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9 (수)

  • 맑음동두천 7.8℃
  • 맑음강릉 7.5℃
  • 맑음서울 7.2℃
  • 구름조금대전 7.8℃
  • 맑음대구 9.6℃
  • 구름많음울산 7.8℃
  • 맑음광주 7.4℃
  • 맑음부산 8.6℃
  • 맑음고창 6.0℃
  • 구름조금제주 8.5℃
  • 맑음강화 4.8℃
  • 구름조금보은 6.5℃
  • 구름조금금산 6.4℃
  • 맑음강진군 8.2℃
  • 구름많음경주시 9.3℃
  • 맑음거제 8.4℃
기상청 제공

‘깊이거름주기’ 탄소중립·농가 소득 모두 잡는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 19일 충남 공주 깊이거름주기 장치 시연회 참석
기술 시범 보급 현황 점검, 현장 의견 들어
“깊이거름주기는 농가에서 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적정 기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보급 확대 속도 높일 것”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3월 19일 충남 공주에 있는 현장 실증연구 논 시험 재배지에서 ‘깊이거름주기 장치 시연회’를 개최하고, 농가 시범 보급 현황을 점검했다.

 

 

충남 공주는 신기술 시범 사업으로 조성한 밭작물 유해 물질 발생 저감 실천 시범단지 9개소 중 1곳이다.

 

이날 현장을 찾은 권재한 청장은 농가에서 깊이거름주기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개발한 장치 시연회를 지켜본 후 깊이거름주기 기술 시범 보급 현황을 보고받았다. 이어 농업인, 지방 농촌진흥기관 관계자 등과 기술의 효과, 개선 사항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권 청장은 “깊이거름주기는 농가에서 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손쉬운 저탄소 농업기술이다.”라며 초미세먼지 발생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비료 효율을 높이는 깊이거름주기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또한, “올해부터 신기술 시범 사업으로 깊이거름주기 기술을 24개 시군 마늘‧양파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현장에서 쉽게 쓸 수 있는 기술을 개발, 보급해 농업 분야 탄소중립 실현,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깊이거름주기는 토양을 25~30cm 깊이로 파 비료를 투입하는 기술이다. 깊이거름주기 장치는 70마력 트랙터에 장착해 사용할 수 있다. 쟁기 작업과 동시에 밑거름으로 사용하는 비료를 토양에 투입한다.

 

이렇게 하면, 질소비료가 공기와 접촉해 생성하는 암모니아 기체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암모니아는 공기 중 다른 오염물질과 결합해 초미세먼지를 만든다. 아울러 질소비료의 효율을 높여 질소비료 사용량 증가에 따른 온실가스(아산화질소) 발생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지난해 현장 실증 결과, 흙갈이 후 흙에 비료를 섞어주던 기존 방식보다 양분 흡수율이 높아져 양파는 52%, 마늘은 32% 생산량이 늘었다. 또한, 밀, 양파, 풀사료 옥수수를 재배할 때 웃거름을 생략해 질소비료 사용량을 22~25% 줄일 수 있었다.

 

농촌진흥청은 기술 적용 작물을 올해 5개 작물에서 2027년 9개 작물까지 확대하고 신기술 시범 보급도 늘려나갈 계획이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