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올겨울 짧고 강한 한파에, 서쪽을 중심으로 큰 눈이 예보돼 있다며, 마늘·양파 재배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마늘과 양파는 급격한 기온 하강이 반복되고 장기간 날이 건조하면 토양 온도 하강, 수분 불균형, 뿌리 들림, 서리·젖은 눈(습설)으로 조직 손상과 병 발생 위험이 커진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 마늘 파종이 5~14일 정도 늦어져 생육 상태에 따른 세밀한 관리가 필요하다.
![]() |
▲양파 아주심기 시기별 서릿발 피해 식물체 비율
따라서 ▲겨울나기 전 병해충 예방 ▲보온(피복) ▲수분 공급(예비 관수) ▲물길(배수로) 정비 ▲겨울나기 후 병해충 예방 순서로 관리 체계를 갖춰야 한다.
양파 이어짓기 재배지에서는 노균병 발생률이 높고, 1차 노균병은 겨울나기 전 감염되므로 미리 노균병 방제약을 뿌려 준다.
전라남북도, 제주의 양파 재배지에서는 서릿발 피해가 발생한 곳에 바로 식물체를 옮겨심기보다, 2월 중순쯤 언 땅이 녹은 후 새 모종을 심는 것이 수량 확보에 도움이 된다.
양파 논 재배는 물 빠짐이 나쁘면 습기 피해 우려가 있으므로 땅이 얼기 전, 미리 물길을 정비한다. 반대로 가뭄이 지속되거나 강풍이 불 때는 지상부가 말라 죽지 않도록 따뜻한 날을 골라 물을 공급한다.
마늘, 양파가 언 피해를 보는 온도는 영하 7~영하 9도(℃) 정도이므로, 중북부 지역에서는 반드시 피복재 덮기 등 월동 준비를 해야 한다.
마늘은 파종이 늦어진 농가가 많으므로 온도 하강 시점에 뿌리내림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 안정적인 뿌리 내림과 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알맞은 두께의 부직포, 비닐(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방풍, 보온을 한다.
피복만큼 피복 자재 걷기도 중요하다. 피복재를 늦게 걷으면 생리장해나 병해충 피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기상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비닐을 일찍 걷으면 언 피해(동해)를 볼 수 있으므로 비닐은 최저 온도가 영하 7~8도(℃)를 벗어날 때 걷도록 한다. 비닐을 걷은 후에라도 한파가 예보되면 즉시 피복재를 덮어준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문지혜 파속채소연구센터장은 “마늘, 양파 주산지별 파종, 아주심기 현황과 생육 상황을 점검하고 한파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기술지원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최근 겨울 기후는 평균 온도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단기 급변형 추위가 반복되고 있으므로 농가에서는 단계별 대응에 힘써 달라.”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