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장급 휴직 농림축산식품부 (OECD 고용휴직) 서기관 송재원 (농림축산식품부)
< 과장급 승진‧전보 > ㅇ 코로나19대책반장 기술서기관 신 지 영 ※ 과장직위 승진 (농촌정책과) ㅇ 대변인실 홍보담당관 서기관 강 희 중 ※ 과장직위 승진 (기획재정담당관실) ㅇ 기획조정실 정책기회관실 기획재정담당관 부이사관 송 남 근 (국제협력총괄과장) ㅇ 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실 규제개혁법무담당관 기술서기관 김 희 중 (원예경영과장) ㅇ 농촌정책국 농촌정책과장 부이사관 이 재 식 (농촌사회복지과장) ㅇ 농촌정책국 농촌사회복지과장 서기관 박 은 엽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강
< 국장급 승진 > ○ 농림축산검역본부 동식물위생연구부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최정록(농촌정책과장) ○ 농림축산검역본부 영남지역본부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최명철(농산업정책과장) ○ 농식품공무원교육원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이시혜(식품산업정책과장) < 과장급 파견 > ○ 농림축산식품부 (세종연구소 교육훈련) 서기관 양운식(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업경영체과장) ○ 농림축산식품부 (KAIST 교육훈련) 기술서기관 김기연(국립종자원 식량종자과장)
▲ 국장급 승진 및 파견 농림축산식품부 (국방대학교 교육훈련) 일반직 고위공무원 박상호 (농림축산식품부) ▲ 국장급 파견 농림축산식품부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교육훈련) 일반직 고위공무원 윤원습 (정책기획관) ▲ 국장급 전보 기획조정실 정책기획관 일반직 고위공무원 박순연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인천공항지역본부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이주명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안용덕 (농림축산검역본부영남지역본부장)
▣ 고위공무원 <승진>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장 이 승 돈 (李 承 暾)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장 조 용 빈 (趙 龍 彬) ○ 전라북도 농업기술원장 박 동 구 (朴 東 九) ▣ 과장급 <승진> ○ 연구정책국 첨단농자재육성팀장 강 석 원 (姜 錫 元) ○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잔류화학평가과장 이 희 동 (李 希 東) ○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장 이 세 원 (李 世 源) ○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식생활영양과장 유 선 미 (劉 善 美) ○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가공식품과장 송 진 (宋 진)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장 홍 성 식 (洪 晟 植)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장 김 대 현 (金 大 賢)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복지연구팀장 장 길 원 (張 吉 源) ○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장 최 창 용 (崔 暢 容) <전보> ○ 대변인 김 동 훈 (金 東 勳) ○ 기획조정관실 혁신행정법무담당관 선 준 규 (宣 俊 圭) ○ 디지털농업추진단장 성 제 훈 (成 制 勳) ○ 연구정책국 연구정책과장 김 병 석 (金 秉 奭) ○ 기술협력국 농산업경영과장 조 성 주 (趙 誠
■ 고위공무원 [전보] ○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장 김 종 철 (金 鐘 哲)
▲ 부서장 인사발령 비서실장 손 영 식 홍보실장 박 재 근 미래전략실장 정 경 훈 기반사업처장 김 우 상 대단위간척처장 전 용 주 해외사업처장 김 동 인 보상사업처장 하 인 호 수자원관리처장 최 은 석 그린에너지처장 박 찬 희 통합물관리추진단장 박 진 현 농촌개발처장 이 희 억 농지은행처장 이 명 숙 농지관리처장 이 영 훈 기금관리처장 권 익 현 총무인사처장 이 정 문 감사실장 박 갑 순 농어촌연구원 부원장겸연구기획실장 김 현 수 농어촌연구원 미래농어촌연구소장 송 성 호 농어촌연구원 글로벌시험연구소장 박 영 진 경기지역본부장 정 인 노 강원지역본부장 김 영 배 충남지역본부장 남 윤 선 경북지역본부장 하 태 선 경남지역본부장 김 영 육 안전진단본부장 주 영 일 화안사업단장 강 원 대 천수만사업단장 황 동 주 금강사업단장 이 소 열 새만금사업단장 심 재 학 영산강사업단장 김 신 환 새만금산업단지사업단장 조 현 찬
▲ 국장급 인사교류 식품산업정책실 농업생명정책관 일반직 고위공무원 김원일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농산물안전성부장) 농림축산검역본부 식물검역부장 농업연구관 홍성진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농식품자원부장)
