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30대 이하 청년세대 농림어업 종사자 증가추세

최근 3년간 2천681명 신규 유입
2017년 이후 농림어업 생산액 및
생산지수 증가추세

지난해 농림어업 취업자 전년 대비 5만 명 증가
2017년 이후 4년 연속 증가세

통계청의 2020년 경제활동인구 조사에 따르면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145만 명으로 전년 대비 5만 명이 증가하면서 최근 4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지난 197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1990년 기준 300만 명을 넘었으나, 1997년 229만 명으로 꾸준한 감소세를 유지했다. 이듬해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외환위기가 있었던 1998년 240만 명으로 11만 명 증가했으나, 이듬해부터 바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이후 20년간 감소해오던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2016년 127만 명에서 2017년 128만명, 2018년 134만 명, 2019년 140만 명, 지난해 145만 명까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번에는 과거 IMF 외환위기에 한 해 잠깐 상승했던 것과 달리 2017년 이후 4년 연속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특이점이다.

 

 

최근의 농림어업 취업자 수 변화와 관련해 농림어업계 내외에서 다양한 진단을 하고 있다. 농업계 보다는 비농업계의 진단이 비교적 활발한 편이며, 대부분 경기불황에 따른 고령층 중심의 일시적 농업 종사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농업계에서는 농업 분야의 고용 요인 증가에서 원인을 찾고 있으며, 이러한 진단은 대부분 관련 통계의 일면만을 근거로 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농가수 103만6천 가구,  2015년 대비 4.8% 감소
전체 농가 중 2인 이하 가구 73.9% 차지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잠정)결과 보고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으로 농가는 103만6천 가구로 2015년 대비 5만3천 가구(4.8%)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전체 가구 중 농가 비중 역시 전체 가구의 5.1%로 2015년 대비 0.6%p 감소했다.


지난해 농가당 평균 가구원수는 2.2명으로 2015년 대비 0.2명이 감소했으며, 전체가구 평균 가구원수 보다 0.3명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원수별 농가는 2인 가구가 53.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서 1인 가구 20.0%, 3인 가구 14.3%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인 가구와 1인 가구는 2015년 대비 각각 2.6%p, 1.5%p 증가하면서 전체 농가 중 2인 이하 가구가 73.9%를 차지했다.

 

 


농가 인구, 60대 제외 모든 연령대 감소
50대 이상이 전체 농가 인구 중 75.3% 차지

지난해 연령대별 농가 인구를 살펴보면, 60대는 지난 2015년 59만9천 명에서 지난해 31만5천 명으로로 7.5% 증가했다. 반면에 6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인구가 감소했으며, 특히 10세미만 △38.1%, 10대 △30.6%로 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 농가 인구 비중은 70대 이상이 29.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서 60대가 27.8%, 50대 18.1% 순으로 50대 이상이 전체 농가 인구의 75.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후 30대 이하 농림어업 취업자 수 증가
반면, 60대 이상 감소, 40~50대는 정체

반면에 연령대별 전체 취업인구 중 농림어업 비율을 보면, 30대 이하의 경우 2020년 기준 전체 912만6천 명 중 97만3천 명인 1.1%를 차지했으며, 40~50대 3.1%, 60대 이상이 18.8%를 차지했다. 여기에서 세대별 농림어업 취업자 수 변화를 보면 새로운 사실이 발견된다. 30대 이하는 2016년 이후 농림어업 종사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60대 이상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40~50대는 정체를 나타내고 있다.

 

30대 이하 청년 세대의 농림어업 종사비율은 2016년 0.78%까지 낮아졌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해 2018년 0.94%, 2020년에는 1.07%에 이르렀다. 반면, 60대 이상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낮아져 2005년 41.6%에서, 2010년 32.4%, 2015년 22.4%, 2020년 18.8%로 감소했다. 


