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질 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지역 여건에 알맞고 수량보다는 밥맛이 좋은 우량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한 모 기르기를 위해서는 정부 보급종 또는 순도 높은 씨받이(채종)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신품종을 선택할 때에는 지역별, 익는 시기(숙기), 재배 안전성, 유통판매 등을 고려하여 지역 적응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자소독 전 보급종이 아닌 종자는 까락제거 작업 후 소금물가리기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금물가리기를 실시할 경우 볍씨를 소금물에 너무 오래 담가 두면 싹트임 비율이 낮아지므로 곧바로 맑은 물로 씻어 주어야 한다. 벼 종자소독은 종자를 통해 전염되는 키다리병, 도열병, 깨씨무늬병, 세균벼알마름병과 벼잎선충, 벼이삭선충 등의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실시한다. 종자소독 방법으로는 친환경 벼 재배에 많이 사용하는 냉수온탕침법과 약제혼용종자소독법 등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벼이삭선충이나 벼잎선충 발생 우려 지역은 살충제와 동시에 처리해 방제하도록 한다.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약제침지소독은 소금물가리기, 종자소독, 싹틔우기, 파종 순으로 실시하며, 소독 시 종자 10kg 당 물 20ℓ에 종자소독약제를 희석배수를 준수하여 희석한 후
[벼물바구미 제품추천] (주)경농 벼물바구미 및 수도 주요 병해충 종합방제 육묘상처리제 ‘왕꿈’ 입제 - 살균 성분인 티아디닐과 살충 성분인이미다클로프리드로 구성 - 동시방제 효과와 지속력에서 탁월 - 이앙 전부터 이앙 당일까지 1회 처리로 종합방제 - 초기 병해충및 생육 중후기까지 약효 발현으로 문제병해 예방 성보화학(주) 파종동시 전용 살균·살충 육묘상처리제 ‘한소네골드’ 입제 - 파종동시처리로 약제 손실 없이 간편하고 균일한 살포 가능 - 저온성 해충에 우수한 피프로닐을 함유하여 해충 방제효과 높음 - 초기 빠른 생장으로 육묘기간 단축 - 뿌리의 생장 촉진시키며 매트형성 촉진 - 수량증수 효과 등 부수적인 효과 뛰어남 신젠타코리아(주) 초기 저온성 해충부터 저항성 벼멸구까지 한번에 ‘미네토스타’ 입상수화제 - 2가지 약제성분이 상승작용에 의한강력한 살충효과 - 나방부터 저항성 벼멸구까지 동시방제 - 약제성분이 상하좌우로 이동이 가능하여 숨어있는 해충까지 방제 - 모판관주로 처리 시, 초기 저온성 해충 애멸구·벼물바구미 등 방제에 탁월 - 긴 약효지속성으로 후기 해충까지 사전 예방 (주)팜한농 국내 최초 이앙동시처리 전문 육묘상처리제 ‘방어망’ 입제
2007년에 설립된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 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정충용. 이하 대전세종 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투명한 경영을 통해 조합원들의 신뢰를 형성하고 조기 구매 및 결제를 통해 조합원들에게 더욱 많은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정충용 이사장은 “공동구매를 통한 조합원의 이익을 실현하는 조합은 무엇보다 투명한 경영과 상호 신뢰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신뢰의 힘이 없었다면 지금의 조합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을 이끄는 이사장은 개인의 명예나 이익보다는 조합원을 위한 봉사 정신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정충용 이사장과 임홍빈 전무를 포함한 5명의 임직원과 65명의 조합원이 함께 연간 약 220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특히 다른 조합에 비해 출자금을 최소화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가입 및 탈퇴를 조금 더 자유롭게 하고 있는 것과 물류창고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임홍빈 전무는 “창립 초기부터 협동조합의 목적인 조합원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특히 조합 이사장의 경우, 명예직으로 순수하게 조합 및 조합원을 위해 봉사하고 있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이형준 이사장 설립 첫해부터 320억 원이라는 남다른 매출을 올리며, 조합원의 결속과 성장의 모범 답안을 보여온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을 방문해 2008년 설립 당시부터 이사로써 운영에 참여해 그 누구보다 열심히 달려 온 제6대 이형준 이사장을 만났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7년 초대 정원호 이사장(㈜풍년케미컬)이 2008년 제2대부터 4년의 임기로 2020년까지 연임했으며, 이어 제5대 김대기 이사장(아리랑농약사)을 거쳐 제6대 이형준 이사장(한농농자재상사)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이형준 이사장은 “초대 정원호 이사장이 다져놓은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제5대 김대기 이사장이 4년의 임기 동안 제시한 키워드는 ‘공감’이었다”며 “이제는 공감의 시대를 지나 함께 미래를 키워가는 ‘성장’을 키워드로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관련, 2030 비전 ‘농민과 함께, 미래를 키우는 조합’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8년 설립 당시 80명의 조합원이 각각 2,000만 원씩 출자해 자본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