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장급 전보 중부지방산림청장 박도환 산불방지과장 고락삼
▲ 실장급 승진 식품산업정책실장 일반직고위공우뭔 오병석(농촌정책국장) ▲ 실장급 전보 기획조정실장 일반직고위공무원 이재욱(식품산업정책실장)
▣ 과장급 승진 및 전보 ▲ 연구정책국 연구성과관리과장송금찬(宋錦燦)▲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가공식품과장최준열(崔峻烈)
며칠 전 신문에서 앞으로 유망사업 중 하나가 곤충배양사업이라는 기사를 보았다. 예전 어렸을 적에 논길을 지나다 보면 가끔씩 개구리가 펄쩍 펄쩍 뛰어나와 뱀 인줄 알고 화들짝 놀래기도 많이 했는데 요즘은 그 흔한 개구리조차도 보기가 힘들어 졌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상업성 있는 미생물 선발 실험실에서 일을 하다 보면 미생물을 이용한 여러 가지 다양한 연구를 하는데 그 중에 작물 해충인 진딧물을 농약이 아닌 미생물을 이용하여 방제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산이나 유기농업으로 농사를 짓는 농장을 찾아다니며 죽어있는 벌레를 찾아다닌 적이 있다. 바닥에 죽어있는 벌레를 찾아다닌 이유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곤충도 병이 들어 죽을 수 있는데 바로 곤충을 병들어 죽게 만든 미생물을 찾기 위함이었다. 이렇게 곤충을 병들어 죽게 만드는 미생물을 곤충 병원성 미생물이라고 하는데 주로 곰팡이 종류가 많으며 Cordyceps(코디셉스), Beauveria(비베리아)나 Lecaniicillium<레카니실륨, 몇 년 전에는 Verticillium(버티실륨)으로 불렸다>, Paecilomyces(페실로마이세스)에 속하는 미생물 들이다. 일반적으로 곤충의 껍데기는 키틴, 단백질
▣ 승진▲ 선임연구위원국승용▲ 연구위원서대석, 박지연▲ 책임전문원성진석
▣ 승진 ▲ 기술개발부 이사 → 상무이사 조성필
▣ 부이사관 승진▲ 기획조정관실 기획재정담당관류성렬(柳誠烈)▲ 기획조정관실 혁신행정법무담당관최범석(崔杋碩)▲ 연구정책국 농자재산업과장김봉섭(金鳳燮)▲ 국립축산과학원 기획조정과장이근석(李根錫)▣ 과장급 승진 및 전보▲ 연구정책국 연구정책과장김경미(金京美)▲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잠사양봉소재과장조남준(趙南儁)▣ 기술서기관 승진▲ 연구정책국 농자재산업과하헌영(河憲榮)
▲ 과장급 전보 국제협력총괄과장 부이사관 최명철(축산정책과장) 축산정책과장 부이사관박정훈(농림축산식품부) 농산업정책과장부이사관 박상호(국제협력총괄과장)
'우리밀 밀밭 밟기' 체험 행사가 열린 지난6일, 전주우리밀영농조합 내 우리밀 체험관에서 어린이들이 우리밀로 반죽놀이를 하며 즐거워하고 있다. 밀밭밟기는겨울동안얼고녹기를반복하며생긴땅속얼음으로인해들뜬밀뿌리를밟아땅에밀착시킴으로써밀의생육을돕기위한것이다.
