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9 (목)

  • 맑음동두천 8.5℃
  • 맑음강릉 13.0℃
  • 맑음서울 10.9℃
  • 맑음대전 8.2℃
  • 맑음대구 7.1℃
  • 맑음울산 6.7℃
  • 맑음광주 10.3℃
  • 맑음부산 10.3℃
  • 맑음고창 6.4℃
  • 맑음제주 12.5℃
  • 맑음강화 7.3℃
  • 맑음보은 6.4℃
  • 맑음금산 5.3℃
  • 맑음강진군 9.2℃
  • 맑음경주시 5.0℃
  • 맑음거제 8.9℃
기상청 제공

[2014 농자재산업 처방전]안전하게 내실있게 글로벌하게

짜임새있는 농기자재산업 육성책 필요



농자재산업은 농업의 후방산업이라고 불린다. 뒤에서 든든하게 농업을 지탱해주는 산업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 사실이 간과될 때가 있다. 너무 가깝기 때문에 오히려 그 의미가 각별히 다가오지 않는 경우다. 농업에 투입되는 농기자재가 농업의 비용을 높이고 농업인들을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치부되는 경우도 없지 않다. 후방산업이라는 단어가 무색해지고 만다.


1년 전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경영비 절감을 위한 농자재산업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을 열어보기 전부터 업계의 관계자들은 실망감을 느낀 경우가 많았다. 농업인들에게 농업경영비가 적지 않은 부담이 되고 있다는 것을 모르지 않는다. 또한 농자재산업이 영위해야 할 가장 막중한 책임이 품질이 우수하고 저렴한 농자재를 농업인에게 제공해야 하는 것이라는 사실도 잘 알고 있다. 그런데도 실망을 느낀 이유는 농자재산업의 상황에 그 해답이 있을 것이다.


농업의 발전을 견인해온 농기자재산업
농기계, 비료, 종자, 농약, 친환경농자재 등 전반적인 농자재산업의 여건이 좋지 못한 것이다. 우리 경제가 전반적인 저성장 기조에 있기도 하지만 농업의 현실이 갈수록 척박해지는 것과도 연관이 있다. 농업이 일반적인 산업이라면 부흥의 시기가 가고 쇠퇴기에 접어들었다고 여기면 그만일 수도 있다. 그러나 농업은 먹거리를 키우는 우리 삶의 근간이기 때문에 다른 산업이 그 자리를 대신할 수 없다. 농기자재산업도 마찬가지다. 농기자재가 없는 농업을 이제는 아무도 상상할 수 없으며 농업의 발전은 농기자재산업이 견인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난 2월 농림축산식품부에 농기자재산업과가 만들어질 계획이라는 소식이 들려왔다. 또 정식 과로 출범하기 전 식량산업과 내 농기자재산업팀이 우선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다. 그동안 농기계, 농약, 비료산업 관련 업무가 흩어져 있어 농자재산업의 실질적인 정책 마련이 어려웠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출범 때부터 농기자재산업팀은 농기자재산업 활성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농기계, 비료, 농약, 시설자재 등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대책인 만큼 단시간에 뚝딱 나올 수 있는 대책이 아닐 것이다. 어쨌든 업계는 새로운 기대와 희망의 싹을 키우고 있다. 그동안 농식품부 내에 농기자재산업 정책을 관장하는 책임부서가 없다보니 농업을 지원하는 후방산업이자 필수 기간산업인 농기자재산업 정책이 단독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농업정책을 보조하는 정책에 그쳤다. 그래서 업계도 농식품부 내에 농자재산업을 아우를만한 책임부서와 인력이 필요하다고 거듭 주장해 왔다.


현실에 발을 딛고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이번 농자재신문 지면에서는 현재 준비중인 활성화대책의 주안점이 소개됐다. 대책 발표는 10월 이후가 될 것이므로 완성된 안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농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산업으로서 농기자재산업 활성화 대책은 좀더 가다듬어지고 현실에 굳건히 발을 딛고 있으면서도 산업의 비전을 제시하는 내용으로 완성될 것을 기대한다.


농기계, 비료, 종자, 농약, 친환경자재 등의 농자재는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자재들이기도 하다. 당연히 농자재 자체의 안정성도 점차 강조되는 추세다. 또한 국내 작은 시장을 탈피하기 위해 수출위주 등 글로벌화가 필수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내수를 무시할 수 없는 것이 일정 부분 내수를 확보해야 그것을 바탕으로 해외진출의 문을 나서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본지도 이번에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듣는 등 농기자재산업 활성화대책에 담기거나 고려했으면 하는 내용들을 집중적으로 지면에 담았다. 현 시장을 분석하고 안전성 확보 방법과 유통의 문제, 내수와 수출, 정부정책과 지원사업, 활성화 노력과 애로점 등 각 분야 농자재산업의 현실을 짚어보는 기회를 가졌다. 농식품부의 농기자재산업 활성화 대책이 짜임새 있으면서도 두고두고 되새기고 실천할 수 있는 대책으로 나올 것을 기대해 본다. 


이은원 hiwon@newsam.co.kr







포토뉴스




배너



기술/제품

더보기