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장급 전보 장관비서관 기술서기관 김영수 (농림축산식품부)
○ 장관정책보좌관 신규임용 장관정책보좌관 별정직고위공무원 정기수
○ 과장급 파견 농립축산식품부(국무조정실 파견) 기술서기관- 노영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소비안전과장)
□ 신규임용 정책보좌관 황인기 별정직(3급상당)
□ 상임이사 ▲ 부사장겸기획이사 백진석 ▲ 식품수출이사 신현곤 □ 1급 승진 ▲ 식량관리처장 및 해외원조상황실장 이은석 ▲ 유통조성처장 백태근 □ 2급 승진 ▲ 수급관리처 종합정보시스템T/F팀장 이상봉 ▲ 수출전략처 수출기업육성부장 박일상 □ 처실장급 전보 ▲ 수출전략처장 박민철 ▲ 수출사업처장 유병렬 ▲ 식품산업처장 배민식 ▲ 농식품유통교육원장 오정규 ▲ 감사실장 이필형 ▲ 비서실장 한병희 ▲ 홍보실장 윤미정 □ 부장급 전보 ▲ 기획조정실 성과관리부장 박군식 ▲ 기획조정실 사회가치창출부장 김석주 ▲ 수급관리처 수급기획부장 김병석 ▲ 수출사업처 수산임산수출부장 장서경 ▲ 식품외식기획부장 이수직 ▲ 식품산업처 식품진흥부장 문병필 ▲ 농수산식품기업지원센터 수출정보부장 권태화 ▲ 광주전남지역본부 수출유통본부장 고광삼
□ 승진 경기도농업기술원장 김석철
□ 부이사관 승진 <농업정책국> ○농업정책과 부이사관 송남근 <방역정책국> ○방역정책과 부이사관 김상경 ○구제역방역과 부이사관 김대균
□상임이사 ▲ 유통이사 정성남
▲마케팅담당 권희준 ▲마케팅팀장 김기호 ▲전북영업팀장 장완석 ▲전남영업팀장 전병관 ▲제주영업팀장 진병철
△ 통상·동북아연구센터장 전형진 △ FTA이행지원센터장 문한필 △ 중국사무소장 정정길
2018년 7월 24일자 <국장급 전보> ▲정용익식품소비안전국장 ▲최보경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 2018년 7월 25일자 <과장급 전보> ▲김 일 수입식품안전정책국 수입검사관리과장 ▲이수두 식품소비안전국 식생활영양안전정책과장 ▲윤미옥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바이오생약심사부 화장품신사과장 ▲정진백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기기심사부 심혈관기기과장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은 7월 1일자로 아래와 같이 인사를 단행하고 발령을 냈다. <보직> ▲ 김태훈 기획조정실장 ▲ 마상진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 농정연구센터장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는 8월 18일 오전 11시, 동 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김 호 위원장의 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농특위 사무국 전 직원은 물론, 대통령실 농림축산비서관실과 유관 부처 실장들이 함께 자리하였다. 김 위원장은 취임사에서 “정책의 출발과 완성은 현장에 있다는 믿음으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가 현장, 대통령실 그리고 정부간의 소통·협력의 구심점이 될 것”이며, “현장과 직접 대화·소통·협력하여 정책 대전환과 위기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농어업·농어촌·농어민은 식량주권·식량안보의 최후 보루이자, 생태·환경 보전과 지역공동체 유지를 위한 핵심기반임을 강조하며, 기후위기·농어업위기·식량위기, 농어촌 고령화와 농어업인력 부족, 글로벌 통상 문제, 급변하는 국제정세 등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지속가능한 3농(농어민·농어업·농어촌) 전략을 새롭게 설계하고 대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학자로서의 전문성과 현장과의 소통 역량을 바탕으로 현장과 정책을 잇는 가교자의 사명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했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농정과제가 성공적으로 이행되어 지속가능한 3농을 실현하고 국가 책
투명한 경영과 조합원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정보 공유로 건전한 유통질서를 만들어 가고 있는 전국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협의회(이하 판매조합협의회) 김영칠 회장은 1986년 ㈜대유 영업부 입사를 시작으로 농업분야에 첫 발을 들였다. 이후 10년간의 직장생활을 마무리하고 1995년 경남 양산시에 물금농약사를 설립했다. 이와 함께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이하 유통협회) 지회장을 거쳐 부산·울산지부 사무국장과 지부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특히 2016년 부산울산경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부울경작물보호제 판매조합) 이사장에 당선되어 현재까지 연임 중이다. 김영칠 회장이 대표로 있는 물금농약사가 위치한 양산시는 도농복합도시로 다양한 농산물 재배는 물론 도시농업인 텃밭과 주말농장이 발달해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도시민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맞춰 농산물 종자와 모종, 농약, 영양제는 기본이고 꽃씨와 꽃모종은 물론 소규모 도시농업을 위한 다양한 농자재를 구비 해 판매함으로써 도시농업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판매혁신 이뤄야… 김영칠 회장은 “농업은 단순히 먹거리 생산을 담당하는 1차산업이 아닌 국가안보와 국민의 영양, 건강은 물론 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