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06 (수)

  • 구름많음동두천 15.5℃
  • 구름조금강릉 20.9℃
  • 구름많음서울 17.5℃
  • 구름많음대전 16.8℃
  • 박무대구 14.6℃
  • 맑음울산 17.4℃
  • 광주 14.0℃
  • 맑음부산 18.9℃
  • 흐림고창 15.0℃
  • 맑음제주 22.5℃
  • 흐림강화 16.0℃
  • 구름많음보은 13.8℃
  • 흐림금산 14.3℃
  • 흐림강진군 13.8℃
  • 맑음경주시 16.2℃
  • 맑음거제 18.8℃
기상청 제공

한국비료협회, 2018년 국내 비료산업 통계 발표

2018년 무기질비료 농업용출하량 전년대비 4.6% 감소
비료 생산업계 적자 누적으로 경영 여건 악화

한국비료협회(회장 이광록)2018년도 무기질비료 생산량이 2,332천톤으로 전년보다 0.76%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에는 봄철 냉해와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농작물 작황부진으로 복합비료인 원예용과 맞춤형이 전년보다 각각 22.3%, 18.9% 감소한 반면에 완효성 등 기타 복비가 7.3% 증가하여 감소폭을 일부 만회했다. 특히 질소질비료인 황산암모늄의 수출회복으로 전년보다 6.95% 증가함으로써 복합비료 생산량 감소폭을 줄일 수 있었다.

 

2018년 주요 비종별 실적을 보면 [1]에서와 같이 단비는 608천톤, 복비는 1,724천톤을 생산했다. 질소질 단비인 황산암모늄이 585천톤, 인산질 단비인 용성인비가 13천톤, 칼리질 단비인 황산칼륨이 10천톤을 생산했다. 복합비료는 21-17-17 194천톤, 맞춤형 비료 185천톤, 원예용 복비 338천톤, 수출용 복비 등이 864천톤, 완효성비료 69천톤, 기타 복비 74천톤을 생산했다.

    

    

2018년 무기질비료 농업용 출하량은 1,054천톤으로 전년보다 4.6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출하량이 감소한 것은 21-17-17 4천톤, 완효성비료 10천톤, 기타비료 42천톤 증가함에도 봄철 냉해로 인한 성수기 판매부진과 여름철 폭염에 따른 농작물 작황부진에 따라 원예용 63천톤, 맞춤형비료 44천톤 감소가 원인으로 파악된다. 주요 비종별 농업용 출하를 살펴보면 요소 162천톤, 원예용 복비 353천톤, 맞춤형 비료 185천톤, 21-17-17 195천톤, 완효성비61천톤, 기타 98천톤으로 총 1,054천톤을 출하했다. 특히, 농업용 출하량 감소에 정부의 친환경농업 정책 지속 및 농경지 면적 감소, 퇴비 등 유기질비료 정부보조 등이 여전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018년 무기질비료 수출량은 [3]에서와 같이 1,161천톤으로 전년도 1,168천톤 대비 0.51% 감소한 반면 수출금액은 276백만 달러로 전년도 260백만 달러 대비 6.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량은 복합비료가 베트남 등 일부 국가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비료가격이 상승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파악된다.

 

    

2018년도 품목별 수출을 보면 황산암모늄의 주원료인 암모니아 가격이 전년도 보다 19% 상승하였음에도 기존 동남아 시장 중심에서 무관세 국가인 터키, 멕시코의 고품질제품에 대한 선호도 증가와 뉴질랜드 등 신규시장 확대를 통해 전년도와 동일한 526천톤을 수출했다. 복합비료도 전년보다 약간 감소한 636천톤을 달성했다. 비료업계는 기존 동남아 시장인 태국, 베트남과 일본, 호주 등에서 중국러시아의 저가정책에 고품질화 등으로 수출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2018년 무기질비료 수입량은 829천톤으로 전년보다 0.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소 수입량 증가는 자체 복합비료 원료 12천톤, 농업용 출하 8천톤 등이 영향을 미쳤고, DAP 수입 감소는 2018년도 가격이 전년도보다 18.6% 상승, 염화칼륨도 수입 가격이 6.3% 상승에 따른 소비 감소에 기인된다.

