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8월 28일 충남 청양군 목면에서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청양군농업기술센터와 함께 ‘참깨·들깨 논 재배 기계화 현장 연시회’를 열고, 농업인 의견을 들었다.

이번 연시회는 ▲논 재배 및 기계화 적합 참깨·들깨 신품종과 재배기계화 기술 소개 ▲재배지 물관리 기술 개발 및 보급 사례 소개 ▲관련 농기계 15종(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등) 전시 ▲육묘 정식기, 범용콤바인·예취기, 무굴착 땅속 배수 기술 등 정식 및 수확 ▲배수 기술 연시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선보인 품종은 참깨 ‘하니올’(2021년 육성), ‘영웅’(2023년 육성)과 들깨 ‘들찬’(2018년 육성), ‘새찬’(2024년 육성)이다.
참깨 ‘하니올’은 내탈립성이 강하고 범용콤바인 수확이 가능해 대규모 논 재배가 가능한 품종이다. 재배기간이 89일로 짧고, 역병, 시들음병 등 복합 내병성을 가져 다양한 작물과 번갈아 심어도 잘 자란다. 또한 ‘안산’ 품종 대비 수량이 20%(104kg/10a) 높다.
들깨 ‘들찬’, ‘새찬’은 쓰러짐(도복)에 강하고, 자람새가 좁게 위로 뻗는 형태라 예취기로 편리하게 수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보급 중인 들깨 품종 중에 오메가-3 함량이 66.8%로 가장 많다.
이날 행사가 열린 논은 지난 2023년 ‘무굴착 땅속 배수 기술’을 시공, 습해에 매우 민감한 참깨를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게 정비돼 있다. 올해 6~7월 집중호우에도 침수 피해 없이 참깨 생육이 양호했다.

무굴착 땅속 배수 기술은 논의 물 빠짐(배수)을 개선해 농지 생산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트랙터나 굴삭기에 매설기를 연결해 주행하면서 40~50cm 깊이에 유공관을 설치하고 왕겨를 채울 수 있다. 이 기술을 적용한 논 참깨 재배지에서는 수량이 30~60%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상돈 농업인(국립식량과학원 현장명예연구관)은 연시회에 참석해 “논 재배 주요 기술로 참깨 ‘하니올’을 재배해 보니, 파종부터 수확까지 기계를 활용할 수 있어 노동력 절감 효과가 탁월했다.”라며 “무굴착 땅속배수 기술을 시공하고 집중호우에도 안심하고 경작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연시 농기계 5종
한편, 참깨·들깨 재배 시 밭갈이·땅 고르기(경운·정지), 비닐덮기(피복), 방제 작업 기계화율은 높은 편이지만, 모종 아주심기(정식), 수확(예취), 낟알 떨기(탈곡) 작업은 낮은 편이다. 이번 연시회에서 소개한 참깨·들깨 논 재배 기계화 기술을 도입할 경우, 관행 대비 노동력은 56~67%, 비용은 39~50%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진흥청 고종민 식량산업기술팀장은 “쌀 적정 생산과 식량자급률 제고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논에 벼 대신 심을 수 있는 식량작물과 재배 전(全) 과정 기계화 및 논 배수 개선 기술 등을 개발, 현장에 확산하고 있다.”라며 “현장 연시회에서 수렴한 의견을 반영해 기술을 고도화하고 현장 보급 확산에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