▣ 과장급 승진 ▲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장 김 진 숙(金辰淑)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장 최 병 렬(崔柄烈)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장 허 윤 찬(許允燦)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장 현 재 욱(玄宰旭)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영양생리팀장 김 상 호(金相昊) ▲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장 양 병 철(梁柄哲) ▣ 과장급 전보 ▲ 대변인 서 효 원(徐孝源) ▲ 연구정책국 연구운영과장 임 기 순(任基淳) ▲ 국립농업과학원 기술지원팀장 남 성 희(南聖姬) ▲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장 방 혜 선(方惠善) ▲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장 김 현 란(金賢蘭) ▲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장 홍 하 철(洪夏鐵)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바이오공학과장 박 응 우(朴應雨)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장 김 태 헌(金泰憲)
이제 몇일 지나면 경칩(驚蟄, 겨울잠을 자던 동물이 깨어나 활기가 넘치는 절기)을 지나 춘분(春分)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올해는 예년에 비해 추위도 덜하고 눈도 적게 내려 지구 온난화의 간접적인 영향이 아닌가 생각을 한다. 아무쪼록 좋은 날씨와 일기를 주셔서 올해 농사 준비가 계획대로 이루어지고 풍성한 수확을 거둘 수 있기를 바랄뿐이다. 배고픈 욕구만을 채워주는 정체모를 먹거리들 신토불이(身土不二)는 “몸과 흙은 둘이 아니다”라는 뜻이다. 즉 우리 몸과 토양은 하나이므로 내가 살고 있는 곳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우리 생활에서 섭취하고 있는 먹거리들의 일부는 수천 km 바다를 건너온 것도 있다. 어떻게, 어떤 비료와 농약으로 재배되었는지 모르는 농산물이 우리의 식탁에 버젓이 올라와 우리의 배고픈 욕구만을 채워주고 있다. 그렇게 정체 모를 먹거리들을 먹는 사이에 우리의 몸이 우리가 살고 있는 기반인 흙과 따로 따로 나누어져 둘이 되어버렸다. 현대인들이 예전보다 훨씬 잘 먹고 풍성한 삶을 누리면서도 아픈 곳은 더 많아지고 전에 없던 이름도 어려운 몹쓸 병들이 늘어만 가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도 한 몫을 하지는 않을까 생각을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는 8월 18일 오전 11시, 동 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김 호 위원장의 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농특위 사무국 전 직원은 물론, 대통령실 농림축산비서관실과 유관 부처 실장들이 함께 자리하였다. 김 위원장은 취임사에서 “정책의 출발과 완성은 현장에 있다는 믿음으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가 현장, 대통령실 그리고 정부간의 소통·협력의 구심점이 될 것”이며, “현장과 직접 대화·소통·협력하여 정책 대전환과 위기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농어업·농어촌·농어민은 식량주권·식량안보의 최후 보루이자, 생태·환경 보전과 지역공동체 유지를 위한 핵심기반임을 강조하며, 기후위기·농어업위기·식량위기, 농어촌 고령화와 농어업인력 부족, 글로벌 통상 문제, 급변하는 국제정세 등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지속가능한 3농(농어민·농어업·농어촌) 전략을 새롭게 설계하고 대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학자로서의 전문성과 현장과의 소통 역량을 바탕으로 현장과 정책을 잇는 가교자의 사명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했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농정과제가 성공적으로 이행되어 지속가능한 3농을 실현하고 국가 책
투명한 경영과 조합원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정보 공유로 건전한 유통질서를 만들어 가고 있는 전국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협의회(이하 판매조합협의회) 김영칠 회장은 1986년 ㈜대유 영업부 입사를 시작으로 농업분야에 첫 발을 들였다. 이후 10년간의 직장생활을 마무리하고 1995년 경남 양산시에 물금농약사를 설립했다. 이와 함께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이하 유통협회) 지회장을 거쳐 부산·울산지부 사무국장과 지부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특히 2016년 부산울산경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부울경작물보호제 판매조합) 이사장에 당선되어 현재까지 연임 중이다. 김영칠 회장이 대표로 있는 물금농약사가 위치한 양산시는 도농복합도시로 다양한 농산물 재배는 물론 도시농업인 텃밭과 주말농장이 발달해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도시민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맞춰 농산물 종자와 모종, 농약, 영양제는 기본이고 꽃씨와 꽃모종은 물론 소규모 도시농업을 위한 다양한 농자재를 구비 해 판매함으로써 도시농업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판매혁신 이뤄야… 김영칠 회장은 “농업은 단순히 먹거리 생산을 담당하는 1차산업이 아닌 국가안보와 국민의 영양, 건강은 물론 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