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마늘, 양파, 벼 등 많은 종류의 경제작물에 피해 주는 ‘줄기구근선충’Ⅰ

건조상태에서 15개월 이상까지 생존, 번식 최적 온도는 28~30℃

줄기구근선충은 식물의 줄기나 구근에 기생하여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고 때로는 썩게 하는 등 다양한 피해를 주고 있다. 마늘, 양파, 감자, 인삼, 땅콩, 버섯, 딸기, 완두, 귀리, 꽃잔디, 천궁, 지황, 아이리스, 튤립뿐만 아니라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마다카스타르 등의 벼 재배지에서는 벼우프라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선충이다. 이번 호에는 줄기구근선충의 기본과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마늘줄기선충과 감자썩이선충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줄기구근선충은 어떤 선충인가?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0.7에서 1.8 밀리미터 크기의 이동성 외부기생선충이다. 줄기, 구근, 괴경에 내부 기생하기도 한다. 약 70 여종이 보고되어 있다. 많은 종이 곰팡이를 먹고 살지만 몇몇 종은 매우 중요한 식물기생선충이다. 식물의 뿌리, 줄기, 구근, 괴경에 기생하여 피해를 준다. 중요도는 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 마늘, 양파, 땅콩, 감자, 버섯, 튤립, 벼 등 많은 종류의 경제작물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정기자 줄기구근선충이 벼 재배에서도 문제가 된다고 하니 흥미롭다. 어떤 선충인가?
추박사 0.7-1.25 밀리미터 크기의 벼줄기선충(Ditylenchus angustus)이다. 벼에서 우프라병을 유발한다. 벼우프라병은 방글라데쉬, 미얀마,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마다카스카르 등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일부 아프리카의 벼 재배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건조상태에서 15개월 이상까지 생존하고 번식 최적 온도는 28-30℃이다.


정기자 벼우프라병은 무엇인가?
추박사 벼줄기선충의 가해로 나타나는 병이다. 동남아시아 지역을 여행하다 보면 무논에서 벼를 재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벼줄기선충이 유발하는 벼우프라병은 우기 동안 무논에 재배하고 있는 벼의 잎, 엽초, 눈, 화서 등의 안쪽 표면에 외부 기생하여 병을 일으킨다. 벼줄기선충이 가해하면 벼는 왜화되고 시든다. 잎은 황화되고 잎이나 엽초에 황색 또는 연한 초록색 물튀김 패턴이 나타난다. 잎에 갈색 반점이 나타나고 잎끝은 주름진다. 엽초와 마지막 엽변은 찌그러지고 곱슬곱슬해진다. 화경은 말리고 뒤틀어진다. 줄기는 윗부분이 팽창하여 방추형이 되고 일찍 감염된 벼에서는 이삭 출현에 실패한다. 이와 같은 증상이 벼우프라병의 총체적인 병징이다.


정기자 벼줄기선충의 생태와 생활사는 어떠한가?
추박사 성충, 유충, 알 등 선충의 모든 발육단계가 벼우프라병의 전 단계에서 발견된다. 벼 이식 후 2, 3일 후면 벼 눈의 끝부분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벼의 생장과 함께 발견되고 새로 형성된 조직에 외부 기생하여 바깥 부분에서 기어오른다. 벼의 꽃이 피고 출수하는 동안에는 주로 줄기의 연한 부분, 엽초, 잎자루, 수정되지 않은 뒤틀린 낱알, 기형화된 화경에서 발견된다. 벼를 수확한 후는 벼의 마른 영포나 그루터기에 사리를 튼 상태로 휴면한다. 관개와 강우로 이 논에서 저 논으로 전파된다. 벼 수확 후 그루터기의 새로 나온 싹, 부스러기, 감염 토양이 선충의 주요 감염원이 된다.


정기자 우리나라에도 벼에서 발견되는 줄기선충이 있는가?
추박사 다행하게도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벼우프라병을 유발하는 벼줄기선충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긴꼬리줄기선충(D. longicauda)이 벼뿌리선충(Hirschmanniella imamuri), 애벼뿌리선충(H. imamuri), 왕벼씨스트선충(Heterodera oryzae), 벼씨스트선충(H. elachista),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등과 함께 우리나라 여러 지역의 무논과 밭에 재배하는 벼에서 발견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우리나라도 아열대에 분포하는 동식물이 유입되기 시작한지 오래다. 따라서 벼줄기선충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관련 제품의 검역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정기자 줄기구근선충의 생활사는 어떻게 되나?
추박사 알, 1-4령충, 성충의 발육기를 가진다. 마늘줄기선충의 경우 한 세대를 완성하는데 15℃에서 19-23일 정도가 걸린다. 암컷은 200-500개의 알을 산란한다. 
전성충(4령충)이 자연 상태에서의 생존 단계로 잠재활력(히든 라이프) 상태로 들어가 식물의 조직, 잎, 줄기, 화관, 종자, 토양에 생활한다. 기주가 없어도 2년까지 생존한다.


정기자 우리나라에 기록된 줄기구근선충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
추박사 현재 우리나라에는 시금치뿌리선충(D. anchilisposomus), 지황줄기선충(D. citri), 감자썩이선충(D. destructor), 마늘줄기선충(D. dipsaci), 맥문동줄기선충(D. equalis), 서어나무선충(D. leptosoma), 긴꼬리선충(D. longicauda)이 있다. 그 중 감자썩이선충과 마늘줄기선충이 농업상 중요한 줄기구근선충이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