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5 (월)

  • 흐림동두천 8.6℃
  • 흐림강릉 7.4℃
  • 서울 9.2℃
  • 대전 8.8℃
  • 대구 8.5℃
  • 울산 9.0℃
  • 광주 10.0℃
  • 부산 10.0℃
  • 흐림고창 10.6℃
  • 흐림제주 14.6℃
  • 흐림강화 9.3℃
  • 흐림보은 8.7℃
  • 흐림금산 8.3℃
  • 흐림강진군 10.7℃
  • 흐림경주시 8.6℃
  • 흐림거제 9.7℃
기상청 제공

농촌경제연구원, 행복한 균형발전을 위한 농촌 유토피아 구상

지난 9일 충남 홍성군에서 현장토론회 개최
국가경제성장 주도하는 혁신무대로 농촌 주목해야

  • 이명우 mwlee85@newsam.co.kr
  • 등록 2019.04.19 12:32:25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은 지난 9행복한 균형발전을 위한 농촌 유토피아 구상을 주제로 충남 홍성군 오누이다목적회관에서 현장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KREI의 김창길 원장을 비롯해 성경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양승조 충남도지사, 김석환 홍성군수, 윤황 충남연구원장, 박성수 광주전남연구원장을 비롯해 정부, 지자체, 연구기관, 언론 등 70여 명의 다양한 관계자가 모여 KREI가 수행중인 농촌 유토피아연구 추진경과를 듣고, 향후 연구 추진 및 아이디어 공유와 함께 기관별 역할 분담에 대해 토론했다.

 

송미령 KREI 농업·농촌정책연구본부장은 행복한 균형발전을 위한 농촌 유토피아 구상이라는 제목으로 연구에 대한 경과보고를 했다. 송 본부장은 국가균형발전전략으로서 농촌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국민 모두를 행복하게 하는 농촌 유토피아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이라고 밝히며, “전문성을 가진 연구기관과 대학, 현장 활동가 등과 협동연구 및 연구자문단을 운영하는 등 적극적인 연구협력 추진체계를 가지고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 중 하나인 사람이 돌아오는 농산어촌 조성을 위한 실질적 정책 실행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라며, “오는 6월 최종보고회 등을 거쳐 연구를 마무리 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정도채 KREI 부연구위원은 농촌 유토피아 구상의 실현을 위한 정책 사업화 방향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정 부연구위원은 “‘농촌 유토피아에 대해, 현 정부의 새로운 국가 패러다임 방향성에 발맞춰 농촌이 포용사회실현을 선도하는 역할을 발휘해 국가 발전의 핵심 아젠다로서 유토피아적 가치를 재조명 받는 것이라며 이의 달성을 위해 농촌상생 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어 농촌의 경제기반 및 재능을 갖춘 도시민의 농촌 정착을 지원하고, 주거복지, 휴양여가 및 지역사회 활동 참여가 가능한 복합생활단지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구자인 충남연구원 마을만들기지원센터장은 돌아오는 농촌마을, 현장 실천 주체 만들기: 충남 농촌마을 정책의 도전과 성과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구 센터장은 중앙에서 마련한 정책을 현장에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그러나 행정과 민간의 칸막이, 현장에서 일할 수 있는 인력과 여건의 부족 등 정책을 반영하기 힘든 요인들이 많다고 언급했다. 이어 중간지원조직을 설치해 청년들이 농촌으로 들어올 기회를 최대한 열어주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또한, 우리나라는 자치단체 규모가 지나치게 커, 읍면동 주민생활권 단위의 정책 실현이 가능하도록 해야 농촌 유토피아를 위한 정책들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기확 일본 카와바무라 한국사무소 대표는 일본 대표 마을만들기 성공사례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윤 대표는 산림이 지역의 83%를 차지하고 고령인구가 40%가 넘는 일본 가와바 마을이 지역특산물을 6차산업으로 활성화시켜 고부가가치를 실현하고 있다며 성공사례를 소개했다.

 

신소희 마을학회 마을연구소 일소공도 연구원은 청년 농촌 이주와 정착을 돕는 정책·지역사회 역할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신 연구원은 청년들의 농촌 이주를 지원하는 정책들이 최근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그러한 정책들이 농촌으로 이주하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농촌 이주 청년들을 인터뷰하고 지역의 정책들을 살펴 본 결과를 발표했다. 그에 따르면, 사업들은 대부분 일자리 알선, 생활비 지원 등의 경우가 많고, 1년 이내 단기 사업 위주이며, 지역에서 관계망 등이 없으면 청년들이 참여하기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 연구원은 청년들이 농촌으로 들어오는 이유로, 공동체적인 문화, 경쟁보다는 느린 삶 등 도시와는 다른 가치와 삶을 살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것이 정책에 담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농촌 유토피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특히, 관련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정책대상이 되는 농촌지역의 활동범위를 지자체가 아닌 읍면동 단위로 설정해야 한다는 의견에 공감했다. ‘사람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김철 농식품부 지역개발과장은 마을 리더를 포함해 현장에서 정책을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의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성경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은 지역의 공동체성, 경제적 활력, 구성원 삶의 만족도를 충족하는 마을을 유토피아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다, “지역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생각을 보태 길을 열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창길 KREI 원장은 농촌 유토피아는 농촌의 해법을 국가 발전의 새로운 기회로 활용하자는 발상에서 시작했다,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고민하고 문제를 풀어간다면 충분히 우리 농촌이 유토피아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