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지난 7월 20일 농업 전문지 기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조재호 청장을 비롯해 김상남 국립농업과학원장, 윤종철 국립식량과학원장, 이지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장, 박범영 국립축산과학원장, 최상호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장 등 농촌진흥청 소속 기관장들과 대변인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다음은 주요 질의응답)
Q 지난 5월 제31대 농촌진흥청장으로 취임하셨는데, 취임 후 소감과 포부는?
기후변화, 식량안보, 인구감소 등 농업ㆍ농촌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어려운 가운데 윤석열 정부의 초대 농촌진흥청장으로 임명되어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취임 이후 농업·농촌 현장의 현안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동시에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1960~70년대 녹색혁명과 1980년대 백색혁명을 주도하면서 우리나라의 근대화 발전을 뒷받침해오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농업에 접목하는 스마트 농업 등 기술 혁신을 이끌면서 농업ㆍ농촌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저출산, 고령화로 지방소멸론이 대두되고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상 등 풀어가야 할 난제들이 산적해 있는 실정입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성장산업으로 국가 발전을 선도하는 농업, 국민의 행복 지수를 높이는 공간으로의 농촌’을 위한 기술개발에 전념하겠습니다.
Q 최근 과수화상병 피해가 감소하고 있다. 화상병 확산 저지를 위한 선제적 종합방제기술 개발 전략은?
과수화상병은 국내에서 2015년에 경기도 등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2020년 744농가 394헥타르(ha)까지 계속 증가했으나, 다행히도 지난해부터 발생이 다소 감소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7월 18일 기준 213농가 89.5ha에서 발생했으며 지난해 618농가 389ha 대비 37% 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우리 청은 확산 방지를 위해 ▲신속·정밀 진단을 통한 사전 제거, ▲예측정보에 기반한 개화기 방제기술, ▲새로운 약제 선발 및 전 생육기 재배관리를 통한 경종적 관리기술 등 종합방제기술 개발에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유전자증폭기술(Real time PCR)을 활용해 발생 현장(수원, 충주)에서 바로 진단하는 체계를 확립했으며, 확진 기간을 기존 3∼5일에서 당일 1.5시간 이내로 단축해 통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또한,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활용해 동절기 궤양 등 유사 증상에서 화상병균 검출기준을 정립했으며, 올해 개화 전에 64개 과원을 진단해 사전에 전염원을 제거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국내 환경에 맞는 화상병 방제 적기 예측 시스템(K-Maryblyt)을 개발해 전국 36개 시군 382개소에 설치했습니다. 이를 활용해 개화기 예측경보에 따라 2회 방제하였을 때 만개 후 2회 처리 방법 대비 16% 이상의 높은 방제 효과를 확인했으며, 이를 전국 사과·배 농가에 2회 문자로 알려 적기에 방제가 이루어지도록 했습니다.
이와 함께 작업 도구 소독 방법을 구명하면서 이의 실천을 위한 전정 가위 휴대용 소독 장치를 개발ㆍ보급했으며, 사과나무 화상병 궤양과 유사한 다른 궤양을 현장에서 구분하는 방법을 개발·보급해 동절기 궤양 제거 실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한편,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항생제 등의 합성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제 및 박테리오파지 등을 찾아 화상병 방제 효과를 확인했으며, 실제 과수원 환경 등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상의 방제기술들은 사과·배의 재배과정에서 화상병 방제를 위한 농작업이 추가되는 노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농업인들이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급하고자 합니다.
Q 사료 가격 급등으로 인해 축산농가의 고충이 심해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농촌진흥청에서 ‘알팔파’ 시험 재배에 성공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 재배 가능성과 수입 조사료 대체 효과는?
알팔파는 영양 가치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나 그간 국내 토양환경 (산성토양, 장마철 습해, 미량광물질 등)에서는 재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우리 청에서는 지난해 적정 시비 방법 개선 등을 통해 대량 재배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토양 산도 교정, 적정 시비와 배수로 정비 등을 관리할 경우 재배가 가능하며, 천안지역 밭에서 재배시험 결과 헥타르(ha)당 생산량은 건물(乾物) 기준 연간 5회 수확, 총 17톤으로 미국의 평균 생산량 18.9톤과 거의 비슷한 수준입니다.
알팔파는 연간 4∼5회 수확이 일반적이며 봄철 수확량이 전체의 70∼80% 정도를 차지하고 있씁니다. 특히 정읍지역 논에서 재배한 결과 건물(乾物) 기준 ha 당 1회 수확으로 7.8톤 생산이 가능하며, 벼 이모작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한편, 향후 벼 대체 사료작물 등 논에서 연중재배를 위해서는 여름철 습해 피해 정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알팔파 수입은 지난해 기준 연간 19만톤, 1천억원 규모이며, 국내 논 면적의 1%와 밭 면적의 0.3%에 알팔파를 재배된다면 수입량의 40% 이상은 대체할 수 있습니다. 수입 건초 가격(482원/kg) 대비 국내 생산비(494원/kg)는 다소 높은 편입니다만 국내 판매가격(756원/kg)을 가만할 때 자체 생산·소비를 기준으로 한다면 34% 정도 낮은 수준입니다.
