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7.0℃
  • 맑음서울 13.9℃
  • 맑음대전 14.9℃
  • 맑음대구 14.8℃
  • 맑음울산 13.4℃
  • 맑음광주 15.2℃
  • 구름조금부산 15.1℃
  • 맑음고창 14.0℃
  • 구름조금제주 13.9℃
  • 맑음강화 12.3℃
  • 맑음보은 14.2℃
  • 맑음금산 14.2℃
  • 맑음강진군 15.5℃
  • 맑음경주시 15.5℃
  • 맑음거제 14.2℃
기상청 제공

한우 1마리 키우면 100만원 손해

[이슈추적 II] 축산·시설농가의 마이너스 소득

 
사료·면세유 가격급등과 가축 가격 하락으로 축산농가들이 가축을 기르면 기를수록 손해를 보는 ‘마이너스 소득’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또 시설원예 농가의 소득도 국제 유가 상승 여파로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농협경제연구소는 지난 11일 이 같은 내용의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과 농업’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우는 사료값 인상 등으로 무려 100만원의 손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마리당 244만원 소득 줄어
한우농가들은 올 6월말 현재 600kg 한우 수소 기준 마리당 97만7000원씩의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평균 순 소득은 마리당 145만9000원을 감안하면 한우 마리당 244만원의 소득이 줄어든 것이다.

한우 1마리를 키워서 팔 경우 6월말 기준 판매가격은 343만8000원(지난해 평균 555 만8000원, 38% 감소)인데 비해 경영비는 배합사료 가격인상 등으로 439만7000원(지난 해 408만원, 7.8% 증가)에 달했기 때문이다.

특히 한우의 산지가격은 수소(600kg 기준)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협상 타결 1개월 전인 지난 3월 17일 434만3000원에서 6월30일 341만3000원으로 93만원(21.4%)이 떨어 졌다. 반면 생산비는 같은 기간 배합사료가격이 138만7000원에서 154만1000원으로 15만4000원(11.1%)이 상승했다.

◆산란계, 7000원 적자·경영비 23% 올라
산란계 농장도 마리당 7000원 정도 밑지고 있다. 수입은 2만1000원으로 지난해 평균 수준에 머물고 있는데 비해 경영비는 2만2000원에서 2만7000원으로 23% 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앞으로 배합사료 가격이 10% 더 오를 경우 소 및 산란계 농가의 손실액은 마리당 각각 116만2000원, 9000원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돼지, 마리당 9만원 소득 향상 기대
다만 돼지 농가의 경우 아직 마리당(100㎏) 9만원의 소득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됐다.

경영비가 19만원에서 22만8000원으로 20% 늘었지만 수입 증가폭이 30%(24만6000원 → 31만9000원)로 더 크기 때문이다.

광우병파동과 조류인플루엔자(AI) 사태 등의 반사이익으로 돼지 값이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면서 경영비 부담 증가를 상쇄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봄·여름 돼지고기 성수기가 끝나고 미국산 쇠고기 수입까지 본격적으로 이뤄지면 돼지농가의 수익성도 나빠 질 가능성이 크다.

◆시설채소 소득 11~47% 급감
비닐하우스 등 기름 소비가 많은 시설원예 농가의 소득도 지난해 보다 절반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는 지난 7월 1일 현재 농업용 면세유(경유) 가격은 리터당 1267원으로 지난해 583원의 2배를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유가 수준이 연말까지 유지될 경우 단위면적 10a당 시설채소의 경영비는 품목에 따라 작년보다 14.3~48.2%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른 소 득 감소율은 ▲ 고추 46.9% ▲ 오이 38.5% ▲ 토마토 33.9% ▲ 호박 36.8% ▲ 딸기 11.3%에 이를 것으로 관측 됐다.

쌀 농가 경영비 추가부담 1270억 쌀 농가도 농기계 사용료와 비료가격 상승 등 경영비 추가 부담이 127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비료 가격은 지난해 12월과 올해 6월 두 차례에 걸쳐 24%, 63%씩 인상됐다. 면세유 인상으로 1ha 농사에 투입되는 유류비도 지난해 10만9000원에서 올해 상반기 16만원으로 47% 뛰었다.

정부와 농협의 비료가격 인상분 30% 지원에도 불구하고 올해 전체 쌀 농가의 유류 및 비료 관련 경영비 추가 지출 규모는 127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우리나라 쌀 생산액(2006년 8조4057억원)의 약 1.5%에 달하는 수치다.

농가 경영안정 위한 정부대책 절실 농협경제연구소는 보고서에서 원자재가격 급등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농가들의 경영안정을 위해 정부의 대책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밝혔다. 특히 농가소득 감소 대책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축산농가 사료구매자금 지원제도 확대
-해외 사료자원 개발 기업 인센티브제 도입
-배합사료 원료곡물 비축제도 및 구입처 다변화
-청보리 등 국내 사료곡물 재배 확대
-쌀소득보전(직불제) 비율 85%→100% 상향
-공공비축 매입량 유지
-시설원예농가 현행 면세유 공급량 유지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