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고

전체기사 보기

흡혈성 위생 해충 ‘모기 기생 선충’

모기나 먹파리 등 흡혈성 곤충이 전파하는 선충에 의한 병 ‘사상충증’

모기는 전 세계 곳곳의 다양한 서식처에 널리 분포하면서 말라리아(학질), 사상충증(상피병), 황열병, 뎅기열, 뎅기출혈열, 뇌염 등을 매개하는 흡혈성 위생 해충이다. 이번 호는 이들 모기에 기생하는 선충에 관하여 알아보자. Q.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모기의 분포는 어떻게 되나? A.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온대, 아열대, 열대, 극지, 고산, 강변, 해변, 터널, 지하 갱도, 웅덩이, 개울, 일시적으로 고인 물 등 전 세계 곳곳 거의 모든 지역의 다양한 환경에 3,600여 종의 모기가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얼룩날개모기, 빨간집모기, 흰줄숲모기 등 60종 내외의 모기가 기록되어 있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서식처의 다변화는 더 많은 모기가 유입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Q. 정 기자 모기의 먹이는 어떻게 되나? A. 추박사 피가 모기의 번식과 생존에 필수적인 먹이다. 암컷 모기는 알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과 철분을 얻기 위하여 흡혈한다. 수컷은 흡혈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컷 모기는 질병 전파와 무관하다. 모기는 피 외에도 꽃과 과일의 넥타, 수액, 식물의 단물을 먹고 산다. 이들 달콤한 먹이들은 모기의 비상, 번식,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