국내 논 면적의 1%(7,800ha) 재배 시 매년 325억원 수입 대체 효과가 있으며, 밭 면적의 0.3%(2,400ha) 재배 시 연간 4~5회 수확으로 매년 100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 청은 향후 생산기반 확대를 위해 답리작 및 간척지 실증 시범재배를 확대하는 한편, 열풍건조를 통한 알팔파 건초 생산·유통 현장 실증과 함께 생산능력 및 지역적응성 검증을 통해 국내 최초 품종등록과 농가 보급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Q 국내 축산업의 골치거리인 축분과 슬러지 등 유기성 폐자원을 바이오가스 및 바이오차 등 유용자원으로 전화시키는 기술이 관심받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국내 기술 수준은?
우리 청은 가축분뇨 처리 문제 및 탄소중립 이슈 등을 해결하기 위해 가축분의 농경지 환원 이외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돼지 분뇨 슬러지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기술은 이미 개발됐으나, 에너지 생산효율이 낮아 실용화가 저조한 실정입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우분과 농업부산물 및 남은 음식물 등을 활용해 효율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가축분뇨 및 농산부산물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기술 개발을 추진해 가축분뇨와 농산부산물을 통합 혐기 소화 시 안정적으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2023년까지 고형성 가축분뇨(우분 등) 바이오가스화를 위한 축분 전처리 기술 개발을 통해 초음파, 절단 방법 등의 가축분뇨 전처리 기술 적용을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효율 향상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 농식품부와 현대당진제철소, 농협, 당진낙협 등과 함께 가축분을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우분 고체연료 시범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열분해를 통해 가축분을 바이오가스, 바이오 오일, 바이오차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가축분을 활용한 바이오차 생산 이용 방안을 농식품부와 함께 모색하고 있으며, 가축분에 포함된 구리, 아연 등 토양용출 정도를 평가한 결과, 바이오차로 이용 시 구리는 1.1%(72.40 → 0.86mg/kg), 아연은 29%(418.82 → 122.40mg/kg)만 용출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습니다.
현재 농업분야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사업에 열분해 조건별 축분 바이오차 특성 및 안정성 평가 추진 사업을 포함에 추진하고 있으며, 범정부 중점협업과체 추진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농진청·농협·기업체 등과 함께 가축분 바이오차 상토용 이용 가능성 평가 업무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Q 지역농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맞춤형 신품종 개발ㆍ보급과 고부가가치 중심의 지역특화작목 산업화를 위한 농촌진흥청의 노력과 그동안의 자랑할 만한 성공사례가 있다면?
지방소멸의 위기 상황에서 농촌 사회·경제의 근간이 되는 지역농업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인 지원정책과 성장전략이 절실한 실정입니다.
우리 청은 지역농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신성장동력으로 고부가 지역특화작목 육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산업화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특화작목 육성과 지속적 지원을 위한 제도적 기반 및 실행계획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연구개발(R&D)과 육성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9년 7월 9일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제정·시행 됐으며, 지난해 2월 「제1차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2025년까지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한, 지역 활력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 대응 주체로 거점연구기관을 육성하고자 합니다. 시장개방 확대에 대응한 지역농업 R&D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난 1992년부터 지역특화작목연구소를 설치하고 R&D 혁신 주체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현재 경기 3개소, 강원 5개소, 충북 7개소, 충남 7개소, 전북 5개소, 전남 4개소, 경북 9개소, 경남 6개소 등 전국 46개소에 특화작목연구소를 설치·운영하고 있습니다.
국가와 지역의 산학관연 R&D 협력을 통한 우수 품종 육성 및 재배기술 개발·보급으로 국가 브랜드 작목 및 수출 효자품목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충남의 ‘설향’ 딸기는 대표적인 지역특화작목 육성 성공사례입니다. 지난 2005년 9.2%에 불과했던 국산 딸기 품종의 점유율이 지난해 기준 96.4%까지 증가했습니다.
이외에도 경기지역 선인장/다육식물, 전북지역 파프리카, 전남지역 참다래, 경남지역 화훼 등 지역맞춤형 우수 신품종 개발·보급을 통해 지역 브랜드 작목으로 성장한 우수사례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 청은 앞으로도 유망 지역특화작목 육성과 성공사례 확산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국가 균형발전 및 농가 소득향상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Q 끝으로 농촌진흥청에서 추진하는 중점사업은?
국정과제를 기반으로 ▲식량안보ㆍ기후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식량자급률 향상, ▲농업ㆍ농촌의 미래 성장 산업 육성을 위한 R&D 투자 확대와 기술지원, ▲농업ㆍ농촌 현장의 애로를 해소하는 기술개발ㆍ보급, ▲청년 농업인의 농촌 유입 촉진 및 활기차고 살고 싶은 농촌 환경 조성, ▲우리 농업기술의 해외 진출 촉진 및 선진국/개도국과 파트너십 확대 등 5분야를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우리 청은 정부의 농식품 산업 정책을 기술적으로 뒷받침하고 조직 혁신으로 농업ㆍ농촌 및 농식품 산업발전을 위해 실질적인 성과를 끌어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