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물산기업(주)은 지난 21일 전주완주 대리점에서 콤바인 수확시즌을 맞이하여 콤바인 제품전시회 및 설명회를 실시했다. 전주완주 농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금번 전시회에서는 동양물산이 올해 새롭게 선보이는 콤바인 8종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제품 교육, 질의응답 등을 통해 농민들의 이해를 도왔다. 전시된 콤바인은 올해 출시되는 국산 4개 기종(C6130,CX955,CX754, TH752)과 수입 4개 기종(HJ5101,HJ6115,HJ6135,HJ7135)이다. 또한 콤바인 이외에도 동양물산의 주력 대형트랙터인 TS125와 ISEKI 수입 트랙터도 같이 소개됐다. 동양물산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회사 차원의 대규모 행사가 아닌 대리점 단위의 소규모 행사로 농기계를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농민들을 대상으로 실시됐다”며 “실제 현장의 다양한 요구사항들을 직접들을 수 있는 만남의 장으로서 앞으로 동양물산에서는 이러한 소규모 연전시를 더욱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1위 농기계 기업 대동공업(대표이사 김준식,하창욱)은 부드러운 선회 이동이 가능한 유압 미션과 다양한 편의 사양을 채택해 작업성을 대폭 높인 6조 유압 미션 콤바인 DXM120을 출시한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DXM120은 수확 작업 시 전 후진 조정 및 이동으로 작업시간이 증대되고 회전 주행이 어려웠던 부분을 해소하기 위해 유압 미션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선회 이동이 더 부드럽고 편리해졌으며 ▲소프트턴(안쪽 크롤러를 감속하여 선회) ▲브레이크턴(안쪽 크롤러를 정지하여 선회) ▲스핀턴(안쪽 크롤러를 역회전하여 선회)이 구현 되 작업 상황에 맞춰 더 빠르게 선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논의 모서리 부분도 최소한의 조작으로 예취가 가능하며, 초보자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후방 작업 상태 확인이 용이한 '후방 카메라'가 기본 장착 되며, 쉽고 빠르게 언로더를 이동시켜 배출 시간 단축시키는 '언로더 220도 우선회 기능', 버튼 한번 조작으로 예취부가 최고점까지 상승하는 '원터치 상승 기능'으로 작업성을 높였다. 그립감이 뛰어난 인체공학적 핸들, 장시간 작업으로 인한 손목 피로를 경감하기 위한 부드러운 재질의 손목 받침대 그리고 등받이 각도 조절이
대동공업(공동대표이사 김준식, 하창욱)이 지난 7일 추수철을 맞아 콤바인 광고 영상을 선보이며 퀴즈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수확의기쁨을 주는 콤바인’이라는 주제로 뛰어난 예취 및 탈곡의 수확 능력의6조 콤바인 DXM110이 최고의 수확 결과를 만들어 수확의 기쁨을 준다는 영상으로 구성됐다. 특히 광고에서는 6조 콤바인이자동화 기능으로 수확을 빠르고편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벤트는 이달 30일까지대동공업 공식 블로그(blog.naver.com/daedongblog)에서 진행하한다. 이벤트 참여는 30초 분량의 대동공업 6조 콤바인 광고 영상을 보고 2개의 퀴즈에 대한정답을 이벤트 페이지에 댓글로 기재하면 된다. 특히 이벤트URL을 개인 블로그나 SNS 페이지에 공유하거나 또는 공식블로그 이웃을 맺으면 당첨 확률이 높아진다. 이벤트 마감 후추첨을 통해 의자형 안마기 3명, 대동공업 트랙터 미니어처 7명, 머그컵 20명, 농업용 작업조끼 5명등 총 35명에게 경품을 증정하며당첨자는내달 4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발표할 예정이다. 대동공업 김창우 마케팅팀장 “풍성한 결실을 수확하는데 모자람없는 대동공업 콤바인의 장점을 보여주기 위해 광고 영상을
올 상반기 농기계 시장은 주류를 이루던 대형 기계보다는 고소작업차 및 농용로우더 등에 힘입어 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으로는 3275억1882여 만원 수준이었다. 밭작물 기계 등 새로운 시장 만들어가는 것 시급 지난 5월말 기준 농협중앙회 자재부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트랙터 기종은 올 5월까지 4056대가 융자로 판매돼 1926억7000여 만원의 매출 실적을 올렸다. 전년 같은 기간 3803대, 1749억5400여 만원으 로 전년 대비 10.1% 상승했다. 트랙터 경우 지난해보다는 10% 가량 증가했지만 2016년과 비교하면 330억원 가까이 줄어 겨우 체면을 유지했다. 올 상반기 실적호조를 보인 품목은 농용 로우더가 총 48대, 19억2102만원의 실적으로 71.5% 성장했다. 이어 동력 파쇄기가 150대 9 억8831만원의 실적을 올렸다. 반면 콤바인, 승용이앙기를 비롯해 주류 농기계의 판매 실적이 저조했다. 자료에 따르면 콤바인이 147대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8%, 승용이앙기는 1798대로 13.6%, 스피드스프레 이어 (SS기)는 964대로 3.8% 감소했다. 금액으로는 각각 112억6086만원, 419억9104만원, 241억58
새로운 변화에 앞장서는 <형제농자재마트> 김문수 대표는 충북 청주시에서 농자재유통업을 시작한 지 40년이 넘었다. 그동안 충청북도 농업기술원방제협의회 위원, 청원군 농정협의회 위원, 충청북도안전사업 자문위원, 중소기업중앙회 농식품산업분과 위원회 위원 등 활발한 대외 활동으로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2003년부터 2020년까지 충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이사장을 역임하면서 조합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으며,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 시지회장(8년)과 도지부장(8년)을 거쳐 2020년 제13대 회장에 당선되어 전국 시판 회원들을 위해 헌신해 온 바 있다. 김문수 대표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농업 유통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변화에 대해 늘 고민하고 앞장서서 도전해야 한다”며 “실패가 두려워 변화를 외면하고, 도전하지 않는다면 결국 퇴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변화에 발맞춰 따라가기보다는 변화를 예측하고 주도함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농민이 필요한 시기에 원하는 상품을 선택 지역 경제 활성화와 건전한 유통 질서 확립 김문수 대표의 도전 정신과 성공 사례는 전국 최초로 도입한
봉사하는 마음과 왕성한 활동으로 말보다 실천을 우선하는 대전·세종·충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대전·세종· 충남작물조합) 신원택 이사장은 중부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과 한·중 양국의 주요 인사 교류와 유라시아에서의 선도적 역할 구현을 위해 특별개설된 중국칭화대학 유라시아 CND과정을 수료했다. 1997년부터 금산 농자재백화점을 운영해 오고 있으며, 이와 함께 2010년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 제7대 이사장에 당선되어 현재까지 연임 중이다. 신원택 이사장은 “유통인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항목은 부지런함” 이라며, “농민이 부지런히 움직이는데 유통인이 제자리에 서 있으면 어떠한 발전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현장에서 모든 문제와 답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누구보다 먼저 부지런히 직접 발로 뛰며 소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왕성한 활동과 현장과의 소통 수많은 표창 및 실적으로 나타나 신원택 이사장의 왕성한 활동력과 현장과의 소통은 대외 활동에서도 잘 나타난다. 현재 맡고 있는 대전·세종·충남작물조합 이사장직을 비롯해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이하 유통협회) 대전·세종·충남 도지부장을 거쳐 제12대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또한 중소기업중앙회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