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은 제30대 이사장에 김신길 현 이사장이 당선됐다고 밝혔다. 김신길 이사장은 2월 15일(수) 한국농기계글로벌센터에서 열린 ‘제61회 정기총회’에 조합원 634개사 중 408개사가 참석한 가운데, 찬성 407표인 99.8%의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됐다. 이로써 김신길 이사장은 오는 2023년 3월 26일부터 2027년 3월 25일까지 4년간 이사장의 직책을 수행하게 된다. 이날 김신길 이사장은 당선 인사말을 통해 “조합원들의 아낌없는 지지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조합원과 농업기계 산업 발전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본부장 임용(1명) 기술창출팀장 김옥일(전문위원) → 스마트농업본부장 □ 본부장 전보(1명) 디지털농업본부장 정경숙(전문위원) → 기획운영본부장 □ 팀장급 전보(3명) - 치유농업확산팀장 문지은(책임연구원) → ESG전략실장 - 기술평가팀장 김용호(전문위원) → 기술창출팀장 - ESG전략실장 구자헌(책임연구원) → 스마트농업진흥팀장
■ 국장급 전보 ○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부장 농업연구관 김 명 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장)
▣ 고위공무원 ○ 기획조정관 이 상 호 (李 上 昊)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장 이 상 재 (李 相 載) ○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장 조 영 숙 (趙 英 淑) ▣ 과장급 개방형직위 ○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재배환경과장 박 향 미 (朴 香 美) ▣ 과장급 전보 ○ 기획조정관실 기획재정담당관 선 준 규 (宣 俊 圭) ○ 기획조정관실 혁신행정법무담당관 손 영 상 (孫 永 尙) ▣ 도농업기술원 국장 ○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농촌지원국장 원 민 정 (元 玟 貞)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춘진)는 4일 초대 노동이사에 최주환 前 인재육성처장을 임명했다. 노동이사는 근로자 대표 비상임이사로서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참석해 경영 전반에 관한 의결권을 행사하며, 근로자의 경영 참여로 노사 간 소통과 협력을 촉진하고 근로 여건 향상과 복지증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주환 초대 노동이사는 1992년 공사에 입사해 인재육성처장, 재무관리처장, 광주전남지역본부장 등을 역임했으며, 근로자 처우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으로 직원들이 뽑는 ‘함께 일하고 싶은 aT인’, 여성가족부 주관 ‘일·생활 균형 문화 조성 대통령 표창’ 등을 두루 수상하는 등 대내외 신망이 두터운 재원이다. 한편, 공사는 2019년부터 ‘이사회 근로자 참관제’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근로자 경영 참여 확대를 지속 노력해왔다. 이어 지난해 8월 노동이사 임명에 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자, 노사 협의체를 운영하며 노동이사 독립성 보장, 활동 지원 등을 위한 규정과 제도를 정비했다. 특히, 후보자 선발 과정에서는 공개모집, 직원 여론 조사, 특별위 심사 등 민주적이고 공정한 절차를 거치며 직원들의 목소리를 반영했다. 최주환 노동이사는 “근로자를 대표하는 첫
한국구보다는 올해 1월 1일자로 커스터머솔루션사업부 ‘스즈키 츠토무(MR.Tsutomu Suzuki)’ 부사업부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스즈키 츠토무’ 신임 대표이사는 1986년 동경외국어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해 4월 ㈜구보다 농기수출 제2부로 입사해서 트랙터수출부, 전략사업화부, 대형농기사업추진부, 커스터머솔루션사업부 등에서 다양한 경험을 축적했다. 특히 2014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구보다㈜ 대표이사를 맡으면서 한국 시장에 맞는 최첨단 농기계를 도입해 성과를 낸 바 있다. ※ ‘스즈키 츠토무’ 신임 대표이사 이력사항 1986년 3월 동경외국어대학 졸업 1986년 4월 주식회사 구보다 입사, 농기수출 제2부 1988년 4월 트랙터수출부 1991년 9월 Kubota Tractor Corporation 파견 1997년 8월 트랙터수출부 2000년 10월 Kubota Manufacturing of America Corporation 파견 2003년 1월 트랙터수출부 2008년 1월 Kubota Tractor Corporation파견 2011년 1월 Kubota (U.K.) Ltd 파견 2013년 4월 전략사업화부 2014년 3월 대형농기사업추진부 20
◇ 전무 승진 이풍우 기획조정실장(前 커스터머 비즈(Customer Biz) 부문장) ◇ 상무 승진 김상일 엔진사업본부장(前 해외사업지원본부장) ◇ 상무보 승진 이상준 Product개발본부장(前 ) 박지성 현장경영실장(前 비서실장) ◇ 보직 이동 박준식 커스터머 비즈(Customer Biz) 부문장(전무 / 前 GBD본부장) 감병우 미래기술실장(상무 / 前 Product개발부문장) 나영중 AI플랫폼사업부문장(상무 / 前 AI플랫폼추진단장) ◇ 계열사 전보 이진혁 제주대동 부사장(前 대동 전략투자실장) 노재억 대동기어 부사장(前 대동 공장장)
