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직고위공무원 <신규>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장 박 수 철 (朴 秀 哲) <승진>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장 강 민 구 (姜 민 求) ▣ 과장급 <승진>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농촌환경자원과장 홍 석 영 (洪 錫 英)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농업인안전보건팀장 김 경 란 (金 京 蘭) ○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장 문 중 경 (文 重 京) ○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장 송 연 상 (宋 兗 相)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도시농업과장 김 광 진 (金 光 珍)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인삼특작이용팀장 김 금 숙 (金 錦 淑) ○ 국립축산과학원 운영지원과장 이 한 범 (李 漢 範)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영양생리팀장 박 남 건 (朴 南 建) <전보> ○ 기획조정관실 기획재정담당관 이 상 호 (李 上 昊) ○ 기획조정관실 혁신행정법무담당관 손 영 상 (孫 永 尙) ○ 운영지원과장 이 근 석 (李 根 錫) ○ 연구정책국 연구운영과장 조 용 민 (趙 鏞 敏) ○ 연구정책국 연구성과관리과장 최 범 석 (崔 杋 碩) ○ 연구정책국 사업기획팀장 방 혜 선 (方 惠 善
지난 21일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재배지에서 연구원이 우리나라 1호 레몬 품종인 '제라몬'의 생육 상황을 확인하고 있다. '제라몬'은 외국산 레몬을 대체하기 위해 2019년 개발한 품종으로 지난해부터 농가에 묘목을 보급 중이다.
▣ 고위공무원 <전보>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장 문 홍 길 (文 洪 吉)
▲ 과장급 전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기획조정과장 기술서기관 노영호 (농림축산식품부) ▲ 과장급 파견 교육훈련 (세종연구소) 서기관 남현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기획조정과장)
▲ 국장급 전보 농림축산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안용덕 (농림축산검역본부) ▲ 국장급 파견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 사무국 부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박성우 (농림축산식품부) 교육훈련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일반직고위공무원 박순연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 사무국 부국장) 교육훈련 (국방대학교) 일반직고위공무원 전한영 (농림축산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장)
농기자재신문은 창립취지에 맞는 철학을 갖고 농기자재유통인과 농업인에게 좋은 제품과 기술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전달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이에 농기자재생산기업들의 2021년 신제품 및 중점제품에 대한 소개섹션(핫!2021)을 준비했습니다. 앞으로도 국내외 우수제품 및 기술에 대한 발굴과 소개를 통해 농기자재생산기업과 농기자재유통인 및 농업인의 동반자로써의 역할과 농기자재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관련기사 링크 http://newsam.co.kr/news/section_list_all.html?sec_no=118
이번 호에는 식물기생선충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선충의 생존과 활동에 미치는 생물 적·무생물적 요소는 무엇인지, 적극적 이동수단이 없는 선충은 어떻게 전파되는지, 기주는 어떻게 가해하는 지 등에 관하여 일문일답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농업기술 전문기자 정남준 박사 (이하 정기자) 선충에 따라 나타나는 피해증상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선충에 의하여 나타나는 피해증상의 구체적인 몇몇 예를 들면 ①사탕무우시스 트선충의 피해를 받은 사탕무우의 무게는 비감염 토양에서는 3250g이지만 감염 토 양에서는 444g, ②딸기뿌리썩이선충의 낮은 밀도와 적당 밀도에서는 가시적인 피 해증상이 지상부에 나타나지 않으나 높은 밀도에서는 발육저해, 양수분의 결핍, 고 사가 일어남, ③감자에 딸기뿌리썩이선충이 기생하면 감자모잘록병원균의 침입을 유도하고 양파에서는 수확과 구경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0.01마리/cm3의 밀도에 서도 양파는 피해를 받는다. 선충의 기생에 의하여 스트레스를 받은 식물의 피해정도는 가뭄, 영양부족, 기타 병 원균의 침입 등 여러 요인과도 관계가 있고 그 피해는 더욱 심각하다. 정기자 선충의 피해증상에 대하여 좀
▲ 국장급 전보 대변인 일반직고위공무원 김기훈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 일반직고위공무원 윤원습 (대변인) 농촌정책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강형석 (농업생명정책관) 축산정책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박범수 (정책기획관) 식품산업정책실 식품산업정책관 일반직고위공무원 노수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식품산업정책실 농업생명정책관 일반직고위공무원 김종구 (식품산업정책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이주명 (축산정책국장)
▲ 과장직위 승진 농촌재생에너지팀장 서기관 박나영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대통령비서실 파견) ▲ 과장급 전보 동물복지정책과장 서기관 김지현 (농촌재생에너지팀장) 구제역·AI방역대책 상황실 지원근무 서기관 강혜영 (농림축산식품부)
시판과 제조사의 든든한 가교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강원농회농약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김형철, 이하 강원농회판매조합)는 1998년 뜻을 같이한 지역 농우종묘와 흥농종묘 대리점 28명이 모여 친목회를 구성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2002년 4월 ㈜강원농회를 설립하면서 체계를 갖추었으며, 2006년 기존 주주 25명과 신규 조합원 30명이 모여 지금의 강원농회판매조합을 설립했다. 김형철 이사장은 “설립 당시부터 강원농회 판매조합 안살림을 맡아 온 김순희 부장을 비롯해 손용일 과장과 정주현 대리가 회원들의 권익을 위해 힘과 열정을 갖고 노력하고 있다”며 “소통과 화합을 위해 조합원들의 애로사항과 건의에 귀 기울이고 제조회사와 긴밀하고 우호적인 관계 유지에도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강원농회판매조합은 조합원과 제조사가 서로의 정보와 역량을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가교역할에 충실함으로써 함께 성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원농회판매조합은 김형철 이사장과 김순희 부장을 포함해 4명의 임직원이 45명의 조합원과 함께 연간 130억원 정도의 매출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운영비 절감을 위해 창고는 운영하고 있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매출이 큰 조합원의 역차별을 방지하기 위해
2007년에 설립된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 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정충용. 이하 대전세종 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투명한 경영을 통해 조합원들의 신뢰를 형성하고 조기 구매 및 결제를 통해 조합원들에게 더욱 많은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정충용 이사장은 “공동구매를 통한 조합원의 이익을 실현하는 조합은 무엇보다 투명한 경영과 상호 신뢰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신뢰의 힘이 없었다면 지금의 조합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을 이끄는 이사장은 개인의 명예나 이익보다는 조합원을 위한 봉사 정신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정충용 이사장과 임홍빈 전무를 포함한 5명의 임직원과 65명의 조합원이 함께 연간 약 220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특히 다른 조합에 비해 출자금을 최소화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가입 및 탈퇴를 조금 더 자유롭게 하고 있는 것과 물류창고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임홍빈 전무는 “창립 초기부터 협동조합의 목적인 조합원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특히 조합 이사장의 경우, 명예직으로 순수하게 조합 및 조합원을 위해 봉사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