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에는 몇몇 사진으로 뿌리혹선충의 피해와 일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뿌리혹선충의 피해를 받은 식물의 뿌리는 어떤 증상으로 나타나는가? 추호렬 박사 (이하 추박사) 선충이 침입하면 거대세포가 만들어지고 뿌리는 이상 비대하여 크고 작은 혹을 형성한다. 고구마뿌리혹선충은 뿌리에 혹 덩어리를 만들기도 한다. 정기자 뿌리혹선충의 한살이를 그림으로 나타낸다면? 추박사 체세포분열로 발육한 1령충은 알 속에서 탈피한다. 그리고 2령충으로 탈출하여 기주식물의 뿌리에 침입한다. 계속 먹이활동을 하면서 3령충, 4령충, 암수 성충으로 발육한다. 정기자 뿌리혹선충의 암컷 성충과 회음부는 어떻게 생겼나? 추박사 2령충과 수컷 성충은 실모양이지만 암컷 성충은 서양배 모양이다. 구침부가 있는 앞부분은 가늘고 뾰족하며 후부는 둥글다. 후부의 둥근 부분에 회음부가 있다. 둥근 부분을 잘라 회음부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때 가로의 입 모양은 음문이고 구멍으로 보이는 부분은 항문이다. 항문 위 꼬리 끝부분의 양쪽에 있는 점 모양은 측미선구이다. 이들을 둘러싸고 물결(지문)무늬가 있다. 종에 따라 회음부의 모양에 특징이 있어
■ 국장급 승진 ○ 대변인 일반직 고위공무원 김정주 (식량정책과장)
<보직> △ 농업관측센터 원예실장 김원태
■ 장관정책보좌관 임명 ○ 장관정책보좌관 별정4급 상당 맹용재
얼마 전 하지(夏至)를 지나고 본격적으로 장마철에 접어들었다. 장마 후에는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 될 텐데 올해는 더위가 그 어느 때보다 기승을 부릴 거라 하는데 우리들의 불쾌지수 또한 높아져 이런 때에는 뭐니 뭐니 해도 몸에 맞는 음식을 잘 먹어야 한다고 굳게 믿는다. 무더위에 자칫 몸의 균형이 무너지기 쉽기 때문에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보양식이 많이 먹게 된다. 그런데 이런 음식들은 공통적으로 단백질이 풍부하다는 것인데 단백질은 우리 몸에 질소를 공급해 주는 물질로서 살을 찌우고 골격을 튼튼하게 하는 성분이다. 작물을 잘 자라게 하기 위하여 질소 비료를 많이 주어야 하는 것처럼 사람도 질소 성분을 많이 섭취해야만 허우대도 커지고 건강해진다. 지난 주 강의 중 귀농을 한지 얼마 되지 않은 초보 농업인이 미생물에 대하여 궁금한 것을 질문을 하는데 미생물은 입이나 눈이 없는데 어떻게 먹고 사는지에 대하여 물어왔다. 미생물은 세포막과 세포벽이라고 하는 껍데기로 이루어져 있고 구멍 같은 것은 안 뚫어져 있다. 그리고 필요한 양분은 에너지를 동원해서 세포내로 흡수를 하는데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착착 진행이 되는 것을 보면서 생명에 대하여 놀랍기만 하다. 일
▣ 과장급 <승진>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운영지원과장 황 현 주 (黃 賢 珠) ○ 농촌지원국 청년농업인육성팀장 나 상 수 (羅 詳 洙)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곤충양잠산업과장 최 광 호 (崔 光 鎬)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양봉생태과장 한 상 미 (韓 相 美)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생물안전성과장 류 태 훈 (柳 泰 熏) ○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논이용작물과장 오 기 원 (吳 起 源)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술지원과장 장 선 화 (張 仙 花) <전보> 운영지원과장 류 성 렬 (柳 誠 烈) 국립농업과학원 운영지원과장 최 범 석 (崔 杋 碩) 국립식량과학원 운영지원과장 이 근 석 (李 根 錫) 연구정책국 연구성과관리과장 왕 희 상 (王 喜 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획조정과장 우 강 하 (禹 岡 河)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기능성식품과장 김 진 숙 (金 辰 淑)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수확후이용과장 김 영 (金 영)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장 정 진 영 (鄭 普 永) ▣ 도농업기술원 국장 승진 ○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기술지원국장 박 용 철 (朴 容 哲) ○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 김 종 수 (金 鍾 秀)
□ 직위승진(팀장급 임용 1명) 디지털농업본부 디지털농업확산팀 임류갑(책임연구원) ⇒ 디지털농업본부 혁신밸리실증팀장
▲ 과장급 전보 축산정책국 축산경영과장 서기관 정재환 (구제역방역과장) ▲과장급 승진 방역정책국 구제역방역과장 기술서기관 유재형 (방역정책과)
이번 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자바니카(사탕수수)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에 관하여 일문일답하고자 한다.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자바니카뿌리혹선충에 의한 식물의 피해시기와 감염증상은? 추호렬박사(이하 추박사) 개화기, 결실기, 유묘기, 생장기 등 식물의 전 생육단계에 걸쳐 피해를 준다. 뿌리혹선충이 기생할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증상을 보인다. 생장 감소, 잎의 황변, 뿌리혹이 그것이다. 즉, 잎에서는 비정상적인 색깔과 형태, 시들음, 고사 증상을 보이고, 뿌리에는 혹 형성, 근계 감소, 뿌리의 팽창을 보인다, 식물 전체에서는 왜소화와 조기 노화의 증상을 보인다. 정기자 온도와 자바니카뿌리혹선충의 관계를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추박사 자바니카뿌리혹선충과 온도와의 관계를 보면 ①부화의 최저온도는 10℃, 적온은 30℃, 최고온도는 35℃, ②활동의 적온은 25℃, ③뿌리 침입 적온은 25-30℃, ④발육 적온은 25-30℃, ⑤번식 적온은 24-28℃, ⑥생존 최저온도는 10℃ 이하이다. 정기자 자바니카뿌리혹선충과 기주와의 관계는? 추박사 동부, 비둘기콩, 담배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감자에는 괴경과 뿌리에 기생한다. 괴경에 기생한 선충은 괴
