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기록하고 있는 딱정벌레목 해충에도 많은 종류의 선충이 기생하고 있다. 지난호에 이어 중요한 산림해충인 나무좀 기생선충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파라막대선충은 어떤 선충인가?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나무좀의 체내와 갱도에서 발견되는 선충이다. 주로 창자에서 발견되지만 때때로 말피기씨관에서도 발견된다. 몇몇은 나무좀의 혈체강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나무좀뿐만 아니라 천공성 해충의 갱도 내에 있는 톱밥 속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선충이다. 암컷의 크기는 약 0.4-1.4㎜ 내외이고 난소는 하나다. 휘어져 있다. 음문의 위치는 몸의 후반부 90% 또는 그 이상에 있다. 직장은 분명하다. 꼬리는 통통하다. 수컷의 크기는 0.35-1.1㎜ 내외이다. 부자는 단순하고 다양한 모양이다. 교접자는 이삭 모양이다. 끝은 융합되었다.
정기자 나무좀에 기생하는 어리둥근선충의 일생은 어떻게 되나?
추박사 침입태는 3령충이고 기생체는 단지 4령충이다. 그 외 발육단계의 선충은 자유생활을 한다. 4령충은 나무좀의 혈체강에 기생한다. 나무좀의 유충, 번데기, 성충에서 발견된다.
또한 소화관과 갱도의 톱밥에서도 발견된다. 나머지 발육단계의 선충은 갱도의 톱밥에서 발견된다. 침입태 3령충이 나무좀을 침입하는 과정은 알려지지 않는다. 나무좀의 유충이 3령충을 삼키면 소화관을 뚫고 혈체강에 들어가는 것을 추정하고 있다. 소화관을 뚫고 빠르게 혈체강으로 들어가거나 표피를 통하여 혈체강으로 침입할 가능성도 있다. 관찰된 예는 없다. 일단 혈체강에 침입하면 3령충은 4령충으로 탈피하여 빠르게 성장한다.
나무좀 성충의 배, 가슴의 비상근 부근, 머리, 유충, 번데기 등에서 발견된다. 유충은 혈체강의 지방체에 흩어져 있다. 그리고 4령충은 나무좀의 항문으로 나오는데 만약 나무좀이 죽으면 입이나 항문으로도 나온다. 탈출한 4령충은 3-4일 후 탈피하여 성충이 된다.
느릅나무시들음병균 등 여러 종류의 곰팡이 균사체를 먹고 산다. 교미 후 암컷은 알을 낳고 알의 부화에는 3-4일이 소요된다. 1령충은 탈피하여 빠르게 2령충이 되고 3령충이 되지만 먹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 3령충은 나무좀에 기생하기 전까지 그 이상 발육하지 않는다.
정기자 나무좀 편승 파라막대선충(파라지토래브디티스)의 일생은 어떻게 되나?
추박사 파라막대선충의 일생은 복잡하지 않지만 여러 대체적인 방법이 있을 수도 있다. 선충은 나무좀의 몸 외부에 붙어 새로운 서식처로 이동하여 나무좀의 갱도에서 자유생활을 한다.
여덟가시나무좀파라막대선충(파라지토래브디티스 잎소필라)의 3령충은 여덟가시나무좀의 창자 내에서 발견된다. 1~92마리의 유충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유충은 항문을 통하여 배출되고 갱도에 있는 곰팡이를 먹고 살면서 성충으로 발육한다.
교미 후 암컷은 산란하고 다른 유충 단계들은 갱도에서 발견된다. 3령충은 새로운 기주(나무좀의 유충)를 찾아 개구부(입, 항문, 기문)를 통하여 침입한다. 소나무좀파라막대선충의 유충은 소나무좀(토미쿠스 파이니페르다) 유충의 혈체강에서 발견된다. 3령충이 창자벽을 뚫고 혈체강으로 들어간다. 지방체 조직에서 발견되는 3령충은 4령충으로 탈피하여 다시 창자로 들어가 항문을 통하여 나온다. 혈체강에 머무는 기간은 선충에 따라 다양하다.
일단 나무좀을 나온 선충들은 갱도의 톱밥에서는 성충으로 발견된다. 교미한 암컷은 산란하고 톱밥 속에는 유충들이 발견된다. 3령충과 4령충이 새로운 나무좀을 찾는다는 보고가 있지만 4령충의 혈체강 침입은 분명치 않다. 푸른곰팡이 등 곰팡이에서 증식할 수 있는 선충과 같이 나무좀을 비롯한 천공성 해충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종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