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12 (화)

  • 흐림동두천 8.3℃
  • 흐림강릉 6.9℃
  • 흐림서울 7.8℃
  • 흐림대전 8.2℃
  • 대구 9.9℃
  • 구름많음울산 10.2℃
  • 흐림광주 7.5℃
  • 흐림부산 13.2℃
  • 구름많음고창 7.0℃
  • 흐림제주 11.9℃
  • 구름많음강화 8.9℃
  • 구름많음보은 8.9℃
  • 구름많음금산 9.0℃
  • 흐림강진군 8.5℃
  • 흐림경주시 9.2℃
  • 구름많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나쁜 미생물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착한 미생물을 살려 토양지력 높여

아주 작은 미생물들의 계획으로 바뀐 지구의 운명

      
급기야는 40℃가 넘는 폭염에 온 나라가 아주 난리가 났다. 그런데 우리나라만 그런 것이 아니라 지구촌 곳곳에서 고온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그동안 경제논리에 밀려왔던 지구환경의 반격인 듯 한 느낌이 지 워지지 않는 때이다. 만물의 영장인 인간의 지식과 눈부신 문명의 발달도 자연의 거센 반격에는 속수무 책으로 당하기만 하는 무능함을 깨닫고 자연과의 공존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때이다.


아주 작은 미생물이 가져다 준 인류의 큰 변화

미생물도 자연의 하나 부분인데 못 된 미생물 한번 잘 못 만나면 혹독한 고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역사를 통 해 알 수 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미생물들에 의해서 만물의 영장인 우리 사람들의 역사가 바뀌어 온 것에 보면 말이다. 흑사병(페스트)을 일으킨 세균에 의해 유럽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는 바람에 토지와 식량의 여분이 생기고 먹고사는 걱정이 없어지자 인생의 낭만과 철학 그리고 예술 을 이야기를 하다 15세기 유럽의 르네상스가 일어난 것도 바로 여시니아 페스티스 (yersinia pestis)라는 세균에 의한 것이다. 또한 1840년대 아일랜드 사람들의 주식인 감자에 역병(phytophthora infestans)이 들불처럼 번져서 수년째 수확을 못하게 되자 어차피 굶어 죽을 것은 불 보듯 뻔 한데 여기서 죽으나 미지의 신대륙에 가서 죽으나 마찬가지라는 생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기근을 피해 신대륙 아메리카로 넘 어가 지금의 미국의 선조가 된 것이 아닌가? 미생물학자인 체임 바이츠만이 세균인 Clostridium acetobutylicum으로 폭탄을 만드는데 필요한 아세톤을 대량생산하지 않았더라면 1차 세계대전에서 영국이 과 연 승전국이 될 수 있었을까? 독일을 물리치고 영국을 승전국으로 만들어 준 유태인이었던 체임 바이츠만의 간청으로 중동의 팔레스타인 민족을 몰아내고 이스라엘 을 건국하게 해준 것도 어떻게 보면 미생물의 주도면밀한 계획 가운데 일어난 것일 지도 모른다.


식물병으로 인해 농작물 생산량의 36.5%가 감소

이렇게 미생물에 의해서 우리 인류의 역사 흐름이 크게 바뀌어져 왔다는 것은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도 우리의 삶 가운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고 있다. 몇 해 전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로 인하여 우리 대한민국이 격었던 혼란과 해외 관광객이 발길을 끊는 바람에 입은 경제적 피해, 국민들의 불안 등 메르스 바이러스가 우리에게 주었던 영향은 말로 헤아릴 수 가 없을 것이다. 통계 자료에 의하면 식물병으로 인해 농작물 생산량의 36.5%가 감소된다는 결과가 있는 것을 보면 우리 농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래서 식물병충해를 억제하고 죽여 버리기 위해 효과 있는 농약을 연구 개발하여 농민에게 보급하고 있다. 수없이 많은 살충제와 살균제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렇게 화학적 합성 농약을 작물에 살포하고 토양에 주기적으로 투입해 주는데 식물병원균들은 퇴치가 되지 않고 오히려 더 극성을 부리는 것은 바로 토양의 지력이 현저하게 떨어진 것에 기인한다.


병원균을 차단하면 병에 걸리지 않는 걸까?

우리 사람도 면역력이 떨어지면 병이 오는 것처럼 토양이나 식물도 똑같다. 토양의 면역력인 지력(地力) 즉, 땅심이 떨어지면 병이 오는 것이다. 같은 사무실에 근무 하던 동료 하나가 감기에 걸렸는데 동료 중 일부는 감 기에 옮고 일부는 옮지 않는다.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노출되었지만 모두가 감기에 걸리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그동안 상식적으로 병원균을 차단하면 병에 안 걸린다고 생각을 해왔다. 그래서 열심히 소독하고 손에 묻은 병원균을 제거 하려고 청결제 등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그렇게 열심히 병원균을 차단했어도 병에 걸리는 것은 어떻게 설 명을 해야 하나?


토양 미생물들의 협조와 견제 중요 

균형이 깨지면 토양에 병 발생하는 것

토양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있어 어떤 미생물들은 만나기만 하면 싸우는 녀석들이 있는가 하면 어떤 녀석 들은 서로 도와주면서 살아간다. 이렇게 토양 미생물들이 협조와 견제가 잘 이루어져 균형을 이루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균형이 깨지게 되면 일부 미생물들이 우점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 는 토양들에 병이 발생한다. 실제 토양에 세균이나 곰팡이 할 것 없이 다양한 미생 물들이 존재하고 있는 토양은 병이 덜 오거나 병이 오더라도 그냥 스쳐지나가는 것을 수없이 봐왔다. 그러 나 병을 달고 사는 토양은 미생물상이 편협하다. 아무 래도 흙속에 농약이나 화학비료가 자주 많이 들어가면 토양에 있는 미생물들의 균형을 깨뜨릴 수밖에 없다. 그렇게 해서 토양의 균형이 깨지고 땅심이 떨어지면 일부 미생물들이 우점을 하게 되는데 만약 운이 없게 도 그 미생물이 병원균이면 그 밭에는 병이 발생을 하는 것이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