 

주요 선진국 후기 산업사회 시대 탈도시화 진행
우리나라 2010년 전후 귀농·귀촌 인구 증가

전 세계적으로 후기 산업사회 시대를 맞이한 주요 국가에서는 이미 탈도시화(Counter-urbanization)와 도시로 부터의 농촌이주(Urban to rural migration)가 일어났고, 우리나라도 2010년을 전후해 베이비붐세대(Baby boom generation)의 은퇴와 더불어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를 나타낸 바 있다.


서구에서는 1960~70년부터 새로운 삶을 택하는 도시민들이 나타나면서 탈도시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산업발전으로 물질적 풍요를 누렸던 도시 중산층들이 대도시 인구집중에 의한 도시문제의 발생을 경험한 후, 생태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 운동에 동참하면서 탈도시화가 진행됐다.

 

미국의 경우 1970년대 이후 인구 300만 명 이상의 대도시에서 인구가 감소하고 비대도시 지역 카운티(County, 자치주) 인구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프랑스는 1970년대 중반 인구 2천 명 미만 농촌 코뮨(Commume, 공동체)의 인구가 매년 1%씩 증가하고, 영국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농촌 인구 증가가 나타나기도 했다. 일본에서도 1990년대 들어 헤이세이(平成) 대불황에 의한 비농업 부문의 기업 도산·인력 구조 조정·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신규취농촉진사업의 강화, 농업·농촌의 가치 재조명 등을 통해 전원회귀(田園回歸) 인구가 증가했다. 


또한 탈도시화와 더불어 주요국들에서 청년들의 농업종사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유럽연합(European Union, EU) 농가조사를 보면 벨기에, 덴마크, 독일, 네덜란드, 영국 등에서는 35세 미만 청년농 비중이 2013년 대비 증가했다. 지난 2007년~2017년까지 미국 농업센서스(Census, 총조사)를 살펴보면, 농가 중에 35세 미만 청년농 비중이 2007년 5.4%에서 2017년 6.0%로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 상황에서도 유일하게 취업자가 증가한 분야가 농림어업 분야이며,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분야로 농림어업 분야가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일자리 창출 산업으로서 농림어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청년 세대, 농업 발전 가능성 높게 평가
특히 청년 세대의 농업종사 요인을 보면, 타 세대에 비해 농업의 발전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한국갤럽이 매년 조사하는 귀농·귀촌실태조사 자료의 최근 5년 귀농자의 귀농 이유를 보면, 연령대가 높을수록 자연환경적 요인이 큰 반면, 연령대가 낮을수록 농업 발전 가능성을 봤다는 비율이 높았다.

 

 

현재 국내 농업 분야에서는 귀농·귀촌 지원사업, 청년 창업농 영농정착지원, 후계농 육성, 청년농업인 경쟁력 제고 등 농업경영주 육성을 위한 정책뿐만 아니라 농업 분야 고용인력 채용을 위한 농업법인 취업지원, 농업경영체 전문인력 채용지원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현 정부에 들어서면서 청년농의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 추진한 청년농 영농정착지원사업을 통해 최근 3년(2018~2020년)간 2천681명이 신규로 유입됐다.


2017년 이후 농림어업 생산액 및 생산지수 증가세
농림어업 생산액 변화를 보더라도 지난 2014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7년 이후 증가하고 있으며, 생산지수 또한 2017년 98에서 2019년 100.9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에서는 “향후 귀농 및 청년 창업농 지원, 후계자 없는 고령농 경영 기반의 사회적 승계 정책의 추진과 영농 기반이 없는 이들의 창업농이 아닌 취업 형태의 농업 분야 진출 관련 사업의 활성화가 요구된다”고 제안했다.


농업 분야 내 다양한 일자리와 더불어 일거리 창출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지역단위 푸드플랜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새롭게 등장하는 농업 분야에서의 전문 농작업단, 플랫폼 노동 등 비전형 노동시장의 활성화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농림어업 분야 일자리의 양적 확대와 더불어 농림어업 분야 특성에 맞는 고용보험 도입과 같이 일자리 질의 개선을 위한 노력 역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