▣ 고위공무원 ○ 농촌지원국장 서 효 원 (徐 孝 源) ○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장 김 덕 호 (金 德 浩)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지난 1월 3일 제17대 사장으로 문영표 전 롯데마트 대표이사가 취임했다고 밝혔다. 문영표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급변하는 유통환경 변화 속에서 지속 발전 가능한 공사와 도매시장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혁신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공사 임직원과 함께 도매시장을 ‘미래 유통환경을 선도하는 시장’, ‘공감과 신뢰 회복으로 상생하는 시장’, ‘안전하고 믿음이 가는 친절한 시장’, 그래서 ‘언제나 오고 싶은 시장’으로 만들어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이러한 시장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한 시장 내 소통 문화 확산을 위해 현장 중심의 조직을 운영하는 등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과 현장 중심의 경영을 최우선으로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해관계 조정 기능을 강화하여 공사 본연의 역할 중 하나인 ‘중재’ 기능을 공정하고 균형감 있게 발전시켜 나아가야 하며, 철저히 공익적이고 사회적 가치 지향적인 미래 비전을 바탕으로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애로사항 청취, 현장 공감, 갈등 해소 등을 위한 신뢰의 기반을 만들어 상생과 중재의 문화를 조성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가락시장 시설현대화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사업이
▲국장급 파견 농림축산식품부 (국외훈련) 일반직 고위공무원 정혜련 (농림축산검역본부인천공항지역본부장)
▲ 국장급 전보 농업정책국장 일반직 고위공무원 정현출 (식품산업정책관) 식품산업정책실 식품산업정책관 일반직 고위공무원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 유통소비정책관 일반직 고위공무원 김종구 (농업생명정책관)
국내 농자재 생산·유통산업이 본격적으로 뿌리내린지 70년이 훌쩍 넘어가고 있다. 본지는 그동안 농자재 유통산업에 공헌했던 원로·선배들의 근황을 소개함으로써 그들이 갖고 있는 오랜 경험과 연륜을 통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농자재 산업에 희망을 주기 위한 특별 기획 탐방을 연재하고자 한다. 먼저 국내 작물보호제 유통시장의 한 축을 맡고 있는 시판의 대표인 (사)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 전임 회장들과의 인터뷰를 시작으로 농자재 산업에 오랜 기간 몸담아 온 원로·선배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본지 구독자 중 만나고 싶었던 원로·선배를 추천하면 적극적으로 반영할 예정이다. [편집자 주] 작물보호제 유통업에 40년 인생을 바친 전문 유통인 정원호 회장은 대구 출신으로 LG화학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해 1983년 대구광역시 태평로에서 농자재 유통업을 시작했다. 이후 충분한 준비기간을 거쳐 1987년부터 본격적으로 농자재 유통 사업의 기반을 구축하고 전국적으로 유통망을 확대하면서 1990년대부터는 전국 농자재 유통 분야를 대표하는 건실하고 신뢰받는 회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원호 회장은 “사업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 무엇보다 전국적인 유통망 확보를 위해 노력해 왔다”며 “당
한국농어촌공사는 제12대 신임 사장에 김인중 전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임명됐다고 14일 밝혔다. 신임 김인중 사장은 충북 진천 출신으로, 청주 신흥고와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1994년 행정고시 제37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비서관, 기획재정담당관, 농촌정책과장, 새만금개발청 개발사업국장과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정책국장, 식품산업정책실장, 차관보 등 주요 보직을 거쳐 2022년 5월부터 1년 3개월간 제58대 차관을 역임하는 등 30년 가까이 농업·농촌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한 농정전문가이다. 특히 한국농어촌공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량정책과 농촌정책 분야에서 전문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합리적인 일 처리와 함께 추진력과 소통의 리더십을 지니고 있어 조직 운영의 적임자로도 평가되고 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식량정책관으로 재직하면서, 당시 큰 폭으로 하락하였던 쌀값을 안정시켰으며, 현재 농업 직불제의 근간이 되는 공익형 직불제의 도입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아물러, 차관보와 차관 시절에는 지속 가능한 농촌 발전을 위해 농촌공간계획제도를 도입하는「농촌공간재구조화법」을 제정하고, 농촌공간정비사업을 신규사업으로 개발·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