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7 (금)

  • 맑음동두천 22.2℃
  • 구름많음강릉 25.4℃
  • 맑음서울 23.3℃
  • 구름조금대전 24.6℃
  • 맑음대구 26.3℃
  • 구름조금울산 22.8℃
  • 맑음광주 22.9℃
  • 구름많음부산 21.0℃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21.5℃
  • 맑음강화 18.9℃
  • 맑음보은 23.4℃
  • 맑음금산 24.0℃
  • 구름조금강진군 21.9℃
  • 맑음경주시 25.1℃
  • 구름조금거제 20.0℃
기상청 제공

수출지원 담은 최초의 ‘농기계산업 정책’

“내수기반 튼튼해야 수출 활성화 가능해

 
수출만이 살길이다. 최근 농자재업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수출은 내수시장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는 농자재산업이 농업의 후방산업으로 단단하게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농기계업계도 내수시장이 정체를 보임으로써 수출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농기계 내수시장은 2000년 1조6000억원으로 최대 매출실적을 올린 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기록하면서 지난해 9000억원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수출은 2000년 1억 달러를 돌파한 후 연평균 10~15%의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지난해 6억800만 달러를 달성했다.

이는 2010년 4억3400만 달러 대비 40.3% 늘어난 수치다. 이 같은 수출실적은 농기계산업의 안정적인 성장발전을 기하기 위해서는 내수에서 수출로 방향을 전환해야 할 시점이라는 진단이 나오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농림수산식품부도 농기계 보급을 통한 농업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농업기계화 촉진 정책에서 처음으로 지난달 농기계 수출 지원을 담은 ‘농기계산업 정책’을 제시해 주목을 받았다.

농식품부가 마련한 농기계 수출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2015년까지 농기계 수출액 10억 달러를 달성해 한국산 농기계 해외시장점유율을 1%에서 2%까지 늘리고 농기계 수출 세계 10대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에 농기계수출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정책자금 지원도 대폭 확대키로 했다.

지난달 2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자연환경연구부 주관으로 경기도 과천 소재 그레이스호텔에서 열린 ‘농기계수출 촉진 정책 워크숍’에서도 “수출만이 살길은 틀림이 없다”는 것이 모든 참석자들의 공통된 인식이다.

이종하 대동공업(주)상무는 “수출형 농기계 개발 등 수출 기반 확충을 위해서는 내수기반이 튼튼해야만 가능한 만큼 농기계 내수 촉진을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현지에서 필요한 농기계를 수출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수출전략 품목을 개발해야 하지만 내수기반이 없는 수출전략 품목 개발은 경쟁력이 없다는 것이다.

또 농기계 수출 활성화 정책이 종합형 업체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중소 제조업체에도 수출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줘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김병관 한국농기계수출협의회장((주)라이브맥 대표)은 “작업기업체에 대한 수출지원이 기대된다”면서 “농기계 수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고 해외 전시회 참가 방법도 획일화에서 탈피해 차별화된 전시 마케팅을 접목해 내실화를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기업 협력 강화로 수출 나서야
이중용 서울대 교수는 “현지에서 필요로 하는 농기계 수출을 위해서는 수출전략 품목 개발이 필요하지만 내수기반 없이 수출을 위한 개발이 가능할지 의문시 된다”면서 “수출에서만큼은 농기계업체 간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특히 “외국의 농기계회사는 규모를 대형화 시키면서 구매력을 강화시키고 있지만 국내 기업은 국내에선 크지만 국제적으로는 작은 기업에 불과하다”면서 “참치가 상어를 이기기 위해 뭉쳐서 크게 보이게 하는 것처럼 국내 기업도 덩치를 키우는 수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창호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부장은 “농기계 수출이 트랙터를 중심으로 미국과 유럽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수출지역을 확대하고 기종을 늘리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연구기관과 기업,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정보교류 등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강 부장은 또 “농진청에서는 베트남과 캄보디아 등 아세안과 케냐 등 아프리카 대륙 15개국에 해외농업기술센터를 설치했다”면서 “일부 국가에서는 탈곡기가 첨단 농기계로 인식되는 등 농기계의 필요성이 큰 나라들이 있는 만큼 이들 나라의 정보가 필요하면 언제든 협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 부장은 특히 “앞으로 해외농업기술센터를 통해 각국의 농업정보와 기계화 정도를 분석해 제공할 계획”이라면서 “수확이후의 도정기계, 저장, 가공 등의 농기계 수출이 활성화되면 자연스럽게 생산 쪽의 농기계도 수출이 늘어날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했다.
 
엔진 등 주요 부품 국산화율 높여야
신승엽 농진청 농업공학부 연구관은 “농기계 수출이 늘어나고 있지만 엔진 등 주요 부품의 국산화율이 떨어져 수익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오히려 외국산 농기계 홍보효과를 불러 올 수 있다”면서 “농기계 핵심 부품 개발을 강화하고 수출이후 사후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학진 서울대 교수는 “농기계업계도 연구개발(R&D)자금 확보를 위해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업체 중심의 기술과제가 아닌 농기계업계 공동의 대국적인 과제를 개발해야 하고 이를 위해선 농기계업계와 학계, 기관 등의 공동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출 중고농기계 사후관리 강화해야
허인구 농기계조합 전무는 “부품공용화는 업계 스스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라면서 “농식품부의 해외농장 개발 지원 자금 중 농기계 구입 부분에 국산 농기계 사용을 명문화 한다면 농기계 수요창출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날 워크숍에서는 농식품부의 농기계 수출 정책으로 인해 지경부에서 농기계 관련 정책에서 아예 손을 놓으면 엔진 개발 등의 지원되는 자금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또 중고농기계 수출이후 부품공급 등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오히려 한국산 농기계에 대한 이미지가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마련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히 농기계 수출전략 품목 개발을 위해서는 전문 연구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고 농기계 수출 정책이 농산업 정책이 시발점이 된 만큼 앞으로 정부내 농자재를 전담하는 부서가 탄생할 수 있도록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