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4 (금)

  • 구름많음동두천 31.1℃
  • 구름많음강릉 26.9℃
  • 구름많음서울 32.6℃
  • 구름많음대전 31.3℃
  • 구름많음대구 33.6℃
  • 구름조금울산 28.8℃
  • 구름많음광주 32.3℃
  • 구름많음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31.0℃
  • 구름많음제주 30.9℃
  • 구름많음강화 26.1℃
  • 구름많음보은 30.8℃
  • 구름많음금산 31.1℃
  • 구름많음강진군 29.8℃
  • 구름많음경주시 33.3℃
  • 구름많음거제 28.7℃
기상청 제공

알기 쉬운 곤충기생선충 일문일답 Ⅷ

나방에 기생하는 선충 ‘나방기생선충’ ④
짚시나방선충, 불나방 애벌레에서도 발견
홋카이도에서 최대 84%의 기생율 기록

지난 호에 이어 해충인 나방류에 기생하는 주요 곤충기생선충에 대하여 알아보자.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탈출한 선충은 어떻게 되나?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땅속으로 탈출한 선충은 10~30 센티미터까지 내려가 똬리를 틀고 암수로 성숙한다. 
온도와 토성에 따라 차이가 있고 표층 가까이 있는 선충도 있다. 성숙은 3주에서 2개월 정도 걸린다. 수컷은 암컷을 찾아 헤매고 이동한다. 교미는 암수가 몸을 단단하게 밀착해서 한다. 
교미 후 20~40일에 알을 낳기 시작하여 하루 10~20개 정도 산란한다. 8개월에 1000~2000개의 알덩어리가 된다. 계속해서 알을 낳기 위해서는 교미를 계속해야 한다. 수컷은 봄에 죽고 대부분의 암컷은 늦은 여름에 죽는다. 수정하지 못한 암컷은 알을 낳지 못하며 4년까지 생존할 수 있다. 3개월 후 섭씨 16-18도가 되면 부화한다. 한 달이면 알 속에서 탈피하고 침임태가 된다.     

 

정기자 동종이명이 무엇인가?
추박사 같은 종이면서 이름이 다른 것을 동종이명이라 한다. 반면에 이름은 같지만 종이 다른 것은 이종동명이라 한다. 

 

정기자 짚시나방선충이 기생하는 나비목 곤충 종류는 어느 정도 되나?
추박사 불나방, 굴벌레나방, 자나방, 박쥐나방, 솔나방, 독나방, 밤나방, 재주나방, 네발나비, 흰나비, 명나방, 뱀눈나비, 박각시, 잎말이나방, 집나방, 알락나방, 애기나방, 뿔나방, 팔랑나비, 호랑나비, 창나방 등 거의 모든 종류의 나비목 곤충에 기생한다.

 

 

정기자 농생태계에서 짚시나방선충의 기생 정도는 어떻게 되나?
추박사 간단한 예를 들면, 일본 홋카이도에 자연 발생한 짚시나방을 채집해 와 사육한 결과, 최대 84%의 기생율을 기록하였다. 100마리를 다시 채집한 짚시나방에서는 무려 686마리의 선충이 나왔을 정도로 기생이 높은 편이었다. 
우기에 기생율이 높았고 같은 산림 내의 참나무독나방이나 우단박가시, 불나방의 애벌레에서도 발견되었다. 
미국 뉴저지주에서 버지니아주까지 발생한 짚시나방의 선충 기생율은 60% 정도였고 마호가니순나방의 기생율은 25%나 되었다. 인도에서도 짚시나방의 선충 기생율은 강우와 깊은 연관이 있었고 앞붉은흰불나방의 선충 기생율은 6.5%에서 28.5%였다. 한편, 이화명충에서도 76%의 높은 선충 기생율이 기록된다. 우기에 선충의 기생율이 높은 것은 선충의 활동이 쉽기 때문이다. 

 

정기자 우리나라에서 헥사머어미스의 기생은 어떻게 되나?
추박사 헥사머어미스 선충에 대해 깊히 연구된 것은 없다. 단편적인 기록만 있다. 즉,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수출한 배추에서 육안으로도 확인이 되는 하얀 벌레(헥사머어미스 선충)가 배추 포기마다 많이도 발견되어 클레임이 걸린 적이 있다. 
수출업자가 나에게로 가져와 확인한 결과 배추를 가해하던 배추흰나비, 도둑나방 등의 애벌레에 기생하던 짚시나방선충이었다. 그리하여 배추의 수출을 순조롭게 해결해 준 적이 있다. 
본 선충은 불쾌감은 주지만 인축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배추를 충분하게 씻으면 이 문제도 깨끗이 해결된다. 그 외에 수시로 여러 해충에서 발견은 되었지만 논문화하지는 않았다. 

 

정기자 헥사머어미스를 제외한 나비목 곤충에 기생하는 중요한 선충은 무엇인가?
추박사 곤충병원성 선충이 있다. 그러나 이들 선충은 다루어야 할 내용이 워낙 많아 따로 체계적으로 다루는 게 좋겠다. 그리고 머어미씨드 선충으로 이화명충, 보공나방 등에서 기록되는 앰피머어미스와 담배나방, 담배거세미나방, 왕담배나방 등에서 높은 기생율을 보이는 오보머어미스도 중요한 선충이다.

 

정기자 앰피머어미스의 일생은 어떠한가?
추박사 짚시나방선충의 일생과 비슷하다. 이화명나방선충(앰피머어미스 주이무시)은 기주곤충인 이화명나방의 가해 장소가 벼 논이기 때문에 양성 추광성, 주류성, 주온성 등이 있다. 
논 표면에 출현하여 관개수를 따라 헤엄치며 벼 포기에 있는 이화명충의 침입 구멍을 통하여 기주에 다다르고 침입한다. 침입과 생활사 완성은 헥사머어미스와 같다. 재미있는 것은 보공나방선충이다. 
호주에 사는 보공나방은 산 동굴 벽에 무리를 짓고 여름을 보낸다. 그리고 보공나방선충의 침입태 유충은 동굴 바닥에 있는 웅덩이에서 발육하고 동굴 벽에 응축된 페로몬에 유인되어 벽을 타고 기어 올라가 기주에 도달한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