 

한국비료협회 소속 6개 회원사 실적을 기준으로 2018년도 품목별 수입량을 살펴보면 요소는 511천톤으로 전년도 471천톤보다 8.5% 증가, 염화칼륨은 223천톤으로 전년도 260천톤보다 14.2% 감소, DAP95천톤으로 전년도 101천톤보다 5.9% 감소했다. 무기질비료는 요소염화칼륨 등 대부분의 원자재를 수입 충당하고 있으며, 제조 원가의 70% 이상을 차지하여 국제 원자재 수급 및 가격 상황이 경영여건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무기질비료 수입단가는 지난 2016년도 원자재 가격 안정으로 주요 원자재가격은 하락했으나 2017년 하반기 이후 중국의 요소 수출물량 급감과 염화칼륨 캐나다 공급선의 단가 인상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했다. [4]에서 나타나듯 요소가격은 중국의 중소업체 석탄사용 규제를 통한 환경정책 강화로 톤당 2016239$에서 2017년 하반기 268$로 상승했다. 이후 2018304$로 다시 상승했고 올해 4월말 기준으로도 평균 315$에 달하고 있다. 염화칼륨 및 DAP 가격도 캐나다 공급선의 연간계약 60$ 인상과 인도동남아시아 지역의 비료 수요 회복으로 염화칼륨은 ‘194월말 평균 349$로 전년보다 30$ 상승했으나 DAP는 약간 하락했다.

 

    

무기질비료 원재료 국가별 수입 비중을 보면 [5]와 같이 요소는 2015년도와 2017년도에는 중국의 비중이 74~86%로 높았으나 점차 낮아져 2018년도 35%를 차지하고 있다. 염화칼륨은 캐나다가 평균 72%, DAP는 중국의 비중이 점차 높아져 2018년도에는 85%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17년 하반기부터 중국의 석탄규제를 통한 환경강화로 중소업체의 수출물량 급감에 따라 요소가격이 상승하여 중동지역 운임을 포함한 가격에 차이가 없어 중국의 비중이 올해 4월말 기준으로는 29%로 낮아졌다. 한편, 국내 비료산업은 주요 원재료의 특정국가 수입 의존도가 높아 해당 국가의 상황에 따라 수입이 여의치 못하게 될 경우 국내 비료 생산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돼, 비료 흡수율 등 기능을 높이는 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무기질비료는 [6]에서와 같이 원자재 가격 상승률보다 납품가격 상승률이 낮은 상황이다. 이는 비료 가격의 인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나, 무기질비료의 안정적 공급이 되기 위해서는 국내 충당이 되지 않는 수입 원자재의 가격상승분이 납품가격에 적절히 연동, 반영되야 비료 생산업계의 상생도 가능하다. 무기질비료 산업은 초기 투자비가 매우 많으며, 신규투자도 쉽지 않은 장치산업으로 적정 이익이 보장되지 않으면 신제품 개발, 낙후된 시설 개선, 수입비료와의 경쟁력 등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7]에서 나타나듯 2018년 한국비료협회 6개 회원사의 비료부문 영업이익은 694억원 적자로 추산된다. 2016년부터 납품가격이 계속 인하되어 비료부문 영업이익은 2016576억원, 2017279억원, 2018694억원으로 각각 적자가 누적되었다. 여기에 더해 무기질비료 매출량 감소, 수출경쟁력 취약 등도 크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무기질비료의 양분 효율성, 안전성, 경제성 등 장점에도 불구하고, 친환경농업 정책의 지속 및 비료 출하량 감소 등 시장여건도 점점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협회 회원사는 인력감원, 신규채용 지양, 가동 경비절감 등 원가 인하에 대처하고 있으나, 최근 최저임금 인상, 52시간 근로시간단축 등으로 이마저 노력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비료협회 윤영렬 전무는 현재 무기질비료 생산업계가 직면한 여러 험난한 난제에 대해 회원사와 함께 다양한 방법으로 해법을 찾고 있으나 어려움이 정말 많다우선적으로, 농식품부 등 정책 부서에서 요소, 암모니아에 대한 할당관세 무관세 적용과 무기질비료 원료구입자금의 정책 금리 대폭 인하가 비료업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비료협회는 민관합동토론회, 농협간담회, 무기질비료발전협의회, 전문가 자문단 활용, 실무자 TF팀 운영 등을 통해 납품가격의 현실화 등 당면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 마련에 적극 노력하고 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