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25.4℃
  • 구름조금강릉 27.3℃
  • 천둥번개서울 27.5℃
  • 구름많음대전 28.7℃
  • 맑음대구 27.6℃
  • 소나기울산 26.5℃
  • 맑음광주 28.9℃
  • 맑음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2℃
  • 구름많음제주 28.5℃
  • 구름많음강화 24.4℃
  • 구름조금보은 26.1℃
  • 구름많음금산 26.8℃
  • 구름조금강진군 27.1℃
  • 흐림경주시 27.2℃
  • 구름조금거제 27.9℃
기상청 제공

벼에 가장 심각한 피해 주는 해충에 기생하는 선충

계속되는 고온다습한 날씨, 벼멸구 증식 속도 빨라져

매미목 해충인 벼멸구와 흰등멸구는 형태와 생태가 비슷하면서 벼에 가장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들이다. 이번 호는 이들에 기생하는 선충에 대하여 알아보자.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벼멸구는 어떤 해충인가?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벼멸구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지역의 벼 재배 지역에서 심각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는 중요한 해충이다. 4.5-5㎜ 크기의 날개가 긴 장시형과 3.3㎜ 크기의 날개가 짧은 단시형이 있다. 
우리나라로 비래하는 멸구는 모두 장시형이고 증식한 세대는 대부분 단시형이다. 암컷 성충은 갈색 또는 암갈색이고 수컷 성충은 흑갈색이다. 대발생한 해에는 벼가 팻취형으로 군데군데 벌겋게 내려앉는 ‘집중고사’ 현상을 보인다. 이를 ‘벼멸구’의 영어 ‘하퍼’와 ‘불에 타다’의 영어 ‘번’를 합하여 ‘하퍼 번’이라 한다. 

 

정기자  우리나라에서는 벼멸구가 월동(겨울나기)하지 못하나?
추박사  벼멸구는 북위 19도선 이남 지역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동남아시아의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과 중국의 하이난섬 등에서는 월동할 수 있고 우리나라와 같이 겨울의 추운 날씨를 가진 기후대에서는 월동하지 못한다.

 

정기자  겨울을 나지 못하는 벼멸구는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발생하나?
추박사  매년 5월에서 7월, 특히 6월에서 7월, 벼멸구와 흰등멸구는 저기압을 타고 중국 남부에서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으로 비래해 온다. 특히, 저기압 전선이 중국의 화서지방과 화남지방에 널리 걸쳐 있을 때 비래가 많다. 7월 초의 지속적인 저기압과 계속되는 고온다습한 날씨는 벼멸구의 증식 속도를 빠르게 한다. 비래지의 발생 정도, 비래시기의 기상, 8-9월의 온도가 발생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정기자  벼멸구의 기본적인 생태는 어떠한가?
추박사  장시형으로 우리나라에 비래한 벼멸구는 비래시기에 따라 2-3세대를 경과한다.

6월 하순 이전에 비래하면 3세대를 경과할 수 있고 7월 하순에 비래하면 보통 2세대를 경과한다. 증식한 세대는 대부분 단시형이 된다.

발생밀도는 9월에 가장 높다. 암컷은 벼의 엽초에 7-10개씩 무더기로 30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알 기간은 6-10일이다. 성충이 되기까지는 24-34일이 걸린다. 성충의 수명은 20-30일이다. 온도와 영양에 따라 차이가 있다. 입은 흡수구(빨대형)로 벼의 줄기를 빨아 먹는다. 

 

정기자  벼멸구의 피해는 생각보다 심각한 것 같다.
추박사  비래한 벼멸구는 우리나라에서 2-3세대를 경과하면서 많은 피해를 끼친다. 발생량이 많은 해는 피해가 막대하다. 비래량, 비래시기, 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일찍 비래할수록 피해가 크다. 특히, 비래하는 6월 하순은 벼가 최고 분얼기여서 영양 상태가 가장 좋은 때이다. 약충과 성충이 주로 수제부(물의 표면과 접하는 부분)로부터 10㎝ 이내의 벼포기에 집단으로 모여 흡즙한다. 단시형은 암컷이 많다. 

 

정기자  벼멸구의 천적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
추박사  벼멸구의 천적에는 벼멸구선충, 기생봉, 기생파리, 장님노린재, 거미, 곤충병원성 곰팡이, 세균 등 200종 이상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흰등멸구의 천적과 겹치고 이들에 의하여 밀도가 자연 억제되고 있다. 특히, 벼멸구선충은 온대 지방에서 가장 중요한 천적 중의 하나다. 경남 지방의 조사에서 토양 중 밀도가 ㎡ 당 395마리에서 1045마리로 높았다. 부화율과 기생율이 높은 편이다.

 

정기자  벼멸구선충은 어떤 선충인가?
추박사  벼멸구선충(아가머어미스 운카)은 에사키와 하시모토가 1931년 일본의 오이타현에서 채집한 벼멸구와 흰등멸구에서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1932년 카부라키와 이마무라가 신종으로 기술하였다. 그 후 연구가 없다가 본인에 의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종명인 ‘운카’는 ‘멸구’의 일본어이다. 우리나라 전역의 벼 논에 분포한다. 

 

정기자  벼멸구선충이 채집된 당시의 기생상황은 어떻게 되나?
추박사  에사키와 하시모토의 조사에 의하면 벼멸구의 기생율은 41.3%였고 흰등멸구의 기생율은 70.6%였다. 

 

정기자  벼멸구선충의 기생범위는 어떻게 되나?
추박사  우리나라에서는 벼멸구와 흰등멸구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벼멸구와 흰등멸구 외에 매미충, 줄강충이 긴날개멸구, 끝동매미충, 애멸구에서도 발견되었다. 말레이시아, 필리핀, 스리랑카, 인도에서도 멸구와 매미충에서 미동정 머어미씨드 선충이 기록되었다. ‘아가머어미스’속 선충일 가능성이 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