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1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작물보호제

[안전농산물 GAP가 답이다]소비자 식품 불안 원인을 알자

소비 계층에 따른 GAP 맞춤 홍보해야

현대를 살아가면서 먹을 것을 자급자족하는 경우는 드물다. 내가 농사를 짓지 않는 한 우리는 식품회사, 농부, 마트 등을 통해 공급되는 식품을 사먹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다. 상황이 이러하다 보니 내 입으로 들어가는 먹거리에 대한 안전성이 남의 손에 달려있게 된다. 내가 의도하지 않음에도 첨가되는 수많은 화학물질, 이물질, 병원균들에 속수무책으로 노출돼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세계의 정부들은 다양한 안전 관련 인증제도를 만들어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유기농, 무농약, 저농약, 전통식품 인증, GAP 등 다양한 인증제도가 있다. 하지만 처음부터 이 같은 제도들이 시행돼 온 것은 아니다.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은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 소비자들은 뉴스에 식품과 관련된 이슈가 나오면 발작적이라고 표현될 만큼 격하게 반응한다. 소비자들은 왜 이 같이 반응하게 된 것일까?
조윤미 녹색소비자연대 공동대표는 “소비자들이 식품 이슈에 대해 처음부터 이렇게 반응했던 것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조 대표는 “국가가 산업화, 근대화를 거치면서 공장을 통해 생산된 식품들, 화학의 발전으로 얻게 된 농약을 사용한 농산물 등을 이전에는 접하지 못했지만 어느 시점을 지나면서 이들에게 노출되는 것이 일상이 됐다”면서 “뉴스에 식품 이슈가 터져 나왔을 때 문제된 물질이 무엇인지 전혀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소비자들에게 막연한 두려움을 집단적으로 안겨주게 됐다”고 설명했다. 어떤 마음의 준비 없이 알 수 없는 물질의 위험성이 폭로되면서 소비자들이 집단 패닉상태에 빠지게 된 것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이 같은 반응은 연일 터져 나오는 식품관련 이슈로 인해 감도가 높아져 작은 사고에도 크게 놀라는 상태가 됐다. 소비자들의 반응이 이 같은 데에는 히스토리가 있었던 것이다.


90년대 농약 관련 식품 이슈 많아
우리나라에서 식품관련 이슈는 199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사고의 양상과 후속조치 방식에 큰 변화를 겪게 됐다. 롱가리트사건(1966), 화학간장, 화학조미료논쟁(1985), 우지파동(1989), 고름우유사건(1995), 산분해간장 MCPD사건(1996) 등이 사회적 논쟁을 불러일으키게 됐다. <표 1>



특히 90년대는 농약과 관련된 식품 이슈가 많았다. 1989년 수입자몽알라파동, 1992년 수입밀 농약오염, 1990년 콩나물 농약오염, 1994 톨루엔 오염사건 등 농약과 관련된 식품 이슈가 지속적으로 나왔다. 소비자들이 농약하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이유가 여기 있었던 것이다.


대부분 1990년대 중반까지 식품사고는 공정관리의 미숙이나 규제기준의 미비가 주요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규제의 설정이나 분석법의 확립, 업체에 대한 철저한 관리 등 후속조치가 이뤄졌다.


1996년부터 2005년까지는 식품 이슈에 대한 성숙단계로 표현된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나 조류독감, 광우병 등 글로벌 식품안전 이슈가 이 시기에 대두됐다. 이 같은 사건들은 식품에 의해 사망에 이르게 될 수 있다는 충격을 안겨줬다. 특히 이 시기에는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사전정보 없이 글로벌 이슈에 직면하게 되면서 소비자혼란이 급격하게 증가했다.<표 2>


2004년 불량 만두사건이 대대적으로 이슈가 되면서 원료의 건강성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불량 만두사건은 일명 ‘쓰레기만두’ 사건으로 유명하다. 단무지 공장에서 생긴 단무지 조각들을 잘 세척해 이를 만두소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단무지 조각들을 깨끗하게 보관하지 않은 것이 문제였다. 즉 단무지 조각들을 만두소로 사용하는 일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 일이었던 것이다.


사전 정보없이 글로벌 식품이슈에 노출
하지만 이 문제에 대해 언론이 ‘쓰레기만두’로 자극적으로 보도하면서 문제가 커졌고 문제의 발단이 된 단무지 공장보다는 만두공장을 운영하던 대표가 자살을 하면서 사건이 극으로 치달은 경우이다. 이로 인해 표현과 관련해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같은 사실도 어떤 방식으로 표현하는가가 정반대의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2005년 이후부터 최근까지는 트랜스지방과 같이 원료의 건강성과 표시제도에 대한 이슈들이 주를 이뤘다.<표 3> 멜라민 사건, 이물질사건과 같이 식품유통과정의 질적 관리수준을 높이게 되는 계기가 된 일들이 발생했다. 특히 식품안전관련 이슈를 제기하는 주체가 다양화 됐다. 언론, 국회, 소비자단체, 심지어 개인들까지 안전 문제의 이슈를 제기하는 사회가 된 것이다. 주요 식품관련 소비자불만 유형을 살펴보면 2009년에는 안전위생이 5611건으로 가장 많았다. 안전위생 관련 상담에서는 이물질이 가장 많은 건수를 차지하고 있다. 2009년 60.8%, 2010년 46.7%, 2011년 44.3%이다.


이와 함께 안전위생 관련 중 이상증세를 호소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2009년 9.8%, 2010년 22.6%, 2011년 24.6%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다양한 식품 관련 이슈들을 겪어오면서 오늘에 이르게 됐다. 이 같은 히스토리를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식품 관련 제도와 홍보 방법, 식품 관련 회사들의 대응법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이 같은 관점에서 GAP(농산물우수관리인증)제도는 최소한의 농산물 안전성을 확보해주는 제도가 되고 있다. 여러 번 다뤘듯이 GAP는 농산물의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 요소를 중점 관리하는 제도인 것이다. 하지만 GAP 제도가 가장 문제인 것은 홍보가 부족하다는 데 있다.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비율이 친환경 제도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다. 소비자들이 GAP에 대해 올바로 알고 있고 인식하고 있어야 GAP 농산물을 찾게 될 것이다.


GAP, 최소안의 안전 담보하는 제도
특히 GAP를 소비자들에게 가깝게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단체 등을 활용한 교육 및 캠페인, 매체 홍보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소비자단체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아래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 한국소비자연맹, 소비자시민모임, YMCA전국연맹, 대한YMCA전국연맹, 대한YWCA연합회, 전국주부교실연합회, 주부클럽중앙회, 한국소비자교육원, 한국소비생활연구원, 한국부인회 등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각각 철학과 역사를 달리하고는 있으나 소비자들과 만나 이들과 소통하는 창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특히 소비자단체들은 초등학교 교육 등 다양한 체널들을 통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제도 홍보에도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교육을 받으러 자리에 앉아 있는 사람은 이미 설명에 귀 기울일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제도 홍보에 가장 적합하다.


좋은 제도가 탄생하기까지는 다양한 전문가들의 합의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그 제도가 올바로 정착하고 쓰이기 위해서는 이 제도를 일반 소비자들이 아는 것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심미진 gaiaone@newsam.co.kr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