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장급 전보 ○ 사유림경영소득과장 김인천(金仁天) ○ 국유림경영과장 주요원(朱曜元)
▣ 일반직고위공무원 <신규>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장 박 수 철 (朴 秀 哲) <승진>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장 강 민 구 (姜 민 求) ▣ 과장급 <승진>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장 홍 석 영 (洪 錫 英)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농업인안전보건팀장 김 경 란 (金 京 蘭) ○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장 문 중 경 (文 重 京) ○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장 송 연 상 (宋 兗 相)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도시농업과장 김 광 진 (金 光 珍)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인삼특작이용팀장 김 금 숙 (金 錦 淑) ○ 국립축산과학원 운영지원과장 이 한 범 (李 漢 範)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영양생리팀장 박 남 건 (朴 南 建) <전보> ○ 기획조정관실 기획재정담당관 이 상 호 (李 上 昊) ○ 기획조정관실 혁신행정법무담당관 손 영 상 (孫 永 尙) ○ 운영지원과장 이 근 석 (李 根 錫) ○ 연구정책국 연구운영과장 조 용 민 (趙 鏞 敏) ○ 연구정책국 연구성과관리과장 최 범 석 (崔 杋 碩) ○ 연구정책국 사업기획팀장 방 혜 선 (方 惠 善
▣ 고위공무원 <전보>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장 문 홍 길 (文 洪 吉)
▲ 과장급 전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기획조정과장 기술서기관 노영호 (농림축산식품부) ▲ 과장급 파견 교육훈련 (세종연구소) 서기관 남현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기획조정과장)
▲ 국장급 전보 농림축산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안용덕 (농림축산검역본부) ▲ 국장급 파견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 사무국 부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박성우 (농림축산식품부) 교육훈련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일반직고위공무원 박순연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 사무국 부국장) 교육훈련 (국방대학교) 일반직고위공무원 전한영 (농림축산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장)
▲ 국장급 전보 대변인 일반직고위공무원 김기훈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 일반직고위공무원 윤원습 (대변인) 농촌정책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강형석 (농업생명정책관) 축산정책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박범수 (정책기획관) 식품산업정책실 식품산업정책관 일반직고위공무원 노수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식품산업정책실 농업생명정책관 일반직고위공무원 김종구 (식품산업정책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이주명 (축산정책국장)
▲ 과장직위 승진 농촌재생에너지팀장 서기관 박나영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대통령비서실 파견) ▲ 과장급 전보 동물복지정책과장 서기관 김지현 (농촌재생에너지팀장) 구제역·AI방역대책 상황실 지원근무 서기관 강혜영 (농림축산식품부)
▣ 도원장 <승진> ○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장 신 용 습 (辛 容 習) ▣ 도원국장 <승진> ○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농촌지원국장 백 영 목 (白 永 穆)
▣ 고공단 및 과장급 인사교루 ○ 고위공무원 -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장 김 원 일 (金 源 一) ▣ 과장급 ○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팀장 전 익 성 (全 翼 成)
▲ 국장급 계획인사교류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부장 농업연구관 서효원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김원일 (국외훈련) ▲국장급 지원근무 농림축산검역본부(구제역·AI방역대책 상황실지원근무) 일반직 고위공무원 안용덕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부장) ▲과장급 계획인사교류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부 식물검역기술개발센터장 농업연구관 조점래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장 기술서기관 전익성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부 식물검역기술개발센터장) ▲과장급 파견복귀 농림축산식품부 기술서기관 노영호 (국외훈련)
비상임이사 최 경 숙 (崔 景 淑) 임 기 : 2020. 12. 21. ~ 2022. 12. 20. □ 학력사항 ○ 정화여자고등학교(‘85) ○ 경북대학교 농공학과(‘89) ○ 경북대학교 대학원 농공학 석사(‘95) ○ NSW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 박사(‘02) □ 주요경력 ○ 2002. 4. ~ 2003. 7. 호주 Sydney Water 수문리모델링 컨설턴트 ○ 2004. 3. ~ 현 재 경북대 농업토목공학과 교수
