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공무원 <승진>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장 홍 수 명 (洪 秀 明)
▲과장직위 승진 농업기반과장 기술서기관 강경만 (농업기반과)
▲ 국장급 고용휴직 농림축산식품부 (IFAD 고용휴직) 일반직고위공무원 윤동진 (농업생명정책관)
▲ 과장직위 승진 농기자재정책팀장 서기관 김호균 (기획재정담당관실) ▲ 주재관 전출·입 외교부 서기관 박경희 (농기자재정책팀장)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소비안전과장 기술서기관 조장용 (외교부 주블라디보스톡총영사관)
▲ 과장급 개방형직위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장 최 상 호 (崔 相 鎬)
■ 고위공무원 승진 △ 산림보호국장 심상택(沈湘澤) ■ 과장급 전보 △ 대변인 이용석(李勇錫) △ 기획재정담당관 이종수(李鍾秀) △ 운영지원과장 박동희(朴東熙) △ 목재산업과장 임영석(林映碩) △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장 최은형(崔銀亨)
▲ 과장직위 승진 농업통상과장 서기관 김소형 (국제협력총괄과) 국립종자원 경북지원장 서기관 안완기 (국제협력총괄과) ▲ 과장급 전보 친환경농업과장 부이사관 김 철 (지역개발과장) 지역개발과장 서기관 송태복 (축산경영과장) 축산경영과장 기술서기관 박홍식 (축산환경자원과장) 축산환경자원과장 기술서기관 정경석 (국립종자원 경북지원장) 농림축산검역본부 운영지원과장 부이사관 이상혁 (충북도청 인사교류) 농림축산검역본부 수출지원과장 부이사관 김정빈 (농림축산검역본부 운영지원과장) 충북도청(인사교류 종료) 기술서기관 최낙현 (친환경농업과장) ▲ 과장급 고용휴직 WFP (유엔세계식량계획) 부이사관 김경미 (농업통상과장)
▲ 과장직위 승진 및 파견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사무국 총괄기획팀장 기술서기관 서정호 (축산정책과) 세종연구소(교육파견) 서기관 이종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사무국 파견)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는 지난 6일 서울 서초동 소재 제2축산회관에서 정기이사회를 통해 신임 전무로 최성현 총괄상무를 만장일치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최성현 전무는 “한돈산업 앞에 놓여있는 산적한 과제의 무게감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다며, 특히 ASF와 돈가폭락 등 한돈산업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한 만큼 위기를 극복하고, 한돈농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히고, “회원의 위상제고와 권익보호, 협회의 업무영역 확대와 원활한 운영을 위해 열과 성의를 다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최성현 전무는 “ASF 예방적 살처분 농가 재입식과 농가 경영안정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밝히는 한편, 정부 및 산업 관계자와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여 산업을 선도하는 전문가 집단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 최성현 전무는 1965년생으로 건국대학교를 졸업하고, 1990년 한돈협회에 입사해 30년간 근무해왔으며, 홍보부, 지도부, 총무부, 제 2검정소장, 정책기획부장 등을 거쳐 최근까지 협회 총괄상무를 역임했다.
< 과장직위 승진 > ○농업통상과장 서기관 김소형 (국제협력총괄과) ○국립종자원 경북지원장 서기관 안완기 (국제협력총괄과) < 과장급 전보 > ○친환경농업과장 부이사관 김 철 (지역개발과장) ○지역개발과장 서기관 송태복 (축산경영과장) ○축산경영과장 기술서기관 박홍식 (축산환경자원과장) ○축산환경자원과장 기술서기관 정경석 (국립종자원 경북지원장) ○농림축산검역본부 운영지원과장 부이사관 이상혁 (충북도청 인사교류) ○농림축산검역본부 수출지원과장 부이사관 김정빈 (농림축산검역본부 운영지원과장) ○충북도청(인사교류 종료) 기술서기관 최낙현 (친환경농업과장) < 과장급 고용휴직 > ○WFP(유엔세계식량계획) 부이사관 김경미 (농업통상과장)
< 과장직위 승진 및 파견 > ○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사무국 총괄기획팀장 기술서기관 서정호 (축산정책과) ○ 세종연구소(교육파견) 서기관 이종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사무국 파견)
▲기간관 전보 국제협력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이상만 (산림청)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는 8월 18일 오전 11시, 동 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김 호 위원장의 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농특위 사무국 전 직원은 물론, 대통령실 농림축산비서관실과 유관 부처 실장들이 함께 자리하였다. 김 위원장은 취임사에서 “정책의 출발과 완성은 현장에 있다는 믿음으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가 현장, 대통령실 그리고 정부간의 소통·협력의 구심점이 될 것”이며, “현장과 직접 대화·소통·협력하여 정책 대전환과 위기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농어업·농어촌·농어민은 식량주권·식량안보의 최후 보루이자, 생태·환경 보전과 지역공동체 유지를 위한 핵심기반임을 강조하며, 기후위기·농어업위기·식량위기, 농어촌 고령화와 농어업인력 부족, 글로벌 통상 문제, 급변하는 국제정세 등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지속가능한 3농(농어민·농어업·농어촌) 전략을 새롭게 설계하고 대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학자로서의 전문성과 현장과의 소통 역량을 바탕으로 현장과 정책을 잇는 가교자의 사명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했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농정과제가 성공적으로 이행되어 지속가능한 3농을 실현하고 국가 책
투명한 경영과 조합원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정보 공유로 건전한 유통질서를 만들어 가고 있는 전국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협의회(이하 판매조합협의회) 김영칠 회장은 1986년 ㈜대유 영업부 입사를 시작으로 농업분야에 첫 발을 들였다. 이후 10년간의 직장생활을 마무리하고 1995년 경남 양산시에 물금농약사를 설립했다. 이와 함께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이하 유통협회) 지회장을 거쳐 부산·울산지부 사무국장과 지부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특히 2016년 부산울산경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부울경작물보호제 판매조합) 이사장에 당선되어 현재까지 연임 중이다. 김영칠 회장이 대표로 있는 물금농약사가 위치한 양산시는 도농복합도시로 다양한 농산물 재배는 물론 도시농업인 텃밭과 주말농장이 발달해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도시민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맞춰 농산물 종자와 모종, 농약, 영양제는 기본이고 꽃씨와 꽃모종은 물론 소규모 도시농업을 위한 다양한 농자재를 구비 해 판매함으로써 도시농업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판매혁신 이뤄야… 김영칠 회장은 “농업은 단순히 먹거리 생산을 담당하는 1차산업이 아닌 국가안보와 국민의 영양, 건강은 물론 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