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인물포커스

“농약, 식물의약품으로 개념 정립이 적절해”

약품에 긍정·부정 있을 수 없어…치료가 목적

 
김승환 농림수산식품부 안전위생과장은 의약품과 동물의약품이 사람과 동물을 대상으로 한다면 농약은 식물을 대상으로 할 뿐 서로 다른 개념이 아니라고 말했다. 사람, 동물, 식물이 먹는 약품에 긍정·부정이라는 개념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같은 약품인데 유독 식물에 사용하는 농약만 독극물 취급하는 것은 잘못된 시각입니다. 병든 동물을 섭취하지 않는 것처럼 식물도 세균 등에 감염돼 있으면 치료해서 먹는 것이 당연합니다.”

식물이 식중독균 등에 감염돼 있으면 치료해서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이롭다는 것이 김 과장의 지론이다. 치료하지 않은 농산물이 안전에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김 과장은 이에 따라 농약을 식물의약품으로 개념을 정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현재 농약은 작물, 농산물에만 국한해 사용하는 개념으로 오인되고 있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한다.

“산림용, 가로수용도로도 이미 농약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농약 제조·생산 업계 및 판매 업계가 식물이라는 큰 범위에 대한 책임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시기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식물의약품이라는 개념이 하루 빨리 정착돼야 합니다.”

‘보호’보다는 ‘치료’가 개념 명확
김 과장은 ‘작물보호제’, ‘방제’라는 용어도 수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호’라는 개념에는 병이 들지 않도록 돌보는 것 뿐만 아니라 작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영양을 주거나 비닐 등을 씌워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서 작물을 보호하는 의미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농약은 ‘보호’라는 명칭보다는 ‘치료’라는 용어가 개념을 정확하게 표현한다고 강조했다. 가능하다면 ‘작물보호협회’도 ‘식물약품협회’ 등으로 명칭 변경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농약의 안전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네이밍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농약의 독성 구분이 맹독성, 고독성, 보통독성 등으로 구분되는 이름부터가 잘못된 것 같습니다. 독성을 1급, 2급 등으로 구분했다면 지금과 같이 농약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김승환 과장은 - 1956년생으로 건국대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농식품부 경영인력과장, 지도안전과장, 농어촌사회과장 등을 역임했다.
김 과장은 또 “농자재산업은 농업의 전방산업이라는 개념으로 다시 인식하고 전방산업을 발전시켜야 농업이 발전한다고 봐야 한다”며 “유통·가공 등이 후방산업”이라고 말했다.

그는 “농자재 수준이 농업 수준을 결정하는데 우리나라는 반대로 생각하는 것 같다”고 지적하며 “인프라시스템이 낙후돼 있는데 농업 발전은 불가능한 얘기”라고 지적했다.

“농약이 농산물 생산·품질에 기여해 왔으면서도 죄인 취급을 받아온 게 사실”이라고 말하는 김 과장은 “기여도에 비해 업계 자체의 변신의 노력도 적었던 것이 안타깝다”고 밝혔다. 특히 현재 농약 업계가 대외 환경 변화에 따라 위축되고 있는 만큼 현실에 안주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안주하지 않고 체질 개선 필요
김 과장은 “농약 업계가 안주하지 않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체질 개선이 필요한데 처음부터 개발하려고 생각한다면 이미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에게 뒤처질 수밖에 없다”며 “우리가 필요한 기술의 틀을 찾아 도입하고 거기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빠른 방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과장은 “농약의 명칭, 용어 변경 등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법 개정이 이뤄져야 한다”며 “법이 바뀌기 위해서는 먼저 여론이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고 업계에서 의견들이 모아져 민원 제기가 되면 법 개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도 농약관리법에 교육 강화, 온라인판매 금지, 청소년 판매 금지 등의 법 내용이 정비됐으며, 1월 26일부터 새로운 법안이 시행된 만큼 추가될 개정 수요는 앞으로 파악해 봐야 할 것”이라며 “업계에서 시급히 개정돼야 할 법 내용에 대해 대한 많은 의견을 제시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