▲ 부서장 인사발령 - 미래전략실장 이 은 수 - 안전경영실장 윤 영 일 - 기획관리실장 김 동 철 - 자산재무처장 조 영 호 - 기반사업처장 주 영 일 - 보상사업단장 현 상 훈 - 수자원관리처장 강 원 대 - 그린에너지처장 서 정 호 - 환경지질처장 노 경 환 - 어촌수산처장 김 태 기 - 총무인사처장 하 태 선 - 농지은행처장 이 정 문 - 농어촌연구원 부원장 겸 미래농촌연구소장 윤 석 환 - 농어촌연구원 글로벌시험연구소장 박 경 홍 - 충북지역본부장 김 규 전 - 전북지역본부장 양 정 희 - 전남지역본부장 성 도 남 - 경남지역본부장 강 동 화 - 제주지역본부장 서 상 기 - 금강사업단장 이 강 환 - 토지개발사업단장 권 진 식 - 안전진단본부장 김 보 업 - 안전진단본부 안전진단실장 김 현 수
봉사하는 마음과 왕성한 활동으로 말보다 실천을 우선하는 대전·세종·충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대전·세종· 충남작물조합) 신원택 이사장은 중부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과 한·중 양국의 주요 인사 교류와 유라시아에서의 선도적 역할 구현을 위해 특별개설된 중국칭화대학 유라시아 CND과정을 수료했다. 1997년부터 금산 농자재백화점을 운영해 오고 있으며, 이와 함께 2010년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 제7대 이사장에 당선되어 현재까지 연임 중이다. 신원택 이사장은 “유통인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항목은 부지런함” 이라며, “농민이 부지런히 움직이는데 유통인이 제자리에 서 있으면 어떠한 발전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현장에서 모든 문제와 답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누구보다 먼저 부지런히 직접 발로 뛰며 소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왕성한 활동과 현장과의 소통 수많은 표창 및 실적으로 나타나 신원택 이사장의 왕성한 활동력과 현장과의 소통은 대외 활동에서도 잘 나타난다. 현재 맡고 있는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 이사장직을 비롯해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이하 유통협회) 대전·세종·충남 도지부장을 거쳐 제12대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또한 중소기업중앙회 이
농기자재신문의 창간 17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2008년 창간 이후, 농기자재신문은 농업과 농기자재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보 전달과 소통의 가교역할을 훌륭히 수행해 왔습니다. 농업 종사자뿐만 아니라 정부, 유관기관, 유통인에 이르기까지 각계각층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힘 써오신 데 깊이 감사드립니다. 기후변화, 고령화, 식량안보 등 우리 농업·농촌은 끊임없는 변화와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안정적인 먹거리 생산을 위한 스마트농업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농업 전반의 기계화율을 높이는 것도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스마트농업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산업 생태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지난 1월 수립한 ‘제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을 통해 2029년까지 전국 온실의 35%를 스마트팜으로 전환하고, 밭작물 주산지의 20%에 스마트농업 기술을 보급할 계획입니다. 수직농장과 컨테이너형 스마트팜 보급을 위한 입지규제 완화, 청년층 유입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팜, 농기계, 비료, 농약 등 농업 전후방
농기자재신문의 창간 17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17년 전, 우리 농업의 지속가능한 미래와 농기자재 산업의 올바른 발전을 위해 첫 발을 내디딘 농기자재신문은, 지금까지 한결같이 농업 현장의 목소리를 담고, 산업의 방향을 제시해 온 든든한 동반자였습니다. 농기자재산업은 농업의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한 핵심 기반으로서, 농업인과 제조사, 유통업체의 효율적인 선택을 돕는 새로운 기술과 상품 정보 제공이 중요합니다. 이 같은 시대적 과제를 책임감 있게 수행하며, 업계와 농업인 사이의 소통 창구로서 귀중한 가치를 만들어 온 농기자재신문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농촌진흥청은 선도형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농업의 미래가치 창출, 변화와 혁신을 통한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농업기술의 디지털 기반 구축과 그린바이오 융복합 연구개발을 통해 우리 농업의 미래 경쟁력 향상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병해충 방제에 필요한 농약을 확대하는 등 현장애로를 해소해 나가고, 농약, 비료, 농기계 등 농자재의 안전관리 강화는 물론 산업 발전도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앞으로도 농기자재신문은 공정하고 창의적인 보도로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