▲ 과장급 전보 농림축산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 축산물위생검역과장 서기관 김상돈 (농림축산검역본부제주지역본부장) 농림축산검역본부 제주지역본부장 서기관 양운식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사장 이병호)는 근로자의 경영 참여와 노사 상생경영의 실현을 위해 노동이사제를 도입하고, 초대 노동이사로 현광수 이사를 임명했다고 1일 밝혔다. 현광수 이사는 1965년생으로 공사에 32년째 근무하고 있으며, 현재 공사 경기지역본부 안성지사에 근무하고 있다. 공사 노동조합 경기지역의장, 비상근부위원장 등으로 활동한 바 있으며, 노동이사로서 임기는 2022년 12월 1일부터 2024년 11월 30일까지 2년이다. 노동이사는 공사에 근무하는 모든 근로자의 의견을 대변하고 노사상생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특히 경영진의 한 주체로서 이사회에 직접 참여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경영에 반영하도록 발언권과 의결권을 행사한다. 공사는 2020년부터 이사회 전 단계 의결기구인 경영위원회에 노동조합 간부가 참석하여 발언권을 행사하도록 하는 ‘경영위원회 노동조합 참관제’를 시행하는 등 근로자의 경영 참여를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으며, 올해 법적 근거 마련에 따라 첫 노동이사를 임명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현광수 신임 노동이사는 “공사의 첫 노동이사로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갖고 근로자와 경영진 간 협력과 상생을 이끌겠다”고 강조하며, “앞으로 공사의 투명경영, 책임경영,
팜한농은 23일 이사회를 열어 신임 CEO에 김무용(金武鎔, 53세) LG화학 프라이머리 케어(Primary Care)사업부장 전무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김무용 전무는 서울대 약학과 석사와 미국 텍사스대 의약화학 박사를 받은 뒤 1993년 LG화학에 입사했다. 이후 2017년에는 생명과학사업본부 바이오담당에 이어 SD(Specialty Drug)사업부장 겸 해외영업담당을 역임했다. 올해 1월 생명과학 사업 전략 구체화 및 사업 체질 개선을 이끈 성과를 인정받아 전무로 승진했다. 팜한농 관계자는 "김무용 신임 CEO는 레드바이오 분야의 폭넓은 업무 경험과 더불어 그린바이오 사업 전략 수립 및 실행과제 도출 경험도 보유한 전문가"라며, "앞으로 사업 경쟁력 제고와 글로벌화에 역점을 두고 팜한농을 성장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 김무용(金武鎔) 팜한농 신임 CEO 선임자 약력 - 1969년생 - 충북대(약학) 학사, 서울대(약학) 석사, - (미국)텍사스대(오스틴, 의약화학) 박사 - 1993년 LG화학 입사 - 2015년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 경영전략담당 상무 - 2017년 12월 Specialty Drug사업부장 겸 해외영업담당 상무 - 2022년 Prim
▲ 실장급 전보 차관보 일반직 고위공무원 권재한 (식품산업정책실장) 식품산업정책실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김정희 (대통령비서실)
■ 실장급 전보 ○ 차관보 일반직 고위공무원 권 재 한 (식품산업정책실장) ○ 식품산업정책실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김 정 희 (대통령비서실)
2007년에 설립된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 판매업협동조합(이사장 정충용. 이하 대전세종 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투명한 경영을 통해 조합원들의 신뢰를 형성하고 조기 구매 및 결제를 통해 조합원들에게 더욱 많은 이익을 제공함으로써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정충용 이사장은 “공동구매를 통한 조합원의 이익을 실현하는 조합은 무엇보다 투명한 경영과 상호 신뢰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신뢰의 힘이 없었다면 지금의 조합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합을 이끄는 이사장은 개인의 명예나 이익보다는 조합원을 위한 봉사 정신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세종충남식물보호제판매조합은 정충용 이사장과 임홍빈 전무를 포함한 5명의 임직원과 65명의 조합원이 함께 연간 약 220억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특히 다른 조합에 비해 출자금을 최소화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가입 및 탈퇴를 조금 더 자유롭게 하고 있는 것과 물류창고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임홍빈 전무는 “창립 초기부터 협동조합의 목적인 조합원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특히 조합 이사장의 경우, 명예직으로 순수하게 조합 및 조합원을 위해 봉사하고 있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 이형준 이사장 설립 첫해부터 320억 원이라는 남다른 매출을 올리며, 조합원의 결속과 성장의 모범 답안을 보여온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업협동조합(이하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을 방문해 2008년 설립 당시부터 이사로써 운영에 참여해 그 누구보다 열심히 달려 온 제6대 이형준 이사장을 만났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7년 초대 정원호 이사장(㈜풍년케미컬)이 2008년 제2대부터 4년의 임기로 2020년까지 연임했으며, 이어 제5대 김대기 이사장(아리랑농약사)을 거쳐 제6대 이형준 이사장(한농농자재상사)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이형준 이사장은 “초대 정원호 이사장이 다져놓은 기반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제5대 김대기 이사장이 4년의 임기 동안 제시한 키워드는 ‘공감’이었다”며 “이제는 공감의 시대를 지나 함께 미래를 키워가는 ‘성장’을 키워드로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관련, 2030 비전 ‘농민과 함께, 미래를 키우는 조합’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구경북작물보호제판매조합은 2008년 설립 당시 80명의 조합원이 각각 2,000만 원씩 출자해 자본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