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기록하고 있는 딱정벌레목 해충에도 많은 종류의 선충이 기생하고 있다. 지난호에 이어 중요한 산림해충인 나무좀 기생선충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정남준 기자(이하 정기자) 나무좀 기생선충도 과기생과 다기생을 하나?
추호렬 박사(이하 추박사) 나무좀 기생선충의 과기생과 다기생은 일반적이다. 하나의 기주에서 수많은 암컷과 유충이 발견된다.
가시나무좀 성충 한 마리에서 발견된 가시나무좀선충은 암컷만 무려 83마리나 되었고 소나무뿔나무좀에서는 97마리의 소나무뿔나무좀선충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나무좀 한 마리당 수십에서 수천 마리의 선충이 기생하고 있을 정도로 과기생은 일반적이다. 그리고 다기생의 예는 가문비나무좀을 비롯한 여러 나무좀에서 나타난다. 가문비나무좀의 예를 들면 가시나무좀선충과 가문비나무좀선충이 함께 발견되기도 하고 가시나무좀선충, 어리둥근선충, 파라막대선충이 함께 기생하기도 한다.
본인이 연구하였던 폰데로사나무좀에서도 가시나무좀선충과 어리둥근선충이 함께 발견되었고 소나무가시나무좀에서는 가시나무좀선충, 나무좀선충, 어리둥근선충이 함께 발견되었다. 그리고 폰데로사소나무좀에서 발견된 여러 선충 중 피니언가시나무좀선충이 9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정기자 나무좀에 기생하는 선충들은 나무좀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추박사 선충은 나무좀을 곧바로 죽이지는 않고 직·간접으로 생리, 생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대략 다음과 같은 영향이 있다.
첫째(나무좀의 치사), 서울나무좀아과에 기생하는 전나무좀선충은 전나무좀 알의 8%, 유충의 2-4%를 직접 침입하여 죽였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기생을 당하더라도 많은 유충이 생존한다.
둘째(나무좀의 가해 능력 감소와 치사), 선충이 기생한 암컷 나무좀이 만든 갱도는 짧거나 비정상적이고 갱도를 만든 후는 치사한다. 나무좀의 치사는 몸 안에 생산된 많은 수의 선충에 의하여 일어난다.
셋째(우화의 지연), 기생 당한 나무좀은 우화가 늦어진다.
넷째(수명 감소), 나무좀 암컷과 수컷의 수명은 선충의 기생으로 감소한다.
다섯째(나무좀의 비상력 감소), 선충은 나무좀의 비상 근육을 파괴하여 나무좀의 비상력을 떨어트린다. 선충의 기생수를 기준으로 경기생(1-500마리 유충 혹은 1마리 성충), 중기생(500-1,500마리 유충 혹은 2-3마리 성충), 심기생(1,500-3,000마리 유충 혹은 4-5마리 성충), 극심기생(3,000마리 이상의 유충 혹은 6마리 이상의 성충)으로 나눈 후 비상 트랩을 이용하여 전나무좀을 유인 조사한 결과, 심기생 그룹의 나무좀은 단 한 마리도 트랩에서 채집되지 않았다. 나무좀의 비상 근육은 선충의 기생으로 미토콘드리아가 방향성을 잃고 수는 감소한다. 어떤 경우는 막도 파괴된다.
여섯째(생산력 감소), 선충은 나무좀의 생식계와 지방체에 영향을 미친다. 선충은 나무좀을 불임시키고 후대 생산을 감소시킨다. 생식소는 감소하고 산란수는 떨어진다. 많은 수가 기생하면 전혀 알을 생산하지 못한다. 또한 선충의 기생은 나무좀의 발육 중인 난모세포의 수를 감소시킨다. 세포질은 분해되고 난모세포는 분리된다. 선충이 심하게 기생한 나무좀 수컷은 정소 주변의 상피초가 붕괴되고 정소의 크기도 작아진다. 지방체에는 액포가 없고 크기가 줄어든다.
일곱째(기관의 파괴), 선충의 기생은 나무좀의 앞창자와 뒤창자의 상피세포와 근육층을 크게 감소시켜 가운데 창자의 근육 섬유는 끊어지고 분해된다. 창자 세포의 세포질은 줄어들고 액포가 된다. 이들 세포의 융모는 없어진다.
마지막으로 여덟째, 단백질 감소와 먹이 부족을 유발한다. 아홉째, 선충이 기생한 나무좀은 촉각과 다리의 움직임이 둔해지고 떠는 등 비정상적이다.
정기자 나무좀의 방제를 위한 기생선충의 활용성은 어느 정도인가?
추박사 산림 생태계에서 기생선충은 나무좀의 개체군을 자연 억제하고 피해를 경감시킨다. 그러나 나무좀의 방제를 위한 인위적 활용은 쉽지 않다. 생체 배양이나 생체 외 배양이 어려워 대량 확보가 어렵고 처리하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나무좀이 발생하지 않도록 숲을 건강하게 가꾸는 것이 바람직한 예방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