재생에너지팀장 기술서기관 고경봉(검역본부 식물검역과장) 농림축산검역본부 연구기획과장 서기관 이경일(검역본부 식물검역기술개발센터장)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기술개발센터장 기술서기관 홍인기(농지과장) 농림축산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 식물검역과장 기술 서기관 이연섭(농림축산식품부)
▲ 과장급 전보 산림교육원 교육기획과장 이경호
▲ 과장급 경력개방형 직위 임용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장 기술서기관(일반임기제) 홍성희(신규임용) ▲ 과장급 전출입 대통령비서실(농해수비서관실) 부이사관 박순연(농산업정책과장) 농림축산식품부 부이사관 박정훈(대통령비서실) 충청북도(농정국장) 부이사관 이상형(친환경농업과장) 친환경농업과장 기술서기관 최낙현(충청북도)
▲ 보직 농업관측본부 농축산정보분석센터장 우병준
▲ 주재관 교체 외교부(주이탈리아 대사관) 기술서기관 강효주(원예산업과) 농림축산식품부 서기관 주원철(외교부) ▲ 과장급 파견 농림축산식품부(세종연구소 교육파견) 서기관 안종현(농림축산검역본부 연구기획과장)
▲ 국장급 파견 농림축산식품부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교육파견) 일반고위직공무원 김종구(대변인) ▲ 국장급 전보 대변인 일반직고위공무원 김정욱(유통소비정책관) 정책기획관 일반직고위공무원 박범수(농림축산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 일반직고위공무원 김정희(정책기획관) 농업생명정책관 일반직고위공무원윤동진(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위생연구부장) 농림축산검역본부 동식물위생연구부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안용덕(농림축산식품부)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는 8월 18일 오전 11시, 동 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김 호 위원장의 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농특위 사무국 전 직원은 물론, 대통령실 농림축산비서관실과 유관 부처 실장들이 함께 자리하였다. 김 위원장은 취임사에서 “정책의 출발과 완성은 현장에 있다는 믿음으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가 현장, 대통령실 그리고 정부간의 소통·협력의 구심점이 될 것”이며, “현장과 직접 대화·소통·협력하여 정책 대전환과 위기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농어업·농어촌·농어민은 식량주권·식량안보의 최후 보루이자, 생태·환경 보전과 지역공동체 유지를 위한 핵심기반임을 강조하며, 기후위기·농어업위기·식량위기, 농어촌 고령화와 농어업인력 부족, 글로벌 통상 문제, 급변하는 국제정세 등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지속가능한 3농(농어민·농어업·농어촌) 전략을 새롭게 설계하고 대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학자로서의 전문성과 현장과의 소통 역량을 바탕으로 현장과 정책을 잇는 가교자의 사명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했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농정과제가 성공적으로 이행되어 지속가능한 3농을 실현하고 국가 책
투명한 경영과 조합원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정보 공유로 건전한 유통질서를 만들어 가고 있는 전국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협의회(이하 판매조합협의회) 김영칠 회장은 1986년 ㈜대유 영업부 입사를 시작으로 농업분야에 첫 발을 들였다. 이후 10년간의 직장생활을 마무리하고 1995년 경남 양산시에 물금농약사를 설립했다. 이와 함께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이하 유통협회) 지회장을 거쳐 부산·울산지부 사무국장과 지부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특히 2016년 부산울산경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부울경작물보호제 판매조합) 이사장에 당선되어 현재까지 연임 중이다. 김영칠 회장이 대표로 있는 물금농약사가 위치한 양산시는 도농복합도시로 다양한 농산물 재배는 물론 도시농업인 텃밭과 주말농장이 발달해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도시민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맞춰 농산물 종자와 모종, 농약, 영양제는 기본이고 꽃씨와 꽃모종은 물론 소규모 도시농업을 위한 다양한 농자재를 구비 해 판매함으로써 도시농업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판매혁신 이뤄야… 김영칠 회장은 “농업은 단순히 먹거리 생산을 담당하는 1차산업이 아닌 국가안보와 국민의 영양, 건강은 물론 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