농기자재신문은 지난 2008년 6월 16일 ‘농업과 농기자재산업의 상생과 조화’를 위한 농기자재업계 대안미디어로서의 역할을 위해 창간됐습니다. 농기자재신문 제호에서 나타나듯이 농기자재산업의 발전과 관계자들의 권익을 보호하는 전문미디어로써 농기자재산업과 관계자들이 농업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을 제대로 조명함으로써 농업과 농기자재산업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농기자재업계의 전문 언론으로 자리매김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농기자재산업은 예나 지금이나 농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농기자재산업과 종사자들은 물론 유통인까지 그동안 농업발전에 필요한 새로운 기술과 상품을 알리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앞으로도 수많은 신기술·신제품의 개발·보급을 통해 농업을 발전시켜 나갈 것입니다. 농기자재신문은 창간 이후 농기자재산업과 종사자들은 물론 농기자재유통인, 정부와 농업 관련 기관, 학계 전문가 그룹 등 각 분야가 필요로 하는 부분과 개선되어야 될 부분들을 가감 없이 전달하는 한편, 이들의 위상과 역할을 조명함으로써 농업과 농기자재산업이 함께 상생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농기자재와 관련한 새로운 기술
9일 제주시 오등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아열대과수 시험 재배지에서 연구원들이 ‘애플망고’를 수확하고 있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망고의 노동력 절감을 위해 나무 높이를 1.2~1.5m 정도로 낮춰 재배하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이하 ‘농특위’)는 8월 18일 오전 11시, 동 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김 호 위원장의 취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농특위 사무국 전 직원은 물론, 대통령실 농림축산비서관실과 유관 부처 실장들이 함께 자리하였다. 김 위원장은 취임사에서 “정책의 출발과 완성은 현장에 있다는 믿음으로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가 현장, 대통령실 그리고 정부간의 소통·협력의 구심점이 될 것”이며, “현장과 직접 대화·소통·협력하여 정책 대전환과 위기극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농어업·농어촌·농어민은 식량주권·식량안보의 최후 보루이자, 생태·환경 보전과 지역공동체 유지를 위한 핵심기반임을 강조하며, 기후위기·농어업위기·식량위기, 농어촌 고령화와 농어업인력 부족, 글로벌 통상 문제, 급변하는 국제정세 등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하였다. 지속가능한 3농(농어민·농어업·농어촌) 전략을 새롭게 설계하고 대전환을 이끌 수 있도록 학자로서의 전문성과 현장과의 소통 역량을 바탕으로 현장과 정책을 잇는 가교자의 사명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표했다.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농정과제가 성공적으로 이행되어 지속가능한 3농을 실현하고 국가 책
투명한 경영과 조합원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한 정보 공유로 건전한 유통질서를 만들어 가고 있는 전국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협의회(이하 판매조합협의회) 김영칠 회장은 1986년 ㈜대유 영업부 입사를 시작으로 농업분야에 첫 발을 들였다. 이후 10년간의 직장생활을 마무리하고 1995년 경남 양산시에 물금농약사를 설립했다. 이와 함께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이하 유통협회) 지회장을 거쳐 부산·울산지부 사무국장과 지부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특히 2016년 부산울산경남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부울경작물보호제 판매조합) 이사장에 당선되어 현재까지 연임 중이다. 김영칠 회장이 대표로 있는 물금농약사가 위치한 양산시는 도농복합도시로 다양한 농산물 재배는 물론 도시농업인 텃밭과 주말농장이 발달해 전체 매출의 80% 이상을 도시민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맞춰 농산물 종자와 모종, 농약, 영양제는 기본이고 꽃씨와 꽃모종은 물론 소규모 도시농업을 위한 다양한 농자재를 구비 해 판매함으로써 도시농업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수요자 중심의 판매혁신 이뤄야… 김영칠 회장은 “농업은 단순히 먹거리 생산을 담당하는 1차산업이 아닌 국가안보와 국민의 영양, 건강은 물론 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